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장여성의 연도별 출산 계획 변화 및 관련요인 분석
An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Annual Trends in Childbirth Plans by Female Worker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0 no.3, 2019년, pp.357 - 367  

이지선 (듀크대학교 간호대학) ,  정혜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of Korean female workers' childbirth plans and to establish measures to improve the childbirth plan. Methods: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part in the 1st, 3rd, and 5th year surveys of the Korean Longitudinal Pane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직장여성의 연도별 출산 계획을 파악하고, 출산을 계획하지 않는 요인을 확인하여 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출산 계획을 증가하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시도 되었다. 분석을 위해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서 시행하는 여성가 족패널조사의 1차 연도(2007년) 593명, 3차 연도(2010년) 862명, 5차 연도(2014년) 864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여성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여성가족패널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인구대체 수준 이하의 출산율을 가진 직장여성만을 대상으로 출산을 하지 않는 요인들을 확인하였다. 여성가족패널조사는 여성정책을 수립하고 주요 이슈들에 대한 정책을 정확하게 포착하고 효과성을 평가 및 추정하기 위해 구축되었으며, 일과 가정을 포함한 여성의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연관성을 가지는 특성을 반영하는 장점이 있다.
  • 그리고 여성의 생활세계를 경험적으로 규명하고 우리 사회 가족의 현재와 미래를 전망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저출산 현상을 추적하여 출산과 관련된 문제를 파악하기에 적합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가족패널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직장여성이 출산을 계획하지 않는 요인을 규명하여 출산율 감소를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65년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얼마인가?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1965년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5.60명으로 세계 합계출산율 5.03명보다 높은 수치이었다[1].
우리나라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부적으로 어떠한 정책을 하고있는가? 우리나라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6년에 저출산․ 고령사회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1차(2006~2010년) 출산과 양육에 유리한 환경조성, 2차(2011~2015년) 점진적 출산율 회복,3차(2016~2020년) OECD 국가 평균수준의 출산율 회복을 정책목표로 설정하였다. 세부적으로는 1차 연도에 보육 및 교육비 지원을 확대하였고, 2차 연도에는 대상자를 확대하고, 일-가정 양립과 직장 내 육아와 교육 혜택을 확충하였으며, 3차 연도에는 만혼추세 완화, 맞벌이 가구의 출산율 제고, 출생과 양육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20~30대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에서 대상자들이 생각하는 적정 자녀수는 평균2명 이상이고, 그 비율도 2010년 71.
인구고령화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인가? 17명으로 1970년 이후 가장 적은 출생아 수를 기록하였다[3]. 출산율의 감소는 평균 수명의 상승과 사망률의 감소로 인구고령화가 되는 가장 큰 원인이다[4]. 특히 초저출산국은 출산율이 인구대체 안전선(safety zone)인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Total fertility rate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7 [cited 2018 August 31]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2KAA207&vw_cdMT_RTITLE&list_idZTIT_B&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K1&path%25EC%25A3%25BC%25EC%25A0%259C%25EB%25B3%2584%2520%25EA%25B5%25AD%25EC%25A0%259C%25ED%2586%25B5%25EA%25B3%2584%2520%253E%2520%25EC%259D%25B8%25EA%25B5%25AC%252C%2520%25EA%25B0%2580%25EA%25B5%25AC%25ED%2595%25A9%25EA%25B3%2584%25EC%25B6%259C%25EC%2582%25B0%25EC%259C%25A8# 

  2. Lee CH. A decomposition of decline in total fertility rate in Korea: Effects of changes in marriage and marital fertility.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012;35(3):117-144. 

  3. Statistics Korea. Total fertility rate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7 [cited 2017 August 3].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428 

  4. McDonald P. Low fertility and the state: The efficacy of policy.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2006;32(3):485-510. https://doi.org/10.1111/j.1728-4457.2006.00134.x 

  5. Ko SY. Background and implication in underperform of fertility rate. Research Report. Seoul: Hyundai Research Institute; 2014 Feb. Report No.: 14-6(557). 

  6. Statistics Korea. Ideal fertility rate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7 [cited 2017 August 3].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54&tblIdDT_MOGE_1510000872&vw_cdMT_ZTITLE&list_id154_15401_2015&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K1&path%25EC%259D%25B8%25EA%25B5%25AC%25C2%25B7%25EA%25B0%2580%25EA%25B5%25AC%2520%253E%2520%25EA%25B0%2580%25EC%25A1%25B1%25EC%258B%25A4%25ED%2583%259C%25EC%25A1%25B0%25EC%2582%25AC%2520%253E%25202015%25EB%2585%2584%25EC%25A0%2581%25EC%25A0%2595%2520%25EC%259E%2590%25EB%2585%2580%25EC%2588%2598 

  7. Statistics Korea. Birth rate in 2015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7 [cited 2017 August 3].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2/1/index.-board?bmoderead&aSeq355736 

  8. Joung EH, Choi YS.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birth plan for second child and second birth for married women in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3;33(1):5-34. https://doi.org/10.15709/hswr.2013.33.1.5 

  9.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1991;50(2):179-21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10. Song YM, Lee JS. Investigation of the causes of low birth-rate: Focused on the change in industrial society and the expansion of the opportunity of women for social activitie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1;31(1):27-61. 

  11. Larsen U, Hollos M. Women's empowerment and fertility decline among the Pare of Kilimanjaro region, Northern Tanzania. Social Science & Medicine. 2003;57(6):1099-1115. https://doi.org/10.1016/s0277-9536(02)00488-4 

  12. Shah I. Fertility and contraception in Europe: The case of low fertility in Southern Europe. The European Journal of Contraception & Reproductive Health Care. 1997;2(1):53-61. 

  13. Min HJ, Kim EJ. The timing of births among korean women: Parity differences in childbirth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2011;45(4):198-222. 

  14. Lee SS, Shin IC, Cho NH, Kim HK, Jung YS, Choi EY, et al. Causes of low fertility and policy responses. Research Report.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5 Dec. Report No.: 2005-30(2) 

  15. Statistics Korea. Employment trends for women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7 [cited 2017 March 16]. Available from: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497 

  16. Perelli-Harris B. The path to lowest-low fertility in Ukraine. Population Studies. 2005;59(1):55-70. https://doi.org/10.1080/0032472052000332700 

  17. Park JS. Work-family balance and in working women and its policy implications. Health and Welfare Forum. 2016;(236):18-36. 

  18. Hayford SR, Morgan SP. Religiosity and fertility in the United States: The role of fertility intentions. Social Forces. 2008;86(3):1163-1188. https://doi.org/10.1353/sof.0.0000 

  19. Jang HN, Lee MS.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married-working women's childbirth intentio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013;51(4):425-438. https://doi.org/10.6115/fer.2013.51.4.425 

  20. Song YM, Lee SJ. Factors affecting evasion of second childbirth among working mothers: Classification using Q methodolog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6;16(2):714-728.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714 

  21. Woo WK, Yoo SH, Cho YT. The timing of childbearing and women's age among married women: The case of highly educated women.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013;36(4):25-49. 

  22. Lee SY. The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affecting the rise of fertility rates by each parity.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009;32(1):51-70. 

  23. Statistics Korea. Employment trends for women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8 [cited 2018 Sep 7].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66737 

  24. Song YJ. An analysis of married women's fertility plans in Korea. Korean Journal Community Living Science. 2014;25(3):339-347. https://doi.org/10.7856/kjcls.2014.25.3.339 

  25. O'Brien KM, Ganginis Del Pino HV, Yoo SK, Cinamon RG, Han YJ. Work, family, support, and depression: Employed mothers in Israel, Korea, and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014;61(3):461-472. https://doi.org/10.1037/a0036339 

  26. Duncan S. Policy discourses on 'reconciling work and life' in the EU. Social Policy and Society. 2002;1(4):305-314. https://doi.org/10.1017/s1474746402004050 

  27. Chung SH. Policy responses to low fertility and its problem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2015;38(2):113-134. 

  28. MBN News. Korean women's employment rate, no improvement in 'career breakdown' phenomenon and below OECD average [Internet]. Seoul: Author; 2017 [cited 2017 Aug 21]. Available from: http://www.mbn.co.kr/pages/news/newsView.php?news_seq_no3197756 

  29. Park SH, Kim SH. The causes of low fertility rate in female workers and women-friendly labor policies. 1st ed. Seoul: New Paradigm Center of a Korea Labor Institute attached; 2008. 220 p. 

  30. Oh MH. A study on the birth rate and gender equality policy of Korea and Japan. Journal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2015;65:395-4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