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국방수송물류의 민·군 통합 운영 방안 수립
Development of the Military-3PL Integrated Operation Strategy for National Defense Transportation using Simulation 원문보기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24 no.3, 2019년, pp.111 - 128  

(Graduate School of Logistic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공인택 (Graduate School of Logistic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김재원 (CJ Express) ,  서한석 (Graduate School of Logistic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신광섭 (Graduate School of Logistic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우리 군의 군수품 조달은 육 해 공군이 개별 보급단, 군지사 및 보급창을 중심으로 구성된 물품 조달 체계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납품업체로부터 사용부대까지는 직납의 형태로 배송하고 있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 데 한계가 있다. 생산원가를 포함한 여러 비용 중 운송비용은 일반관리비용 중 하나로 정의되고, 연 단위 일괄 계약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로 인해 실제 납지 기준의 현실적인 운송비용이 산정될 수 없어 국방 예산 집행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각 군이 개별적인 조달 체계를 운영하고 있어 유사 시 빠르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방 수송 분야에 민 군 통합 수송 체계를 구축하여 운영의 효과를 이미 검증한 미군의 DTCI(Defense Transportation Coordination Initiative)를 조직구성과 운영 방식 관점에 벤치마킹하고, 이를 우리 군의 운영 상황에 적합한 민 군 통합 운영 체계 수립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새롭게 제안되는 국방 수송 체계의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해 과거 실제 납품 실적을 바탕으로 Hub & Spoke 방식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직납 체계와 운송거리 측면에서의 정량적 비교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 군의 군수품 수송 체계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체 계획 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current procurement system in Korean military, the army, navy and air force have their own distributors, military branches and warehouses. However, especially, it has been hard to have the economy of scale because most of suppliers have shipped their order from the suppliers to each of Korean...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방 수송 분야에 민·군 통합 수송 체계를 구축하여 운영의 효과를 이미 검증한 미군의 DTCI(Defense Transportation Coordination Initiative)[6]를 조직 구성과 운영 방식 관점에서 벤치마킹하고, 우리 군의 운영 상황에 적합한 민·군 통합 운영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군의 존재 목적 특성상 경제성 기준만을 고려하는 것은 다양한 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투준비태세를 고려한 비용 최소화를 목적으로 통합물류체계를 제시하였다. 특히, 군 물류 관리 체계의 가장 하위 단계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전체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 물류 및 공급사슬의 통합 운영 방식에 대한 기존 연구는 많이 찾아볼 수 있으나,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인 실제 현장에서 3PL 기업과 프로세스를 통합하는 방법이 성과 개선을 보장할 수 있음을 증명한 사례를 중심으로 선행 연구를 분석한다. Daugherty[2]은 물류 기업의 경연진이 가진 통합물류 방식에 대한 인식 수준을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미군의 DTCI 프로그램을 우리 군에 적합한 한국형 민·군 통합 운영 체계를 제안하기 위해 벤치마킹 기법을 활용하여 DTCI 프로그램의 제도 및 프로세스 그리고 현재 우리 군의 조달 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 본 장에서는 미군의 DTCI 체계의 벤치마킹 결과와 함께 우리 군의 군수품 조달 현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3PL 기업을 활용한 민군 통합 운영 체제의 기본적인 운영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실제 납품 실적을 바탕으로 수행된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안의 도입 타당성을 검증한다.
  •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군수품의 경우 조달되는 품목의 수가 많고 필요 시점이 다양하고, 그 양 역시 소요 부대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뿐만 아니라 조달업체와 소요 부대가 산재해 있어 수리 모형을 통한 최적해를 구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본 연구에서는 실제 납품 실적과 조달업체 및 소요 부대의 위치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기반의 시나리오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따라서 전투준비태세를 고려한 비용 최소화를 목적으로 통합물류체계를 제시하였다. 특히, 군 물류 관리 체계의 가장 하위 단계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전체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각 군 내 보급창 및 품종별 운영실태분석을 통해 운송재고(Pipeline Inventory) 효율화 방안과 통합 물류체계 재구축 방향을 제시한 사례도 찾을 수 있다[1].
  • [16]은 공급사슬의 통합 운영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고, 실제 도입 성과를 검증하였다. 해당 연구에서는 관계형 전략을 추구하고 이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 및 측정 구조를 개발하였다. 이를 통합물류를 위한 도구를 활용할 경우, 높은 수준의 성과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주장하였다[16].

가설 설정

  • • 거점과 거점 사이에 제품 이송을 담당하는 트럭은 25톤 윙바디(wing-body)이며 최대 적재 CBM은 58로 가정하며, 조달업체와 거점, 거점과 부대 사이의 운송 트럭의 최대 용량은 11톤으로 가정한다.
  • • 물류 거점은 크로스도킹(Cross Docking) 방식으로 운영하며, 재고 보관 기능은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 • 특정 업체 및 부대로부터 제품의 상·하차에 소요되는 시간은 1시간으로 가정한다.
  • 현재 군에서 보유한 시설 중 통합물류센터로 활용 가능한 후보지 중 군의 물류거점화 계획에 근거하여 권역별 4개의 후보지를 선정하였다. 특히, 조달업체와 소요부대가 밀집된 수도권 (A) 강원권 (B)의 후보지들은 반드시 포함하는 것을 가정한다. 물류거점의 수를 4개와 3개로 구성하는 기준으로 시나리오를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첫 번째 유형에서는 부산·경남권(D), 대구·경북권 (E) 후보지에 대한 상대 비교를 위한 시나리오 두 개로 설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우리 군의 군수품 조달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현재 우리 군의 군수품 조달은 육․해․공군이 개별 보급단, 군지사 및 보급창을 중심으로 구성된 물품 조달 체계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육군의 경우, 군수조직은 각 군의 보급단, 군지사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군과 공군은 육군 군지사와 각 군 보급창을 통하여 물품 조달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각 군의 편제 자산은 군별로 관리하고 소요 발생 시 소속 위주로 우선 사용되고 있어 합동성이 요구되는 유사시 유연한 대응을 할 수 없고, 충청, 경북, 경남권 등 동일 권역에서 각 군의 주요 부대군수지원부대가 편제되어 있어 합동 지원의 필요성도 존재한다.
현재의 국방 수송 관리 체계의 문제점으로 인해 어떤 것이 필요한가? 현재 국방 수송 관리 체계는 탄약(5종)을 제외한 나머지 군수 품목들을 각 군에서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각 군의 개별적 관리는 동일 혹은 유사 품목에 대한 개별 관리로 인해 낭비되는 요소가 존재하며, 범위와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 전군의 군수품을 대상으로 하는 통합 관제 시스템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1]. 또한, 군수품 조달 과정은 계약 과정이 길어지면 생산, 제품검사, 배송 기간이 줄어들어 연말에 물량이 집중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군수품의 생산부터 배송까지의 과정에서 전군의 예산 편성과 계약까지의 과정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주체가 필요하며, 민간에서 생산되는 군수품의 효율적인 조달을 위한 민간 수송자원의 활용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
각 군의 편제 자산의 한계 및 필요성은? 육군의 경우, 군수조직은 각 군의 보급단, 군지사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군과 공군은 육군 군지사와 각 군 보급창을 통하여 물품 조달 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각 군의 편제 자산은 군별로 관리하고 소요 발생 시 소속 위주로 우선 사용되고 있어 합동성이 요구되는 유사시 유연한 대응을 할 수 없고, 충청, 경북, 경남권 등 동일 권역에서 각 군의 주요 부대군수지원부대가 편제되어 있어 합동 지원의 필요성도 존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