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북 보은지역 대추나무의 장님노린재 발생 특성 및 활용 가능한 살충제 선발
Evaluating Pesticides for Controlling Apolygus spinolae and A. lucorum Mirid Bug Population Patterns in Jujube Orchards in Boeun, Chungbuk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8 no.3, 2019년, pp.197 - 202  

이성균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강효중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이경희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오하경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박희순 (충청북도농업기술원) ,  신현만 (충청북도농업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대추에 장님노린재에 의한 피해가 발생함에 따라 대추재배 농가들이 적절한 방제를 할 수 있도록 시기별 발생 밀도, 우점종 조사, 방제 가능 약제 선발 등의 시험을 수행하였다. 대추과원에서 발생하는 장님노린재의 발생 밀도를 2년에 걸쳐 조사 한 결과, 약충은 5월 상순부터 발생하여 7월 중순까지 발생 하였으며, 성충은 5월 하순부터 발생하여 7월 중하순까지 발생하였다. 또한 대추과원에서 발생하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와 초록장님노린재의 밀도의 경우 45개체 중 40개체가(약 89%)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인 것으로 조사되어 대추나무를 가해하는 장님노린재 중 우점종은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추과원에서 장님노린재 방제에 활용할 수 있는 살충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9종 살충제들을 대상으로 한 야외시험에서 pyrifluquinazon, deltamethrin, diazinon, dinotefuran, etofenprox, fenitrothion, bifenthrin 7종이 80% 이상 살충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 조사 된 살충제를 이용하여 대추나무 발아 직전부터 방제를 하면 대추과원에서 장님노린재 방제가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ujube tree farms need effective methods of pest control to reduce damage caused by mirid bugs.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density of mirid bug populations in jujube trees and tested the efficacy of various insecticides. We observed seasonal density patterns, where nymphs were observed from earl...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추과원에 발생하고 있는 장님노린재의 시기별 발생 밀도를 조사하기 위해 충북 보은군 내 2곳의(Table 1) 무방제 시험 포장을 선정하여 페로몬 트랩이 아닌 타락법을 이용하여 대추나무 내 장님노린재의 정확한 밀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인 대추나무의 네 줄기를 방향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임의로 선정 한 후, 지름 80 cm 크기의 원판을 줄기 바로 아래에 두고 막대기로 각 10회씩 충격을 가하여 밑으로 낙하되는 장님노린재의 약충과 성충의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추에 발생하고 있는 신규 해충들인 장님노린재의 방제에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장님노린재의 대추과원에서 발생 특성, 우점종 및 야외 방제에 이용할 수 있는 살충제 등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 이는 조사 방법과 대추나무와 포도나무의 생육 차이 때문에 발생 한 것으로 판단된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대추나무에 실제로 분포하고 있는 장님노린재만을 조사하기 위해 타락법을 이용하여 조사를 하였다. 또한 항상 어린조직만을 가해하고 성숙한 조직은 가해하지 않는 장님노린재의 특성을 보았을 때(Kim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Apolygus spinolae(Meyer-Dür)]와 초록장님노린재는 어떻게 부화하여 성장하는가? lucorum (Meyer-Dür)]는 주로 포도의 어린 눈을 가해하는 해충이다. 두 종은 포도나무에서 알로 월동 후 이른 봄 부화하여 피해를 입히며(Lee et al.,2002), 부화한 약충은 포도의 어린 조직을 흡즙하여 영양분을 취해 성충으로 성장 후, 포도과원 안팎의 초본 식물로 기주를 이동 한다(Kasiwara et al., 1986).
충남 보은 지역을 중심으로 한 대추재배 면적은 최근 3년간 얼마나 증가하였는가? 대추는 기존 한약의 한 재료나 음식의 부 재료라는 인식이 강하였으나, 높은 당도와 좋은 식감 때문에 생식용 과일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충북 보은지역을 중심으로 생대추 생산을 목적으로 재배하는 농업인이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3년간 대추재배 면적이 2015년 4,713 ha에서 2017년 5,171 ha로 증가하였다(MAFRA, 2019). 이와 같이 대추 재배농가와 재배면적의 확대와 더불어 기존에 부각되지 않았던 해충들의 피해 역시 증가하고 있는데, 그 중 장님노린재의 발생이 대추과원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이 2016년 Yang et al.
대추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대추는 기존 한약의 한 재료나 음식의 부 재료라는 인식이 강하였으나, 높은 당도와 좋은 식감 때문에 생식용 과일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충북 보은지역을 중심으로 생대추 생산을 목적으로 재배하는 농업인이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3년간 대추재배 면적이 2015년 4,713 ha에서 2017년 5,171 ha로 증가하였다(MAFRA, 20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