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 부모를 위한 그룹모임 중심의 양육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Effects of a Group-based Parenting Support Program for Infant and Toddler Parent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30 no.3, 2019년, pp.377 - 389  

박선화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박성희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전경자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Group-based interventions help the members of the parent group work together to share their parenting stress,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m to support each other emotionally and informatively, and allow them to achieve what they want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영유아 부모를 위한 그룹모임 중심의 양육 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하여 체계적인 문헌고찰을 실시하여 향후 지역사회에서 간호사가 수행할 수 있는 사회적 지지 중재인 그룹 중심의 양육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10년 동안 국외에서 수행된 지역사회 내 집단 개입 수준으로서의 그룹모임 중심의 양육 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선행연구들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고찰을 통해 사회적 지지로서 그룹모임 중심의 양육 지원 프로그램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최근 10년 동안 국외에서 영유아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한 그룹모임 중심의 양육 지원 프로그램 중재에 관한 연구를 이용하여 현재까지 실시된 연구의 실태와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는 2008년부터 10년간 국외에서 진행된 영유아 부모를 위한 그룹모임 중심의 양육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중재 연구 11편에 대해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이는 그룹모임 중심의 프로그램 중재방법과 프로그램 효과를 확인하여 지역사회에서 영유아 부모를 위한 그룹모임 중심의 양육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 동안 국외에서 연구된 영유아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한 그룹모임 중심의 양육 지원 프로그램 자료를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으로 분석하여, 이를 통해서 그룹모임 중심의 양육 지원 프로그램의 특성을 확인하고 국내에서 효과적인 그룹모임 중심의 양육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근거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육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는 언제인가? 양육은 임신부터 자녀와의 관계를 맺음으로 시작하여 출산 이후 자녀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지적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자녀가 태어나서 첫 3년의 시기 동안 자녀가 정서적·인지적·사회적 기능을 성립하고 발달하는데 특별히 중요한 시기이다. 첫 3년 동안 자녀는 정서적 애착과 관계 맺음을 형성하며 이는 추후에 정신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1].
양육 첫 3년 동안 부모가 느끼는 보편적 특징은? 이 시기동안 부모는 부모 되기의 이행과정에서 삶의 중요한 전환기 시점에 있다[2]. 부모는 부모역할 수행을 시도하면서, 생활양식의 변화, 스트레스, 정서적 ․ 신체적인 피로감을 경험하기도 한다[2-4]. 그러므로 자녀양육을 위한 주변의 도움 ․ 지지가 부모들에게 절실하며, 부모들끼리 자녀양육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며 자극을 받기도 한다.
그룹모임 프로그램은 어떠한 유형에 속하는가? 또한, 간호 실무에서 영유아 양육지원을 위한 중재는 크게 개별 교육과 지지, 그룹모임 프로그램, 모아 접촉, 가정방문 등이 있는데, 그 중 그룹모임 프로그램은 사회적 지지 중재의 유형이다[13]. 영유아 어머니들에게 제공되는 사회적 지지 간호는 처음으로 어머니가 된 여성에게 자신의 모성역량, 대처에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며 모성의 전반적인 정신건강에 영향을 준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rlow J, Smailagic N, Ferriter M, Bennett C, Jones H. Group-based parent-training programmes for improving emotional and behavioral adjustment in children from birth to three years old.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0;(3):CD003680. https://doi.org/10.1002/14651858.CD003680.pub2 

  2. Nolan ML, Mason V, Snow S, Messenger W, Catling J, Upton P. Making friends at antenatal classes: A qualitative exploration of friendship across the transition to motherhood. The Journal of Perinatal Education. 2012;21(3):178-185. https://doi.org/10.1891/1058-1243.21.3.178 

  3. Nystrom K, Ohrling K. Parenthood experiences during the child's first year: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4;46(3):319-330.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4.02991.x 

  4. Antonia M, Nelson RNC. Transition to motherhood.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2003;32(4):465-477. https://doi.org/10.1177/0884217503255199 

  5. Lefevre A, Lundqvist P, Drevenhorn E, Hallstrom I. Parents' experiences of parental groups in Swedish child health-care: Do they get what they want?. Journal of Child Health Care. 2016:20(1);46-54. https://doi.org/10.1177/1367493514544344 

  6. Guest EM, Keatinge D. The value of new parent groups in child and family health nursing. The Journal of Perinatal Education. 2009;18(3);12-22. https://doi.org/10.1624%2F105812409X461180 

  7. Hanna BA, Edgecombe G, Jackson CA, Newman S. The importance of first-time parent groups for new parents. Nursing & Health Sciences. 2002;4(4):209-214. https://doi.org/10.1046/j.1442-2018.2002.00128.x 

  8. Kruske S, Schmied V, Sutton I, O'hare J. Mothers' experiences of facilitated peer support groups and individual child health nursing support: A comparative evaluation. The Journal of Perinatal Education. 2004;13(3):31-38. 

  9. Lefevre A, Lundqvist P, Drevenhorn E, Hallstrom I. "From resistance to challenge": Child health service nurses experiences of how a course in group leadership affected their management of parental groups. BioMed Central Nursing. 2017;16:73. https://doi.org/10.1186/s12912-017-0267-6 

  10. Darbyshire P, Jackson D. Epilogue: Using a strengths approach to understand resilience and build health capacity in families. Contemporary Nurse. 2005;18(1-2):211-212. https://doi.org/10.5172/conu.18.1-2.211 

  11. Olds DL, Robinson J, O'Brien R, Luckey DW, Pettitt LM, Henderson CR, et al. Home visiting by paraprofessionals and by nurs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Pediatrics. 2002;110(3):486-496. https://doi.org/10.1542/peds.110.3.486 

  12. Lefevre A, Lundqvist P, Drevenhorn E, Hallstrom I. Managing parental groups: Personal impact of a group leadership course for child healthcare nurs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7;26(3-4):466-476. https://doi.org/10.1111/jocn.13446. 

  13. Gardner MR, Deatrick JA. Understanding interventions and outcomes in mothers of infants. Issues in Comprehensive Pediatric Nursing. 2006:29(1):25-44. https://doi.org/10.1080/01460860500523756 

  14. Fielden JM, Gallagher LM. Building social capital in first-time parents through a group-parenting program: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2008;45(3):406-417. https://doi.org/10.1016/j.ijnurstu.2006.09.008 

  15. Strange C, Fisher C, Howat P, Wood L. Fostering supportive community connections through mothers' groups and playgroup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4;70(12):2835-2846. https://doi.org/10.1111/jan.12435 

  16. Barlow J, Coren E, Stewart-Brown S.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parenting programmes in improving maternal psychosocial health. British Journal of General Practice. 2002;52(476):223-233. 

  17. Song JE, Ahn JA. Effect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improving maternal adaptation in Korea: Systematic review.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3;19(3):129-141. https://doi.org/10.4069/kjwhn.2013.19.3.129 

  18. Lee JY, No SH. Effects of breast feeding interventions program on breastfeeding for premature babi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18;21(1):50-60. 

  19. Kang J, Seomun G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effect on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7;15(3):247-257. https://doi.org/10.14400/JDC.2017.15.3.247 

  20. Khang YH, Cho SH, June KJ, Lee JY, Kim YM, Cho HJ. The Seoul healthy first step project: Introduction and expansion, program content and performance, and future challen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8;22(2):63-76. https://doi.org/10.21896/jksmch.2018.22.2.63 

  21. Park JE, Seo HJ, Seo HS, Son HJ, Shin CM, Lee YJ, et al.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1;8:1-287. 

  22.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992;1(3):98-101. 

  23. Kendall S, Bloomfield L, Appleton J, Kitaoka K. Efficacy of group-based parenting program on stress and self-efficacy among Japanese mothers: A quasi-experimental study. Nursing and Health Sciences. 2013;15:454-460. https://doi.org/10.1111/nhs.12054 

  24. Shorey S, Chan SWC, Chong YS, He H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effectiveness of a postnatal psychoeducation programme on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and postnatal depression among primipara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5;71(6):1260-1273. https://doi.org/10.1111/jan.12590 

  25. Lee KH. Effects of childhood parenting environment on children's personality. Report of Children's Welfare Institute. 2015;1:1-44. 

  26. Kendrick D, Elkan R, Hewitt M, Dewey M, Blair M, Robinson J, et al. Does home visiting improve parenting and the quality of the home environ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2000;82(6):443-451. 

  27. Kim JK, Suh JH, Bae HB. The longitudinal effects of mother's antenatal/postpartum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on the infant development.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2016;20(4):591-611. 

  28. Kwon HJ, Kim KH, Choi MH, Cho JY, Ahn YM, Kim KS. Effects of postpartum depression and temperament of infant on childcare stress among mothers of newborn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1;27(2):69-73. https://doi.org/10.4094/jkachn.2011.17.2.69 

  29. Nicole L, Duffett-Leger L, Stewart M, Hegadoren K, Dennis CL, Rinaldi CM, et al. Canadian mothers' perceived support needs during postpartum depression.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2007;36(5):441-449. https://doi.org/10.1111/J.1552-6909.2007.00174.x 

  30. OH KS. Social support as a prescription theory. Journal of Nursing Query. 2006;15(1):134-15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