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픽셀화 이미지의 조형 특성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개발
Developing Fashion Design Utiliz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Pixelation Image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23 no.4, 2019년, pp.13 - 23  

김진영 (홍익대학교 섬유미술 패션디자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pixel,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onstituting a digital image, draw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pixelation image expressed through non-digital media, and develop fashion desig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As a research method, the literature r...

주제어

표/그림 (2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셀과 픽셀화 이미지 개념 및 특성을 이해하고 둘째 픽셀화 , 이미지가 차용 및 확산된 예술 사례를 통해 비 디지털 매체에서 표현한 픽셀화 이미지의 조형 특성을 도출한다 셋째 . , 이 조형 특성을 패션디자인 개발에 적용함으로써 픽셀화 이미지를 활용한 새로운 패션디자인을 제시하고 이를 디자인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함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픽셀의 어원은 무엇인가? 디지털 이미지를 이루고 있는 픽셀 은 컴퓨터 디스플 (pixel) 레이의 이미지를 구성하고 있는 최소단위의 점을 의미한다. 픽셀의 어원은 그림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 와 원소를 picture 뜻하는 의 합성어이다 픽셀의 사전적 element (Yoo, 2017). 정의를 살펴보면 특정한 빛과 색을 지니고 동영상 이미지를 형성하는 최소 해상도 단위라고 정의되어 있다(Kim, 2015).
픽셀 조형의 가장 큰 특성은 무엇인가? 픽셀은 격자무늬 즉 바둑판 모양의 그리드에서 생성됨으로 형태를 확대해서 보면 테두리에 에일리어싱 현상이 나타난다 이는 픽셀 조형의 가장 큰 특성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 .해 픽셀 기술은 발전되고 있다 그러므로 픽셀 조형은 그 .
픽셀이란 무엇인가? 픽셀은 화소를 구성하는 점으로 디지털 이미지를 형성하는 최소단위이다 1960년대 눈으로 식별할 수 있던 픽셀은 영상 기술의 발달로 마이크로미터 픽셀을 적용한 0.8 ( ) ㎛ 6400  화소까지 등장하였고 16bit, 32bit를 넘어서 4k, 8k의 영상을 구현하는 시대가 되었다 기술의 발달에도 디지털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e, S. N. (2013). A study on the pictorial representation of digital pixel images : based on my work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 Choi, L. S. (2012). A study on jewelry design using pixel image from folk pain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3. Concept of PPI. (2019). Retrieved July 20, 2019, from http://news.samsungdisplay.com/305 

  4. Hong, J. H. (2014, October 25). International bill design. Joongangilbo, pp. 11-12. 

  5. Kim, J. H. (2014). A study on the furniture design by setting up a pixelated image as a motif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6. Kim, S. Y. (2015). Expression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pixel in contemporary fash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4(3), 407-421. doi: http://dx.doi.org/10.5934/kjhe.2015.24.3.407 

  7. Kim, S. J. (2017). A study on pixel image expression of pictures using cas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8. Lee, E. J., & Kim, M. J. (2006). The history of art. Seoul: Mijinsa. 

  9. Nah, J. H. (2012). A study on appropriation and expansion of pixelation imag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10. Norwegian Banknote (2014). Retrieved July 02, 2019, from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227024 

  11. Pixel Chair. (2011). Retrieved July 01, 2019, from https://www.designboom.com/design/pixel-chair-by-vivian-chiu/ 

  12. Pixel: fall. (2017). Retrieved June 28, 2019, from http://www.daljin.com/display/D046402 

  13. Seo, S. H. (2010). A study on color juxtaposition of pointillism based on artistic color model and statistical analysis - with a focus on Seurat's painting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14. Self-portrait. (2005). Retrieved June 25, 2019, from https://walkerart.org/calendar/2005/chuck-close-self-portraits-1967-2005 

  15. Shin, H. Y. (2018). A study on the artistic expression of pixel image in contemporary a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16. Shin, S. B. (2010).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ree-dimensional pixel elements and application of candlestick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17. Steven, H. (2004). Digital mosaic. (J. Lee, Trans.). Seoul: Communication Books. (Original work published 1997). 

  18. Tevatron. (2012). Retrieved July 05, 2019, from https://www.artsy.net/unsupported-browser 

  19. Um, H. R. (2018). A ceramic project research using the concept of pixel: based on my work on the topic of re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20. Yoo, J. Y. (201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expressing colors by utilizing pixel art : centered on middle school third grade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ung-Hee University, Seoul, Kore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