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차박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활성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tea (Camellia sinensis L.) residue extract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62 no.3, 2019년, pp.281 - 286  

김동청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Chungwoo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홍차를 우려내고 남은 부산물인 홍차박을 30% 에탄올로 추출하여 수율,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홍차박의 추출 수율은 $22.4{\pm}1.18%$이었고, 폴리페놀은 추출물에 $23.2{\pm}1.02{\mu}g\;GAE/mg$ 들어있었다. 홍차박 추출물은 양이온라디칼, 유리라디칼아질산염을 농도에 비례하여 소거하였고, 환원력지질과산화 억제활성도 농도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홍차박 추출물의 ABTS 양이온라디칼, DPPH 유리라디칼 및 아질산염 소거에 대한 $IC_{50}$값은 각각 141.8, 108.1 및 $397.2{\mu}g/m$이었고, 환원력에 대한 $IC_{50}$값은 $97.8{\mu}g/mL$로 나타났다. 또한 홍차박 추출물은 linoleic acid의 과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결론적으로 홍차박 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유하고 있어 생리활성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black tea (Camellia sinensis L.) residue extract (BTRE) was prepared by 30% ethanol extraction to evaluate its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The yield and polyphenol content of BTRE were $22.4{\pm}1.18%$ and $23.2{\pm}1.02{\mu}g$ gallic acid equivalents/mg-extract, respect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홍차박의 활용에 대해서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홍차박의 추출 수율을 높이는 방법[12]이 보고되었고, 홍차박을 80% 메탄올 및 10% 에탄올로 추출하여 폴리페놀 함량과 유리라디칼 소거활성을 확인[11,13] 한 연구가 있으나 아직까지 홍차박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형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차박에 잔존하는 항산화 성분을 물과 에탄올의 혼합용액으로 추출한 후 폴리페놀 함량, 다양한 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 아질산염 소거활성, 환원능 및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확인하여 홍차박의 항산화능에 관한 기존의 연구[11-13]를 보완함으로써 대부분 폐기되는 홍차박의 생리활성 소재로서 활용도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차의 정의는 무엇인가? 차(Camellia sinensis L.)는 커피와 함께 전 세계에서 음료로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는 식물이다. 차잎에는 카테킨과 플라보노이드계 등의 폴리페놀 화합물이 건조중량 대비 10-25% 들어있으며[1], 차잎의 폴리페놀의 75% 이상을 차지하는 카테킨류의 주요 화합물로는 (+)-catechin, (−)-epicatechin, (−)-epigallocatechin, (−)-epigallocatechin gallate, (−)-epicatechin gallate 등이 알려져 있다[2].
차(Camellia sinensis L.)에 들어있는 주요 성분들과 화합물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는 커피와 함께 전 세계에서 음료로 가장 많이 소비되고 있는 식물이다. 차잎에는 카테킨과 플라보노이드계 등의 폴리페놀 화합물이 건조중량 대비 10-25% 들어있으며[1], 차잎의 폴리페놀의 75% 이상을 차지하는 카테킨류의 주요 화합물로는 (+)-catechin, (−)-epicatechin, (−)-epigallocatechin, (−)-epigallocatechin gallate, (−)-epicatechin gallate 등이 알려져 있다[2]. 차잎의 폴리페놀은 강력한 천연 항산화 물질로서 항염증, 항돌연변이 및 항암 효과를 가지고 있고[3,4], 고혈압과 동맥경화 억제 등의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5,6].
주로 음용하는 차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주로 음용하는 차의 종류로는 차잎을 열처리한 녹차(green tea), 반발효차인 우롱차(oolong tea) 및 차잎을 85% 정도 발효시킨 홍차(black tea) 등이 있으며 열처리 및 발효 정도에 따라 차의 맛과 향의 기호뿐만 아니라 성분과 약리효과도 달라진다[1,7]. 세계에서 생산되는 차의 비중이 홍차 78%, 녹차 20% 및 우롱차 2%로 알려져 있듯이 홍차가 주된 차 제품으로 자리잡고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Kang KO (2011) Physiologic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reen, oolong and black tea extrac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243-249 

  2. 최옥자, 최경희. 발효정도에 따른 국내산 야생차(녹차, 반발효차, 홍차)의 이화학적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32, no.3, 356-362.

  3. Thitimuta, Surached, Pithayanukul, Pimolpan, Nithitanakool, Saruth, Bavovada, Rapepol, Leanpolchareanchai, Jiraporn, Saparpakorn, Patchreenart. Camellia sinensis L. Extract and Its Potential Beneficial Effects in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Hepatotoxic, and Anti-Tyrosinase Activities. Molecules a journal of synthetic chemistry and natural product chemistry, vol.22, no.3, 401-.

  4. Chung, Fung-Lung, Schwartz, Joel, Herzog, Christopher R., Yang, Yang-Ming. Tea and Cancer Prevention: Studies in Animals and Humans. The Journal of nutrition, vol.133, no.10, 3268S-3274S.

  5. MURAMATSU, Keiichiro, FUKUYO, Mayumi, HARA, Yukihiko. Effect of green tea catechins on plasma cholesterol level in cholesterol-fed rats.. Journal of nutritional science and vitaminology, vol.32, no.6, 613-622.

  6. Ishikawa, T, Suzukawa, M, Ito, T, Yoshida, H, Ayaori, M, Nishiwaki, M, Yonemura, A, Hara, Y, Nakamura, H. Effect of tea flavonoid supplementation on the susceptibility of low-density lipoprotein to oxidative modification.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vol.66, no.2, 261-266.

  7. 손미예, 김성희, 남상해, 박석규, 성낙주. 국내산 녹차 및 후발효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ol.14, no.6, 920-924.

  8. Mukhtar, Hasan, Ahmad, Nihal. Tea polyphenols: prevention of cancer and optimizing health.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vol.71, no.6, 1698S-1702S.

  9. Kimutai, Samuel, Wanyoko, John, Kinyanjui, Thomas, Karori, Stephen, Muthiani, Augustine, Wachira, Francis. Determination of Residual Catechins, Poly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eveloped Theaflavin-3,3’-Digallate Rich Black Teas. Food and nutrition sciences, vol.7, no.3, 180-191.

  10. Leung, Lai Kwok, Su, Yalun, Zhang, Zesheng, Chen, Zhen-Yu, Huang, Yu, Chen, Ruoyun. Theaflavins in Black Tea and Catechins in Green Tea Are Equally Effective Antioxidants. The Journal of nutrition, vol.131, no.9, 2248-2251.

  11. Abdeltaif, Samar, SirElkhatim, Khitma, Hassan, Amro. Estimation of Phenolic and Flavonoid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pent Coffee and Black Tea (Processing) Waste for Potential Recovery and Reuse in Sudan. Recycling : open access journal, vol.3, no.2, 27-.

  12. Tsubaki, S., Sakamoto, M., Azuma, J.i..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tea residues under autohydrolytic conditions. Food chemistry, vol.123, no.4, 1255-1258.

  13. 10.14499/indonesianjcanchemoprev1iss1pp54-59 

  14. 10.1016/S0021-9258(18)88697-5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15. Re, Roberta, Pellegrini, Nicoletta, Proteggente, Anna, Pannala, Ananth, Yang, Min, Rice-Evans, Catherine.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vol.26, no.9, 1231-1237.

  16. BLOIS, MARSDEN 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vol.181, no.4617, 1199-1200.

  17. 김영현, 이영준, 박선옥, 이상종, 이옥환. 흑미(복합)발효물의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 평가.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45, no.2, 262-266.

  18. GRAY, J. I., DUGAN JR., L. R..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S. Journal of food science : an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stitute of Food Technologists, vol.40, no.5, 981-984.

  19. 10.3329/bjp.v11i3.27663 

  20. NAKATANI, Nobuji, KIKUZAKI, Hiroe. A new antioxidative glucoside isolated from oregano (Origanum vulgare L.).. Agricultural and biological chemistry, vol.51, no.10, 2727-2732.

  21. 권영지, 김동청. Napier grass (Penninsetum purpureum) 에탄올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 효과.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ol.62, no.2, 167-172.

  22. Kim, Chikwang, In, Man-Jin, Kim, Dong Chung.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Boehmeria nivea L. Leaves. 산업식품공학 = Food engineering progress, vol.19, no.1, 76-81.

  23. 김동청, 인만진. 백연수(Leucaena leucocephala (Lam.) de Wit) 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능.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ol.60, no.2, 185-190.

  24. 인만진, 김은정, 김동청. 두충잎 아세톤 추출물의 in vitro 항암 및 항산화 효과.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ol.61, no.2, 119-124.

  25. Lee YJ, Ahn MS, Oh WT (1998) A study on the catechins content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green oolong and black tea, J Fd Hyg Safety 13: 370-376 

  26. Ardestani, Amin, Yazdanparast, Razieh.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Achillea santolina extracts. Food chemistry, vol.104, no.1, 21-29.

  27. Jeong CH, Kang ST, Joo OS, Lee SC, Shin YH, Shim KH, Cho SH, Choi SG, Heo HJ (2009) Phenolic content, antioxidant effect and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ctivity of Korean commercial green, puer, oolong, and black teas, Korean J Food Preserv 16: 230-237 

  28. 이영민, 배지현, 정호영, 김재현, 박동식. 국내산 산채류의 물 및 메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40, no.1, 29-36.

  29. Zhang, Qiang, Su, Yinquan, Zhang, Jingfang. Seasonal Difference in Antioxidant Capacity and Active Compounds Contents of Eucommia ulmoides Oliver Leaf. Molecules a journal of synthetic chemistry and natural product chemistry, vol.18, no.2, 1857-1868.

  30. Lee SO, Lee HJ, Yu MH, Im HG,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0 

  31. Yeo SG, Ahn CW, Lee YW, Lee TG, Park YH, Kim SB (1995) Antioxidative effect of tea extracts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J Korean Soc Food Nutr 24: 299-304 

  32. 오중학, 김은희, 김정례, 문영인, 강영희, 강정숙. DPPH 방법을 통한 녹차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33, no.7, 1079-1084.

  33. Lee SH, Jin YS, Heo SI, Shim TH, Sa JH, Choi DS, Wang MH (2006) Composition analysis and antioxidative activity from different organs of Cirsium setidens Nakai,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71-576 

  34. , 장귀영, 이상훈, 우관식, 신현만, 김홍식, 이준수, 정헌상. 고구마 품종별 잎과 잎자루의 성분특성과 항산화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41, no.12, 1656-1662.

  35. Mirvish, S.S.. Role of N-nitroso compounds (NOC) and N-nitrosation in etiology of gastric, esophageal, nasopharyngeal and bladder cancer and contribution to cancer of known exposures to NOC. Cancer letters, vol.93, no.1, 17-48.

  36. Park CS, Kim ML (2006) Functional properties of mugwort extrac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mugwort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3: 161-167 

  37. 전현일, 김영애, 김영수. 복분자와 오디의 항산화 특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43, no.3, 381-388.

  38. Ismail, Maznah, Manickam, Elizabeth, Danial, Azlina Md, Rahmat, Asmah, Yahaya, Asmah.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trobilanthes crispus leaf extract. The Journal of nutritional biochemistry, vol.11, no.11, 536-5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