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슬기(Semisulcospira libertine)의 미생물 오염도 평가 및 해감 제거공정에 따른 저감화 효과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Semisulcospira libertine and Evaluation of Its Reduction Effects by Sediment Removal Treatment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4 no.4, 2019년, pp.361 - 366  

최만석 (경상대학교 해양산업연구소) ,  전은비 (경상대학교 해양산업연구소) ,  최승호 (한국쓰리엠 주식회사) ,  방현조 (한국쓰리엠 주식회사) ,  박신영 (경상대학교 해양산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다슬기 중의 자연균총의 정량적 오염도 분석과 해감 제거 공정(지하수, 상수)에 따른 저감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다슬기 중의 일반세균, 대장균군과 대장균, 진균황색포도상구균의 정량적 검출을 위해 표준평판법을 사용하여 각각 plate count agar (PCA), potato dextrose agar (PDA), 대장균군/대장균용 3M Petrifilm 및 황색포도상구균용 3M Petrifilm에 도말하여 집락을 계수하였다. 지하수와 상수 처리에 따른 이들 균의 저감화 정도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다슬기 원료 중의 미생물 오염도 분석시, 일반세균, 대장균군 및 진균은 각각 6.40, 2.70 및 $6.79{\log}_{10}CFU/g$로 조사되었다. 대장균과 황색포도상구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검출 한계: < $1{\log}_{10}CFU/g$). 그러나, 지하수로 해감 제거한 다슬기의 경우, 분석된 모든 미생물의 정량적 오염도가 원료 다슬기에 비해 높게 검출되었다. 특히 원료 다슬기에서 불검출이었던 대장균도 $2.46{\log}_{10}CFU/g$ 검출되었다. 상수로 해감 제거한 다슬기의 일반세균은 유의적으로 저감화 되지 않았으며(p<0.05), 대장균군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진균만이 약간의 저감화(0.2 log 이하)를 유의적으로 보였다(p>0.05). 본 연구결과 지하수와 상수를 이용해서 해감 제거하는 공정만으로는 다슬기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곤란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microbial contamivation semisulcospira libertine and effect of sedimentation treatment of major bacterial and fungal pathogens were investigated. The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s,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and yeast and mold present in raw and water-dipped Semisul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슬기 중의 자연균총의 정량적 오염도 분석과 해감 제거 공정(지하수, 상수)에 따른 저감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다슬기 중의 일반세균, 대장균군과 대장균, 진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의 정량적 검출을 위해 표준평판법을 사용하여 각각 plate count agar (PCA), potato dextrose agar (PDA), 대장균군/대장균용 3M Petrifilm 및 황색포도상구균용 3M Petrifilm에 도말하여 집락을 계수하였다.
  • 15) 그러나 아직까지 다슬기 해감 제거 공정과 관련된 미생물 저감화 효과에 대한 연구는 전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 채취한 다슬기 중 잔존 하는 자연균총(일반세균, 대장균군, 대장균, 진균, 황색포 도상구균)의 정량적 오염도를 분석하고 해감 제거(지하수 및 상수)에 따른 자연균총의 저감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슬기의 효능은?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삶아서 가식부를 그대로 섭취하거나 탕, 찜 무침으로 조리 하여 식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되며, 소화에 도움을 주고 간을 보호하며 빈혈증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바 있다1). 또한, 동의보감 및 본초 강목에서는 간염, 간경화, 지방간의 치료와 개선에 좋고, 신경통 완화, 숙취 해소, 갈증 해소에 효과가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2,3). 다슬기의 경우 국내에서 연간 2000여 톤이 소비되고 절반 이상이 수입에 의존한다.
다슬기의 생산량이 줄어드는 이유는? 지역 별로는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가 40억 원 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충북과 경북 지역에서는 내수면 어업 대표 품목으로 지정하고 생산량을 늘려 산업적으로 육성하고 있다5). 그러나 다슬기는 생활하수, 농약 등 수질 오염과 무분별한 하천정비 등으로 인해 자연산 다슬기의 생산량이 급격히 줄어들고, 최근 과도한 채집으로 그 수가 더욱 줄어 들고 있다. 최근 제약 및 식품 가공회사들도 다슬기로부터 약리 물질 추출에 관심을 가지고 있어 다슬기의 생산량이 일정하게 확보 가능하다면 다슬기 가공 산업도 활성화될 것으로 사료된다6).
다슬기란 무엇인가? 다슬기는 우리나라의 강, 호수, 계곡 등에 널리 서식하고 있는 민물 고둥류로서 옛날부터 건강보조식품으로서 기호도가 높은 유용 수산 자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삶아서 가식부를 그대로 섭취하거나 탕, 찜 무침으로 조리 하여 식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되며, 소화에 도움을 주고 간을 보호하며 빈혈증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바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im, Y.H., Lee, T.K., Cha, Y.S.: Studies of the nutritive component of black snail ( Semisulcospiria libertina ). J. Agric. Life Sci ., 16, 101-105 (1985). 

  2. Shim, T.H., Han, K.S., Lee, T.J., Cheong, E.H., Lee, H.K.: Composition of lipid and amino acid in Semisulcospiria lgorrschei tissue. J. Food Hyg. Saf ., 9, 81-87 (1994). 

  3. Kim, I.H.: An excellent means and principles of medical herbs. p. 29. In: Naturopathic medicine medical herbs. Kim, Y.S. (ed). Insandongcheon press., Hamyang, Korea (1999). 

  4. Kown, O.K., Park, G.M., Lee, J.S.: Coloured shell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mpany, Seoul, Korea p. 445 (1993). 

  5. Song, J.H, Kang, J.H.: The current status and tasks of Marsh snail restocking project based on economic performance evaluation. J. Fish. Mar. Sci. Educ., 28, 450-455 (2016). 

  6. NIFS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Studies on Semisulcospira libertine culture technology. Final Report (2003). 

  7. Mishra, R., Srdikar.: Depuration of meretrix casta. Indian. J. Anim. Sci., 59, 1360 (1990). 

  8. Sangrungruang, K., Sahavacharin, S.: Deouration of some economically important bivalves in Thailand. Asean. Food J ., 4, 101-106 (1990). 

  9. Hong, S.P, Kim, D.S, Kim, Y.M.: Effect of water temperature, salt and MgCl2 concentration on sand ejection characteristics of short Neck clam, Luditapes philippinarum , Korean J. Fish. Aquat. Sci. , 30, 114-118 (1997). 

  10. Kim, Y.K., Moon, H.S., Lee, M.H., Park, M.J., Lim, C.W., Park, H.Y., Park, J.I., Yoon, H.D., Kim, D.H.: Biological activities of seven Melania snails in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2, 434-441 (2009). 

  11. Lim, C.W., Kim, Y.K., Kim, D.H., Park, J.I., Lee, M.H., Park, H.Y., Jang, M.S.: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Melania snails in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2, 555-560 (2009). 

  12. Moon, S.K., Kim, I.S., Lim, C.W., Yoon, N.Y., Jeong, B.Y.: Proximate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commercial domestic and imported Melania Snails Semisulscospira sp. Korean J. Fish. Aquat. Sci., 48, 977-981 (2015). 

  13. Lee, M.H., Kim, Y.K., Moon, H.S., Kim, Y.A., Yoon, N.Y., Lim, C.W., Park, H.Y., Kim, D.H.: Antioxidant activities of five Melania snails of the genus Semisulcospira in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43, 188-194 (2010). 

  14. Pyo, S.E.: Anti-diabetic activation of enzymatic Semisulcospira coreama hydrolysates. MS thesis. Silla University Graduate School. Busan, Korea (2016). 

  15. KFDA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omparatives studies on foreign countries` standards for the treatment of contaminants in food raw materials and efficient uses of raw materials. Final Report (2016). 

  16. Solberg, M., Buckalew, J.J., Chen, C.C., Schaffner, D.W., O'Neil, K., Mcdowell, J., Post, L.S., Boderck, M.: Microbiological safety assurance system for foodservice facilities. Food Technol., 44, 68-73 (1990). 

  17. Donnelly, C.W., Briggs, E.H.: Psychrotrophic growth and thermal inactiv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as function of milk composition. J. Food Prot., 49, 994-998 (1986). 

  18. Bibek, R. and Arun, B.: Fundamental food microbiology 4th ED. Bioscience Publishing Company, Gyunggi-do, pp. 17-28, 291-295 (2013). 

  19. Lee, J.D, Jung, Y.K, Joo, W.H.: Mycological research. Sejong Book Publishing Company, Seoul, Korea pp. 107-144 (1994). 

  20. Bruno, D.W., Wood, B.P.: Saprolegnia and other oomycetes. pp. 599-659. In: Fish Diseases and Disorders. Wood, P. T. K., Bruno, D. W. (eds). Wallingford., UK (1999). 

  21. Song, K.C., Mok, J.S., Kang, C.S., Chang, D.S.: Sand elimination in shortnecked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 harvested from western coast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34, 179-183 (2001). 

  22. Song, K.C., Mok, J.S., Kang, C.S., Chang, D.S.: Sand Elimination and Microbial Depuration in surf clam, Mactra veneriformis, Harvested from Western Coast of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34, 184-189 (2001). 

  23. Kim, H.S.: Microbial hazard analysis of manufacturing processes for Takju.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Seoul, Korea (2016). 

  24. Kim, S.R, Oh, K.W, Lee, M.H., Jung, C.S., Lee, S.H., Park, S.J., Park, J.H., Ryu, K.W., Kim, B.S., Kim, D.H., Yun, J.C., Chung, D.H.: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combined with ultrasound and organic acids to reduce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on Perilla Leaves. J. Food Hyg. Saf ., 27, 264-270 (2012). 

  25. Kim, C., Hung, Y.C., Brachett, R.E.: Efficacy of electrolyzed oxidizing(EO) and chemically modified water on different types of food-borne pathogens. Int. J. Food Microbiol ., 61,199-207 (2000). 

  26. Zhou, B., Feng, H., Luo, Y.: Ultrasound enhanced sanitizer efficacy in redu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population on spinach leaves. J. Food Sci ., 74, 308-313 (2009). 

  27. Choi, J.I., Kim, H.J., Kim, J.H., Ahn, D.H., Chun, B.S., Lee, J.W.: Application of gamma ray irradiation to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dried seafood products. Korean J. Fish. Aquat. Sci., 43, 169-173 (20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