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문화간호역량 측정도구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Cultural Competence Scale for Registered Nurses (CCS-RN)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0 no.3, 2019년, pp.281 - 294  

김경원 (대구한의대학교 간호학과) ,  김선희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김영희 (동국대학교 간호학과) ,  김현경 (공주대학교 간호학과) ,  박혜숙 (동양대학교 간호학과) ,  이선희 (김천대학교 간호학과) ,  정금희 (한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ultural Competence Scale for Registered Nurses (CCS-RN) and to examin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The item pool was generated based on related scales, a wide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n-depth interviews with nurses according to Purnell's cult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설문조사 당시 휴직 중이거나 설문 응답을 중도에 포기한 34부의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 326명의 자료를 탐색적 요인분석에 사용하였다. 또한 검사-재검사의 표본 크기는 50명 이상을 권장하고 많을수록 좋다고 하므로[14] 본 연구에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200명을 목표로 하였다. 재검사 대상자는 1차 조사에서 2차 조사에 자발적으로 참여의사를 밝힌 대상자이며,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재검사에 응답하지 않은 27명을 제외하고 최종 17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 81이었다. 문화적 공감은 문화역량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17]에 의해 본 도구의 수렴타당도의 검정을 위해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 다문화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문화간호역량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한 것으로 이 도구의 타당도, 신뢰도 검정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다문화 대상자를 간호하는 국내 간호사들의 문화간호 역량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의 실정에 맞는 문화간호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그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는 것이다. 문화간호역량 측정도구는 내용타당도, 구성타당도, 수렴과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였고, 내적일관성 신뢰도와 검사-재검사를 통해 도구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문화간호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정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이에 간호사의 다문화 대상자 간호 경험을 바탕으로 문화간호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는 다문화 대상자를 돌보아야 할 국내 간호사의 문화간호역량 수준을 평가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강화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 Purnell [12]은 문화역량 모형에서 글로벌사회, 지역사회, 가족, 개인, 미지의 영역으로 점차 축소되는 영역이 존재하며, 개인영역에 12개 문화영역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문화간호역량은 Purnell [12]이 제시한 개인의 문화영역인 의사소통, 가족의 역할과 조직, 근무여건, 문화생태, 고위험 건강행위, 영양, 장례 의식, 영성, 건강관리행위, 건강관리제공자에 대한 대상자의 문화적 특성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간호를 적용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문화간호역량 도구의 Cronbach’s ⍺로 내적일관성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문화간호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개발된 도구의 내용타당도, 구성타당도, 수렴타당도, 판별 타당도를 검정한다.
  • 본 연구의 문화간호역량 측정도구는 널리 알려진 문화역량모형을 도구개발의 기틀로 하였으며, 기존 문화간호역량 측정 도구와 문헌고찰, 그리고 한국의 현실을 반영하기 위해 다문화 대상자 간호 경험이 있는 간호사들과의 심층 면담, 현직 다문화 간호사의 내용타당도 검정과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간호사의 문화간호역량의 내용타당도를 높이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I-CVI와 S-CVI/Ave가 모두 기준 이상으로 나타나 내용타당도를 확보했다[19].
  • 본 연구자들은 Purnell [12]의 문화역량 모형이 개인의 다양한 문화적 가치관, 신념, 실행을 결정하는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문화적 구성요소를 포함하므로 이 모형의 개인의 문화영역을 기반으로 국내 문화간호 현실을 반영한 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었다. 이에 간호사의 다문화 대상자 간호 경험을 바탕으로 문화간호역량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는 다문화 대상자를 돌보아야 할 국내 간호사의 문화간호역량 수준을 평가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강화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화간호역량이란? Purnell [12]은 문화간호역량을 대상자의 문화에 맞도록 간호를 적응시키는 것이라고 하였다. 간호사는 다른 환경요인들이 대상자에게 지나치게 영향을 주지 않도록 이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하고, 대상자의 문화, 건강요구, 건강과 질병의 의미를 알고 문화적 차이를 받아들이고 존중해야 한다.
외국인들이 보건의료서비스의 전달과 접근성에서 불평등을 느끼는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사는 대상자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들에게 필요한 최적의 간호를 그들이 수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간호사는 대상자와 의사소통이 어려워 그들을 문화적으로 배려할 수 없고, 한국인을 돌보는 방식대로 간호를 제공한다[2]. 이런 점을 두고 외국인들은 보건의료서비스의 전달과 접근성에서 출신국가와 민족 간 불평등이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3].
문화간호의 특징은 무엇인가? 다문화 대상자를 돌보는 간호사는 그들의 다양한 문화와 신념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다문화 대상자의 문화에 적합하고 의미 있는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문화간호역량을 갖추어야 한다[6]. 문화간호는 대상자와 간호제공자 간의 관계에서 신뢰를 높이고, 건강과 질병의 관찰과 통제를 더욱 쉽게 만들며, 평등하고 적절한 건강서비스 제공과 안전을 높일 수 있다[7]. 그러나 외국에 비해 한국은 최근에서야 간호사가 문화역량을 갖추어야 할 필요성과 이들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을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istry of Justice. November 2018 statistical monthly report of immigration service and foreign policy [Internet]. Seoul: Ministry of Justice. 2018 [cited 2019 Jamuary 03]. Available from: http://www.moj.go.kr/viewer/skin/doc.html?rs/viewer/result/bbs/160&fn1546651724857101 

  2. Kim SH, Kim KW, Bae KE. Experiences of nurses who provide childbirth care for wom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4;28(1):87-101. https://doi.org/10.5932/JKPHN.2014.28.1.87 

  3. Hwang M, Jang I. A study of predictors influencing access to health care service by immigrant wives: Focusing on different analysis using andersen behavioral model. Journal of Governance Studies. 2017;12(1):31-57. 

  4. Kim SH. The conception and factors that affect the utilization of health care services among foreign migrant workers in Korea. Journal of Multi-Cultural Contents Studies. 2015;18:255-297. 

  5.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 analysis on the national survey of multicultural families 2015 [Internet]. Seoul: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7 [cited 2018 December 28]. Available from: http://www.mogef.go.kr/kor/skin/doc.html?fn63_199.pdf&rs/rsfiles/201908/ 

  6. Jeong GH, Park HS, Kim KW, Kim YH, Lee SH, Kim H-K. A concept analysis of cultural nursing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6;22(2):86-95. https://doi.org/10.4069/kjwhn.2016.22.2.86 

  7. Gil Estevan MD, Solano Ruiz MDC. Application of the cultural competence model in the experience of care in nursing professionals primary care. Aten cion Primaria. 2017;49(9):549-556. https://doi.org/10.1016/j.aprim.2016.10.013 

  8. Purnell L. Are we really measuring cultural competence?. Nursing Science Quarterly. 2016;29(2):124-127. https://doi.org/10.1177/0894318416630100 

  9. Chae DH, Lee CY.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ultural competence scale for clinical nurses. Asian Nursing Research. 2014;8(4):305-312. https://doi.org/10.1016/j.anr.2014.06.004 

  10. Oh WO, Park ES, Suk MH, Im YJ.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transcultural self-efficacy scale for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6;46(2):293-304. https://doi.org/10.4040/jkan.2016.46.2.293 

  11. Henderson S, Horne M, Hills R, Kendall E. Cultural competence in healthcare in the community: A concept analysis. Health &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2018;26(4):590-603. https://doi.org/10.1111/hsc.12556 

  12. Purnell L. The Purnell model for cultural competence.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2002;13(3):193-196. https://doi.org/10.1177/10459602013003006 

  13. MacCallum RC, Widaman KF, Zhang S, Hong S. Sample size in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999;4(1):84-99. https://doi.org/10.1037/1082-989X.4.1.84 

  14. Streiner DL, Norman GR, Cairney J. Health measurement scales: A practical guide to their development and use. 5th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186-192 p. 

  15. Wang Y-W, Davidson MM, Yakushko OF, Savoy HB, Tan JA, Bleier JK. The scale of ethnocultural empathy: Development, validation, and reliabilit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003;50(2):221-234. https://doi.org/10.1037/0022-0167.50.2.221 

  16. Kim J-Y. A study on color-blind racial attitudes and cultural competence of service providers in multicultural setting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cultural empathy and multicultural training [dessertation]. [Seou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13. 205 p. 

  17. Park HJ, Kim NH.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sensitivity, empathy, and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7;7(4):487-498. https://doi.org/10.14257/AJMAHS.2017.04.09 

  18. Colaizzi PE.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cal views. In: Valle RS, King M, editor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 for psychology.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p. 48-71. 

  19. Polit DF, Beck CT, Owen SV. Is the CVI an acceptable indicator of content validity? Appraisal and recommendation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7;30(4):459-467. https://doi.org/10.1002/nur.20199 

  20. Pett MA, Lackey NR, Sullivan JJ. Making sense of factor analysis: The use of factor analysis for instrument development in health care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2003. 348 p. 

  21. Brown T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applied research. 2nd ed.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2015. 462 p. 

  22. Cicchetti DV. Methodological commentary the precis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estimates re-visited: Distinguishing between clinical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of sample size reuirements.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2001;23(5):695-700. https://doi.org/10.1076/jcen.23.5.695.1249 

  23. Campinha-Bacote J. The process of cultural competence in the delivery of healthcare services: The journey continues. 5th ed. Cincinnati, OH: Transcultural C.A.R.E. Associates; 2007. 133 p. 

  24. Bernal H, Froman R. Influences on the cultural self-efficacy of community health nurses.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1993;4(2):24-31. https://doi.org/10.1177/104365969300400205 

  25. Schwarz JL, Witte R, Sellers SL, Luzadis RA, Weiner JL, Domingo-Snyder E, et al.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assessment of the healthcare provider cultural competence instrument. Inquiry: A Journal of Medical Care Organization, Provision and Financing. 2015;52:1-8. https://doi.org/10.1177/0046958015583696 

  26. Schim S, Doorenbos A, Miller J, Benkert R. Development of a 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instrument.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2003;11(1):29-40. https://doi.org/10.1891/106137403780954949 

  27. Jeffreys M, Dogan E. Factor analysis of the transcultural self-efficacy tool (TSET).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2010;18(2):120-139. 

  28. Iacobucci D, Duhachek A. Advancing?: Measuring reliability with confidence.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2003;13(4): 478-487. https://doi.org/10.1207/S15327663JCP1304_14 

  29. Shen Z. Cultural competence models and cultural competence assessment instruments in nursing: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2015;26(3):308-321. https://doi.org/10.1177/1043659614524790 

  30. Kang HY. Cultural and and health: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2nd ed. Seoul: Hyunmoonsa; 2015. 243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