$\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류세 맥락화하기: 포항 '촉발지진'의 사회적 구성
Situating the Anthropocene: The Social Construction of the Pohang 'Triggered' Earthquake 원문보기

科學技術學硏究 =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 v.19 no.3, 2019년, pp.51 - 117  

김기흥 (포항공대 인문사회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2017년 11월 15일에 발생했던 포항지진의 원인을 둘러싼 과학자 사회의 논쟁을 과학기술학적으로 분석하며 이 현상이 인류세의 현상인가에 대해서 논의한다. 2017년 포항지진은 엄청난 경제적 손실과 정신적인 트라우마를 남겼다. 포항지진의 원인을 둘러싸고 과학자 사회는 크게 두 가지 입장으로 분화되었다. 포항지진이 보여준 특이성과 비정상성으로 인해 일부 과학자들은 이 지진이 북부 포항지역에서 진행 중이었던 지열발전소의 액체주입이 그 원인이 되었다고 주장하는 지열발전소에 의한 '유발지진론'의 관점이 제기되었다. 다른 연구자들은 2011년 3월에 발생했던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지각변동과 이로 인해 생성된 응력에서 찾으면서 '자연발생론'을 주장했다. 이 두 관점은 주요한 논쟁의 대상이 되었으며 2019년 3월 20일 정부조사연구단의 최종연구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치열하게 경쟁했다. 정부조사연구단은 포항지진의 원인이 당시 불안정성이 증가하던 상황에서 지열발전소의 액체주입이 '촉발'이 되었다는 "촉발지진"으로 규정하게 된다. 즉, 포항지진은 과거에 유례를 찾기 힘들었던 인간의 지층에 대한 직접적 기술적 개입으로 발생한 재난이었다. 포항지진이 보여준 재난의 성격과 인간이 만들어낸 자연적 재난은 최근 지질학계뿐 아니라 사회과학 분야에서도 확산되고 있는 새로운 개념인 "인류세"의 개념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포항지진이 과연 인류세적 현상인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 답을 하면서 인류세의 문제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게 될 것이다. 본 논문의 핵심쟁점은 인류세의 재난적 상황이 전 지구적으로 확산되는 단일한 거대담론적 현상으로 이해할 것인가 아니면 상황에 따라 변동하고 구성되는 현상인가의 여부를 확인하게 될 것이다. 특히 인류세의 개념을 과학기술학 분야에 적용하여 재난적 상황에 대해 다루고 있는 브뤼노 라투르와 이자벨스텡거스의 가이아 이론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의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인류세적 현상은 불가피하게 특정 맥락에서 상황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을 보이게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 15th November 2017, the coastal city of Pohang, locat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South Korea was shaken by a magnitude 5.4 earthquake. The earthquake displaced more than 1,700 residents and caused more than $ 300 million dollars of economic loss. It was the second most damaging earthquake in 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류세는 지속불가능성을 함의하는 이유는? 또한, 인류세는 지속불가능성을 함의한다.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전 지구적 규모의 환경파괴는 되돌릴 수 없을 만큼 엄청난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Stiegler, 2017: 151). 많은 지질학자는 인간의 활동이 전지구적 규모로 미치는 영향이 갖는 엄청난 파괴력으로 인해 홀로세를 벗어났다고 주장한다(Sperling, 2019; Steffen, Crutzen & McNeill, 2007; Zalasiewicz et al.
인류세는 어떻게 제기된 개념인가? 지구 역사에서 인간의 시대는 찰나에 지나지 않지만, 지구의 모든 생물종과 환경을 유지해왔던 균형과 조화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 인류세는 2000년 산화질소류가 오존을 분해하여 대기 중 오존층을 파괴한다는 문제를 해명하면서 노벨상을 받은 네덜란드의 화학자인 파울 크뤼첸(Paul Crutzen)이 새로운 개념을 제기하면서 시작되었다(Crutzen & Stoermer, 2000). 현재 지질학적 시대로 알려진 홀로세(Holocene)5)는 과도한 인류의 활동으로 인해 지질학적으로 더 이상 큰 의미가 없으며 새로운 지질학적 시대에 돌입하게 되었다고 크뤼첸은 주장했다(Crutzen & Stoermer, 2000)6).
홀로세가 지질학적으로 의미를 상실한 이유는? 인류세는 2000년 산화질소류가 오존을 분해하여 대기 중 오존층을 파괴한다는 문제를 해명하면서 노벨상을 받은 네덜란드의 화학자인 파울 크뤼첸(Paul Crutzen)이 새로운 개념을 제기하면서 시작되었다(Crutzen & Stoermer, 2000). 현재 지질학적 시대로 알려진 홀로세(Holocene)5)는 과도한 인류의 활동으로 인해 지질학적으로 더 이상 큰 의미가 없으며 새로운 지질학적 시대에 돌입하게 되었다고 크뤼첸은 주장했다(Crutzen & Stoermer, 2000)6). 인류세 개념은 지난 200년 동안 인간의 산업활동과 인간의 영향이 통제할 수 없을 만큼 가속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8)

  1. 11.15 지진 지열발전 공동연구단 (2018) 포항지진과 지열발전과의 연관성 보고회 자료집 (포항, 2018년 12월 19일). 

  2. 강찬수 (2018. 6. 23), 지진화산 빈발 '불의 고리' 50년 주기설을 사실일까, 중앙일보. 

  3. 강찬수 (2017. 11. 15), 경북 포항서 규모 5.4 지진. 서울 광화문까지 흔들렸다, 중앙일보. 

  4. 강태섭.이준기 (2016) 경주 주변 지역의 역사 지진활동고찰,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2016.09.12), 6쪽, 대한지질학회. 

  5. 고재원 (2019. 4. 22), 잇따라 발생한 동해지진, 동해 대지진의 전조인가?, 동아사이언스. 

  6. 기상청 (2018), 포항지진 분석보고서, 기상청. 

  7. 김기흥 (2018), 사회구성주의를 변호하며: 사회와 자연의 사회적 구성과 자기 준거성에 대하여, 사회와 이론, 제32권 2호, 101-143쪽. 

  8. 김다혜 (2017. 11. 24), 포항지진, 지열발전소 연관성 놓고 전문가 의견 엇갈려, 머니투데이. 

  9. 김민수 (2018. 4. 27), 포항지진 원인 지열발전 논란 가중-사이언스지에 논문 2편 발표, 조선비즈. 

  10. 김민수 (2019. 2. 10), 포항 앞바다 이례적 규모 4.1 지진, '예상 못한 지역서 발생', 동아사이언스. 

  11. 김서연 (2017. 11. 16), 포항지진, '지열발전소'가 원인일 가능성 크다, 서울신문. 

  12. 김성균.이정모 (2019), 2016년 규모 5.8 경주지진과 2017년 규모 5.4 포항지진의 여진활동규모, 지질학회지, 제 55권 2호, 207-218쪽. 

  13. 김정현 (2018. 5. 6), '포항지진 방아쇠는 지열발전소' 어떻게 연구했나?, 한국대학신문. 

  14. 김정혜 (2017. 11. 16), 포항지열발전소, "지진이 우리 때문? 절대아냐", 한국일보. 

  15. 김준홍.김원규 (2018),포항 지진 1년, 치유되지 않은 상흔 - 끝나지 않은 싸움의 기록,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소 엮음, 포항지진 1년, 지금도 계속되는 삶의 여진, 19-28쪽, 포스텍융합문명연구소. 

  16. 김환석 (2011), 행위자-연결망 이론에서 보는 과학기술과 민주주의, 동향과 전망, 10월호, 11-46쪽. 

  17. 김환석 (2017), 코스모폴리틱스 (Cosmopolitics)와 기술사회의 민주주의, 사회과학연구, 제30권 1호, 1-18쪽. 

  18. 김홍제 (2019), 포항지진 재난 거버넌스와 재난 시티즌십 라운드테이블, 포항지진, 그후: 재난 거버넌스와 재난 시티즌십 (포스텍평화연구소 심포지엄, 2019년 11월 8일). 

  19. 김희영 (2019. 3. 23), 오경두 육군사관학교 교수 - 지열발전소에 의한 촉발지진 확신 과학적 논리 앞세워 주장, 경북제일신보. 

  20. 대한지질학회 (2017), 포항지진 긴급포럼 프로그램 (한국프레스센터, 2017년 11월 24일) 

  21. 매일경제 (2019. 4. 19), 포항지열발전 주관사 "사이언스 논문발표저자 연구윤리 위반", 매일경제. 

  22. 모성은 (2019), 포항지진 재난 거버넌스와 재난 시티즌십 라운드테이블, 포항지진, 그후: 재난 거버넌스와 재난 시티즌십 (포스텍평화연구소 심포지엄, 2019년 11월 8일). 

  23. 목정민 (2016. 12. 26), 학계 '경주지진 영향으로 또 다른 지진 발생 가능해' 주장 나와, 경향신문. 

  24. 박효민 (2018), 사회조사로 살펴본 포항지진의 트라우마,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소 엮음, 포항지진 1년, 지금도 계속되는 삶의 여진, 1-18쪽,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소. 

  25. 백경서 (2019. 2. 11), 자연지진 vs 유발지진지진 이어지는 포항, 원인은?, 중앙일보. 

  26. 사이언스 타임즈 (2018. 9. 14), 경주지진이 포항지진 방아쇠 중 하나, 위험상존, The Science Times. 

  27. 양만재 (2017. 12. 11), 포항지열발전소가 심각한 트라우마다, 한겨레신문. 

  28. 연합뉴스 (2019. 5. 13), 아픔 기억해야죠...포항지진 난 11월 15일을 ' 안전의 날'로, 연합뉴스. 

  29. 연합뉴스 (2019. 10. 8), 9월 포항서 발생한 규모 2.3 지진은 포항지진의 여진, 연합뉴스. 

  30. 원태준 (2018), 수능 응시생과 포항지진,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소 엮음, 포항지진 1년, 지금도 계속되는 삶의 여진, 37-47쪽,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소. 

  31. 원호섭 (2018. 9. 14), 경주지진이 포항지진 방아쇠 중 하나 - 홍태경 연세대 교수팀 논문발표, '동일본 대지진 후 방출에너지 10배', MK뉴스. 

  32. 유용하 (2017. 11. 24), 포항지진 원인 지열발전으로 보기 어렵다, 서울신문. 

  33. 윤지로 (2019. 3. 20), 포항지진은 촉발지진 '극적인 반전'남은 쟁점은?, 세계일보. 

  34. 이광석 (2019), '인류세' 논의를 둘러싼 쟁점과 테크노-생태학적 전망, 문화/과학, 97호, 22-54쪽. 

  35. 이근영 (2017. 12. 4), 지열발전소 포항지진 진범인가, 누명 쓴 마녀인가, 한겨레신문. 

  36. 이근영 (2018. 4. 27), 포항지진은 지열발전 시추 물주입에 의한 유발지진, 한겨레신문. 

  37. 이승륜 (2017. 11. 17), 지열발전이 뭐길래 - 이진한 교수 vs 윤운상 단장, 지진영향 논란확산, 국제신문. 

  38. 임재현 (2018), 포항지진과 지열발전, 여우와 두루미. 

  39. 임태훈 (2019), 난지도가 인류세에 묻는 것들, 문화/과학, 97호, 119-142쪽. 

  40. 정재훈 (2017. 11. 25) 포항지진, "액상화는 일반적 현상...유발지진 추가조사 필요, 영남일보. 

  41. 조승한 (2019. 3. 20), 포항지진은 촉발지진. 진앙지 깊이 등 남은 쟁점들, 동아사이언스. 

  42. 천권필 (2019. 2. 11), 포항 앞바다 규모 4.1 지진, '2년 전과 달리 후 포단층서 발생', 중앙일보. 

  43. 포항지역사회연구소 (2019), 포항지진은 인재요 관재다, 강호진, 권영락, 김광일, 도형기, 박성진, 이대환, 이동철, 이재섭, 임재현, 임해도, 장태원 엮음, 포항의 눈, 76-130쪽, 여우와 두루미. 

  44. 포항지진 범시민대책본부 (2019. 5. 24), 포항지진 범시민대책본부 카페 밴드, (https://band.us/band/68626866). 

  45. 포항지진 정부조사연구단 (2019), 포항지진과 지열발전의 연관성에 관한 정부조사연구단 요약보고서, 포항지진 정부조사연구단. 

  46. 행정안전부 (2018), 2017 포항지진 백서, 행정안전부. 

  47. 홍태경 (2016), 거칠고 신선한 단층 잠복, 중대형 지진 위험 상존, 신동아, 686호(2016년 11월 14일호), 162-170쪽. 

  48. 홍태경 (2017), 포항지진 이후: 무엇을 해야하나-깊은 땅속 활성단층 찾아내야, 신동아, 700호(2017년 12월 24일호), 238-247쪽. 

  49. 홍태경 (2017. 12. 26), 홍태경의 지구이야기-지열발전소로 인한 유발지진 논란, 서울신문. 

  50. 홍태경 (2019. 4. 16), 홍태경의 지구이야기-유발지진과 촉발지진, 뭐가 다를까, 서울신문. 

  51. 홍태경 (2019. 11. 11), 홍태경의 지구이야기-인류세가 남긴 흔적, 서울신문. 

  52. 환경운동연합 (2018), 지열발전소 탓하다 지진대책 놓쳐버린 당국, 환경운동연합 보도자료(2018년 2월 11일). 

  53. JTBC뉴스 (2017. 11. 15), 인터뷰: "포항지진, 지열 발전소 건설이 영향 준 것이라 생각". 

  54. JTBC뉴스 (2017. 11. 16), 인터뷰: 지열발전측 "두 달간 운영중단중...포항지진과 무관". 

  55. KBS뉴스 (2018. 9. 14), 홍태경 연세대 교수 '포항지진은 동일본 대지진으로 지각 약해져 발생'. 

  56. YTN 라디오 (2019. 10. 27), 인터뷰: 창녕지진, 경주 포항지진 후 에너지 전달된 것, YTN 라디오 노영희의 출발새아침. 

  57. Barnes, B., Bloor, D. & Henry, J. (1996), Scientific Knowledge: A Sociological Analysis,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8. Barnes, B. & MacKenzie, D. (1979), "On the Role of Interests in Scientific Change", The Sociological Review, Vol. 27, No. 1 (Suppl), pp. 49-66. 

  59. Bijker, W.E., Hughes, T.P. & Pinch, T. J. (1987), The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ical Systems: New Directions in the Sociology and History of Technology, Cambridge, Mass: MIT Press. 

  60. Blok, A. & Jensen, T. E. (2011), Bruno Latour: Hybrid Thoughts in a Hybrid World, London: Routledge. 

  61. Blok, A. & Jensen, C. B. (2019), "The Anthropocene Event in Social Theory: On Ways of Problematizing Nonhuman Materiality Differently", The Sociological Review, Vol. 67, No. 4, pp. 1-17. 

  62. Bloor, D. (1999a), "Anti-Latour", Studies in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Vol. 30, No. 1, pp. 81-112. 

  63. Bloor, D. (1999b), "Reply to Bruno Latour", Studies in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Vol. 30, No. 1, pp. 131-136. 

  64. Bonneuil, C. & Fressoz, J-B. (2017), The Shock of the Anthropocene, London: Verso. 

  65. Bruhn, D., Huenges, E., Agustsson, K., Zang, A., Kwiatek, G. Rachez, X., Wiemer, S. ... & Oye, V. (2011), "Geothermal Engineering Integrating Mitigation of Induced Seismicity in Reservoirs - The European GEISER Project", GRC Transactions, Vol. 35, pp. 1623-1626. 

  66. Callon, M. (1984), "Some Elements of a Sociology of Translation: Domestication of the Scallops and the Fishermen of St. Brieuc Bay", The Sociological Review, Vol. 32, pp. 196-233. 

  67. Certini, G. & Scalenghe, R. (2014), "Is the Anthropocene Really Worthy of a Formal Geoploic Definition?", The Anthropocene Review, Vol. 2, No. 1, pp. 77-80. 

  68. Clarke, B. (2017), "Rethinking Gaia: Stengers, Latour, Margulis", Theory, Culture & Society, Vol. 34, No. 4, pp. 3-26. 

  69. Crutzen, P. J. & Stoermer, E. F. (2000), "The 'Anthropocene'", IGBP Newsletter, Vol. 41, pp. 17-18. 

  70. Dura-Gomez, I. & Talwani, P. (2010), "Reservoir-induced Seismicity Associated with the Itoiz Reservoir, Spain: A Case Study",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Vol. 181, pp. 343-356. 

  71. El Hariri, M., Aberscrobie, R. E., Rowe, C. A., & Do Nascimento, A. F. (2010), "The Role of Fluids in Triggering Earthquakes: Observations from Reservoir Induced Seismicity in Brazil",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Vol. 181, pp. 1566-1574. 

  72. Fleck, L. (1979[1935]), Genesis and Development of a Scientific Fact,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3. Gibbard P. L. & Walker, M. J. C. (2014), "The Term 'Anthropocene' in the Context of Formal Geological Classification", Geological Society, London, Vol. 395, No. 1, pp. 29-37. 

  74. Goudie, A. S. & Viles, H. A. (2016), Geomorphology in the Anthropocen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5. Grigoli, F. & Wiemer, S. (2017. 6. 9), "The Challenges Posed by Induced Seismicity", EOS. 

  76. Grigoli, F., Cesca, S., Priolo, E., Rinaldi, A.P., Clinton, J.F., Stabile, T.A., Dost, B. ... & Dahm, T. (2017), "Current Challenges in Monitoring, Discrimination, and Management of Induced Seismicity Related to Underground Industrial Activities: A European Perspective", Reviews of Geophysics, Vol. 55, No. 2, pp. 310-340. 

  77. Grigoli, F., Cesca, S., Rinaldi, A.P., Manconi, A., Lopez-Comino, J.A., Clinton, J.F., Westaway, R. ... & Wiemer, S. (2018), "The November 2017 Mw5.5 Pohang Earthquake: A Possible Case of Induced Seismicity in South Korea", Science, Vol. 360 (1 June 2018), pp. 1003-1006. 

  78. Guha. S. K. (2000), Induced Earthquakes, Dordrecht: Kluwer. 

  79. Gupta, H. K. (2002), "A Review of Recent Studies of Triggered Earthquakes by Artificial Water Reservoirs with Special Emphasis on Earthquakes in Koyna, India", Earth-Science Reviews, Vol. 58, pp. 279-310. 

  80. Harwood, J. (1986), "Ludwick Fleck and the Sociology of Knowledge", Social Studies of Science, Vol. 16, No. 1, pp. 173-187. 

  81. Hausler, H. (2018), "Did Anthropogeology Anticipate the Idea of the Anthropocene?", The Anthropocene Review, Vol. 5, No. 1, pp. 69-86. 

  82. Hecht, G. (2012), Being Nuclear: Africans and the Global Uranium Trade, Cambridge. MA: MIT Press. 

  83. Hecht, G. (2018. 2. 6), "The African Anthropocene", Aeon. 

  84. Hecht, G. (2018), "Interscalar Vehicles for an African Anthropocene: On Waste, Temporality and Violence", Cultural Anthropology, Vol. 33, No. 1, pp. 109-141. 

  85. Holland, A. (2011), Examination of Possibly Induced Seismicity from Hydraulic Fracturing in the Eola Field, Garvin County, Oklahoma (Oklahoma Geological Survey, Open-File Report OF1-2011). 

  86. Hong, T-K., Lee, J., Park, S., & Kim, W. (2018), "Time-advanced Occurrence of Moderate-size Earthquakes in a Stable Intraplate Region After a Megathrust Earthquake and Their Seismic Properties", Scientific Reports, Vol. 8, No. 13331, pp. 1-8. 

  87. Jasanoff, S. (2005), Designs on Nature: Science and Democracy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88. Jensen, C. B. (forthcoming), "Cosmopolitical perplexities: Pragmatic tests for changing climate" (unpublished manuscript). 

  89. Keranen, K. M., Weingarten, M., Abers, G. A., & Ge, S. (2014), "Sharp Increase in Central Oklahoma Seismicity since 2008 Induced by Massive Wastewater Injection", Science, Vol. 345, No. 6195, pp. 448-451. 

  90. Kim, K-H., Ree, J-H., Kim, Y., Kim, S., Kang, S., & Seo, W. (2018), "Assessing Whether the 2017Mw 5.4 Pohang Earthquake in South Korea Was an Induced Event", Science, Vol. 360, pp. 1007-1009. 

  91. Kim, K-H. (2005), "Styles of Scientific Practice and the Prion Controversy" in Seguin, E. ed., Infectious Processes: Knowledge, Discourse and the Politics of Prions, pp. 38-72, London: Palgrave MacMillan. 

  92. Kim, K-H. (2007), Social Construction of Disease, London: Routledge. 

  93. Latour, B. (1999a), Pandora's Hope: Essays on the Reality of Science Studi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94. Latour, B. (1999b), "For Bloor...and Beyond", Studies in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Vol. 30, No. 1, pp. 113-129. 

  95. Latour, B. (2004a), Politics of Nature: How to Bring the Sciences into Democrac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96. Latour, B. (2004b), "Why Has Critique Run Out of Steam? From Matters of Fact to Matters of Concern", Critical Inquiry, Vol. 30, No. 2, pp. 225-248. 

  97. Latour, B. (2004c), "Whose Cosmos, Which Cosmopolitics?", Common Knowledge, Vol. 10, No. 3, pp. 450-462. 

  98. Latour, B. (2017), Facing Gaia: Eight Lectures on the New Climate Regime, Cambridge: Polity. 

  99. Latour, B. (2018), Down to Earth: Politics in the New Climatic Regime, Cambridge: Polity. 

  100. Lee, K. K., Ellsworth, W. L., Giardini, D., Townend, J., Ge, S., Shimamoto, T., Yeo, I-W. ... & Langenbruch, C. (2019), "Managing Injection-induced Seismic Risks", Science, Vol. 364, No. 6442, pp. 730-732. 

  101. Llenos, AL. & Michael, A. J. (2013), "Modeling Earthquake Rate Changes in Oklahoma and Arkansas: Possible Signatures of Induced Seismicity",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 103, No. 5, pp. 2850-2861. 

  102. Liu, S., Xu, L., & Talwani, P. (2011), "Reservoir-induced Seismicity in the Danjiankou Reservoir: A Quantitative Analysis",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Vol. 185, pp. 514-528. 

  103. Luisetti, F. (2016), "Demons of the Anthropocene: Facing Bruno Latour's Gaia", Philosophy Kitchen, Vol. 5, September 2016, pp. 156-169. 

  104. Luisetti, F. (2018), "Geopower: On the States of Nature of Late Capitalism", European Journal of Social Theory, Vol. 22, pp. 1-22. 

  105. Malm, A. & Horborg, A. (2014), "The Geology of Mankind? A Critique of the Anthropocene Narrative", Anthropocene Review, Vol. 1, pp. 62-69. 

  106. Margulis, L. & Lovelock, J. (1975), "The Atmosphere as Circulatory System of the Biosphere: The Gaia Hypothesis", CoEvolution Quarterly, Vol. 5, pp. 31-40. 

  107. Meybeck, M. (2003), "Global Analysis of River Systems: From Earth System Controls to Anthropocene Syndrome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of London, Series B. Vol. 358, No. 1440, pp. 1935-1955. 

  108. Nanda, V. P. ed. (2011),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Ethics. New Brunswick: Transaction Publishers. 

  109. Olasolo, P., Juarez, M. C., Morales, M. P., D'Amico, S. & Liarte, I. A. (2016), "Enhanced Geothermal System (EGS): A Review",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Vol. 56, pp. 133-144. 

  110. Pedersen, J. V. S., Latour, B. & Schultz, N. (2019), "A Conversation with Bruno Latour and Nikolaj Schultz: Reassembling the Geo-Social", Theory, Culture & Society, Vol. 25, pp. 1-16. 

  111. Pinch, T.J. & Bijker, W.E. (1984), "The Social Construction of Facts and Artefacts: Or How the Sociology of Science and the Sociology of Technology Might Benefit Each Other", Social Studies of Science, Vol. 14, No. 3, pp. 399-441. 

  112. Qiu, J. (2012), "Evidence Mounts for Dam-quake Link", Science, Vol. 336, p. 291. 

  113. Qiu, X. & Fenton, C. (2015), "Factors Controlling the Occurrence of Reservoir-Induced Seismicity", Lollino, G., Giordan, D., Thuro, K., Carranza-Torres, C., Wu, F., Marinos, P., and Delgado, C. eds. Engineering Geology for Society and Territory: Volume 6. Applied Geology for Major Engineering Projects, pp. 567-570, Dordrecht: Springer. 

  114. Rosen, J. (2015), "Pumped up to Rumble", Science, Vol. 348, No. 6241, p. 1299. 

  115. Rudwick, M. J. S. (1985), The Great Devonian Controversy: The Shaping of Scientific Knowledge among Gentlemanly Specialist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6. Rudwick, M. J. S. (2007), Bursting the Limits of Time: The Reconstruction of Geohistory in the Age of Revolu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7. Rudwick, M. J. S. (2014), Earth's Deep History: How It Was Discovered and Why It Matter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18. Serres, M. (1995), The Natural Contract, Ann Arbor, MI: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19. Sismondo, S. (1993), "Some Social Constructions", Social Studies of Science, Vol. 23, No. 3, pp. 515-553. 

  120. Smith, B. H. (1997), Belief and Resistance: Dynamics of Contemporary Intellectual Controversi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21. Smith, B. H. (2018), Practicing Relativism in the Anthropocene: On Science, Belief and the Humanities, London: Open Humanities Press 

  122. Sohn, Y. K. & Son, M. (2004), "Synrift Stratigraphic Geometry in a Transfer Zone Coarse-Grained Delta Complex, Miocene Pohang Basin, SE Korea", Sedimentology, Vol. 51, pp. 1387-1408. 

  123. Sperling, A. (2019), "Anthropocene", in Goodman, R. T. ed., The Bloomsbury Handbook of 21st-Centry Feminist Theory, pp. 311-324, London: Bloomsbury Academic. 

  124. Steffen, W., Crutzen, P. J., & McNeill, J. R. (2007), "The Anthropocene: Are Humans Now Overwhelming the Great Forces of Nature", Ambio: A Journal of the human Environment, Vol. 36, No. 8, pp. 614-621, 

  125. Stengers, I. (2015a), "Accepting the Reality of Gaia: A Fundamental Shift?", in Hamilton, C., Bonneuil, C., & Gemenne, F. eds., The Anthropocene and the Global Environmental Crisis: Rethinking Modernity in a New Epoch, pp. 134-144, London: Routledge. 

  126. Stengers, I. (2015b), In Catastrophic Times: Resisting the Coming Barbarism, London: Open Humanities Press. 

  127. Stengers, I. (2017a), "Autonomy and the Intrusion of Gaia", South Atlantic Quarterly, Vol. 116, pp. 381-400. 

  128. Stengers, I. (2017b), Another Science is Possible: A Manifesto for Slow Science, Cambridge: Polity. 

  129. Stiegler, B. (2017), "Escaping the Anthropocene" in Magatti, M. ed., The Crisis Conundrum: How to Reconcile Economy and Society, pp. 149-163, London: Palgrave MacMillan. 

  130. Visconti, G. (2014), "Anthropocene: Another Academic Invention?", Rendiconti Lincei, Vol. 25, pp. 381-392. 

  131. Voosen, P. (2018. 4. 26), "Second-largest Earthquake in Modern South Korean History Tied to Geothermal Plant", Science News. 

  132. Walsh III, F. R. & Zoback, M. D. (2015), "Oklahoma's Recent Earthquakes and Saltwater disposal", Science Advances, 1 (e1500195, 18 June 2015), pp. 1-9. 

  133. Whitehead, A. N. (1938), Modes of Though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4. Zalasiewicz, J. Willimans, M., Haywood, A. & Ellis, M. (2011), "The Anthropocene: A New Epoch of Geological Time?",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A., Vol. 369, No. 1983, pp. 835-841. 

  135. Zang, A. Oye, V., Jousset, P., Deichmann, N., Gritto, R., McGarr, R., Major, E., & Bruhn, D. (2014), "Analysis of Induced Seismicity in Geothermal Reservoirs - An Overview", Geothermics, Vol. 52, pp. 6-21. 

  136. 김광희 (2019), 포항지진 인터뷰, (부산대학교, 2019년 11월 1일). 

  137. 이윤수 (2019), 포항지진 인터뷰, (포스텍, 2019년 3월 26일). 

  138. 홍태경 (2019), 포항지진 인터뷰, (연세대학교, 2019년 10월 4일).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