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 고유종 각시붕어 Rhodeus uyekii의 후각기관과 서식처의 물리 및 화학적 특성 그리고 생태적 습성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체현미경, 광학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해부 및 조직, 세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후각기관의 외부형태는 반원의 전비공과 후비공, 비경계판으로 구성되는데, 특히 전비공의 앞쪽에는 아치형의 조직이 돌출되어 있다. 비강 내에는 14~15개의 후판으로 구성되는 로제트 구조를 보유하며 후판은 감각상피와 비감각상피로 구분된다. 감각상피는 후감각뉴런, 지지세포, 기저세포, 림프구, 형질세포로 구성되는 반면에 비감각세포는 층상상피세포, 점액세포, 비감각섬모세포, 미확인세포가 1종류 확인된다. 점액세포의 세포화학적 특성은 산성 및 중성의 황점액소(sulfomucine)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lfactory organ of the Korean endemic fish, Rhodeus uyekii, a mussel-spawning species, was researched anatomically, histologically and histochemically, for looking into a relation to the physical and chemical condition of its habitat and ecological habit, using stereo microscopy, light microsco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시붕어는 그중 비교적 가장 느린 유속의 수환경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서식처의 차이가 각시붕어 후각기관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본 기관의 형태, 조직 및 세포화학적 특성을 묘사하고 서식처 환경 및 생태적 습성과의 연관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실험에서 이용된 조직화학염색법은 염료의 특이성과 민감성, 그리고 염료가 착색된 조직이나 세포를 통과하는 빛의 파장, 효소활성을 통한 반응물의 변화양상을 현미경을 이용해 특정 결과(색이나 대조의 차이)를 확인함에 목적을 둔다(Lavis, 2011). 또한, 이용된 염료의 pH는 산성, 염기성, 중성, 양성염료로 나눌 수 있어 조직이나 세포의 pH 성향을 확인할 수 있기도 하다(Lavis, 201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류의 후각이란? 어류의 후각(olfaction)은 먹이탐색, 포식자 회피, 동종 인식, 서식처 인지, 이주와 회유와 같은 다양한 생태적 행동들을 유발시키는 생체 내 감지능력으로써, 물속에 녹아있는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것으로부터 촉발된다(Yamamoto, 1982). 특히, 경골어류의 후각기관은 비강 (olfactory chamber) 또는 비낭(accessory nasal sac)이 해부적으로 구강(oral cavity) 및 새강(branchial cavity)쪽으로 개방되지 않고 서로 분리되어 있어 고등한 척추동물들과는 다르게 호흡의 기능을 전혀 수행하지 않는 폐쇄적인 구조를 나타낸다(Zeiske et al.
우리나라 각시붕어 서식지의 특징은? 그중 각시붕어 R. uyekii는 유속이 완만하고 수초가 비교적 많은 우리나라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하천과 저수지 등에 서식하는 전장 4~5 cm(성어)의 소형종으로서, 그동안 인공교잡실험(Suzuki and Jeon, 1988), 생식주기(An, 1995), 골격학적 연구(Kim, 1997), 산란관 신장(Chae, 2001), 자연잡종(Kim et al., 2010), 떡납줄갱이 R.
각시붕어 후각기관의 외부형태는 무엇인가? 한국 고유종 각시붕어 Rhodeus uyekii의 후각기관과 서식처의 물리 및 화학적 특성 그리고 생태적 습성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체현미경, 광학현미경,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해부 및 조직, 세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후각기관의 외부형태는 반원의 전비공과 후비공, 비경계판으로 구성되는데, 특히 전비공의 앞쪽에는 아치형의 조직이 돌출되어 있다. 비강 내에는 14~15개의 후판으로 구성되는 로제트 구조를 보유하며 후판은 감각상피와 비감각상피로 구분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n, C.M. 1995. Effects of photoperiod and water temperature on the reproductive cycle of the spring-spawning bitterling, Rhodeus uyekii. Korean J. Ichthyol., 7: 43-55. (in Korean) 

  2. Atta, K.I. 2013. Morphological, anatomical and histological studies on the olfactory organs and eyes of teleost fish: Anguilla anguilla in relation to its feeding habits. J. Basic Appl. Zool., 66: 101-108. 

  3. Bhute, Y.V. and V.V. Baile. 2007. Organization of the olfactory system of the Indian Major Carp Labeo rohita (Hamilton): a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c study. J. Evol. Biochem. Physiol., 43: 342-349. 

  4. Bone, Q. and R. Moore. 2008. Biology of fishes. (3rd ed.) Taylor & Francis Group Pub., Milton Park, Abingdon, New York. 478p. 

  5. Chae, B.S. 2001. Elongation of the ovipositor in Korean rose bitterling, Rhodeus uyekii (Pisces: Cyprinidae). Korean J. Ichthyol., 13: 111-116. (In Korean) 

  6. Doving, K.B., M. Dubois-Dauphin, A. Holley and F. Jourdan. 1977. Functional anatomy of the olfactory organ of fish and the ciliary mechanism of water transport. Acta Zool., 58: 245-255. 

  7. Fanta, E. and C.A.O. Ribeiro. 2000. Microscopic morphology and histochemistry of the digestive system of a tropical fresh-water fish Trichomycterus brasiliensis (Lutken) (Siluroidei, Trichomycteridae). Revista Brasil. Zool., 17: 953-971. 

  8. Frenkel, E.S. and K. Ribbeck. 2015. Salivary mucins protect surfaces from colonization by cariogenic bacteria. Appl. Environ. Microbiol., 81: 332-338. 

  9. Ghosh, S.K. and P. Chakrabarti. 2013. Studies on the morphology of the olfactory organ in the freshwater teleost, Labeo bata (Hamilton). Mesopot. J. Mar. Sci., 28: 163-174. 

  10. Ghosh, S.K. and P. Chakrabarti. 2014.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the olfactory epithelium of freshwater olive barb, Puntius sarana (Hamilton, 1822). Int. J. Aquat. Biol., 2: 147-154. 

  11. Gurr, G.T. 1956. A practical manual of medical and biological staining techniques. Interscience, New York, pp. 1-99. 

  12. Hansen, A., H.P. Zippel, P.W. Sorensen and J. Caprio. 1999. Ultrastructure of the olfactory epithelium in intact, axotomized, and bulbectomized goldfish, Carassius auratus. Micros. Res. Tech., 45: 325-338. 

  13. Hansen, A. and B.S. Zielinski. 2005. Diversity in the olfactory epithelium of bony fishes: development, lamellar arrangement, sensory neuron cell types and transduction components. J. Neurocytol., 34: 183-208. 

  14. Hara, T.J. 1986. Role of olfaction in fish behaviour. In: Pitcher, T.J. (ed.), The Behaviour of Teleost Fishes. Springer, US, pp. 152-176. 

  15. Hara, T.J. 1994. Olfaction and gustation in fish: an overview. Acta Physiol. Scand., 152: 207-217. 

  16. Jeon, H.B. and H.Y. Suk. 2012. Male colors and female mate preference in Korean rosy bitterling, Rhodeus uyekii (Cyprinidae: Acheilognathinae). Korean J. Ichthyol., 24: 263-271. (in Korean) 

  17. Kasumyan, A.O. 2004. The olfactory system in fish: structure, function, and role in behavior. J. Ichthyol., 44: S180. 

  18. Kim, B.S., E.J. Kang, H. Jang and I.S. Park. 2012. Morphometric traits and cytogenetic analysis in induced cross and reciprocal hybrid between Rhodeus uyekii and R. notatus. Korean J. Ichthyol., 24: 151-159. (in Korean) 

  19. Kim, C.H., W.O. Lee, Y.J. Kang and J.M. Baek. 2010. Occurrence of a natural intergeneric hybrid, Rhodeus uyekiixAcheilognathus signifer (Pisces; Cyprinidae) from Jojongcheon Bukhan River, Korea. Korean J. Ichthyol., 22: 225-229. (In Korean) 

  20. Kim, D.M., H.B. Jeon and H.Y. Suk. 2014. Tanakia latimarginata, a new species of bitterling from the Nakdong River, South Korea (Teleostei: Cyprinidae). Ichthyol. Explor. Freshwaters, 25: 59-68. 

  21. Kim, H.S., J.G. Ko, W.S. Choi and J.Y. Park. 2015. Population ecology of Korean rose bitterling, Rhodeus uyekii (Pisces: Acheilognathinae) in the Bong-seocheon, Mankyeonggang (river), Korea. Korean J. Ichthyol., 27: 78-85. (in Korean) 

  22. Kim, H.T. 2018. A comparative anatomy and histology of the olfactory organ of 17 fishes in South Korea. Ph. D. dissert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175pp. 

  23. Kim, H.T., Y.J. Lee and J.Y. Park. 2016. An anatomical and histochemical study of the olfactory organ in rice-fish Oryzias sinensis (Pisces: Adrianichthyidae) in South Korea. Korean J. Ichthyol., 28: 223-228. 

  24. Kim, H.T., Y.J. Lee and J.Y. Park. 2018a. Functional anatomy and histology of the olfactory organ in Korean Eel Goby, Odontamblyopus lacepedii (Pisces: Gobiidae). Appl. Microsc., 48: 11-16. 

  25. Kim, H.T., Y.J. Lee, H.S. Kim and J.Y. Park. 2018b. Structure and histological characters of the olfactory organ in Korean endemic fish, Microphysogobio yaluensis (Cypriniformes, Cyprinidae). Korean J. Ichthyol., 30: 161-166. (in Korean) 

  26. Kim, I.J. 1997. A osteological study of Rhodeus uyekii. Korean J. Ichthyol., 9: 130-140. (in Korean) 

  27. Kim, I.S. and J.Y. Park.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Ltd., Korea, pp. 66-67. (in Korean) 

  28. Kim, J.G. and J.Y. Park. 2016. A comparative study on the visual cells in two Korean bittering fishes. Korean J. Ichthyol., 28: 67-71. (in Korean) 

  29. Lahnsteiner, F. and R.A. Patzner. 1990. The spermatic duct of blenniid fish (Teleostei, Blenniidae): fine structure, histochemistry and function. Zoomorphology, 110: 63-73. 

  30. Lauder, G.V. 1982. Patterns of evolution in the feeding mechanism of actinopterygian fishes. American Zool., 22: 275-285. 

  31. Lavis, L.D. 2011. Histochemistry: live and in color. J. Histochem. Cytochem., 59: 139-145. 

  32. Masson, P. 1929. Some histological methods. Trichrome stainings and their preliminary technique. J. Tech. Methods, 12: 75-90. 

  33. Nakanishi, T., U. Fischer, J.M. Dijkstra, S. Hasegawa, T. Somamoto, N. Okamoto and M. Ototake. 2002. Cytotoxic T cell function in fish. Dev. Comp. Immunol., 26: 131-139. 

  34. Ojha, P.P. and A.S. Kapoor. 1973.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olfactory apparatus in the freshwater carp, Labeo rohita (Ham. Buch.). J. Morphol., 140: 77-85. 

  35. Reid, S.D. 1995. Adaptation to and effects of acid water on the fish gill. In: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of Fishes. Elsevier, Amsterdam, pp. 213-227. 

  36. Samajdar, I. and D. Mandal. 2016. Histological organization and ultrastructures of the apical surface of the olfactory epithelium of a carp, Labeo bata (Hamilton). Int. J. Pure Appl. Zool., 4: 134-141. 

  37. Smith, D.G. and K.E. Hartel. 1999. Margaritiferidae mollusca: Unionoida: possible hosts for Rhodeus (Pisces: Cyprinidae). Pol. Arch. Hydrobiol., 46: 277-281. 

  38. Suzuki, N. and S.R. Jeon. 1988. Hybridization experiments in Acheilognathine fishes (Cyprinidae), an intrageneric hybrid between Rhodeus uyekii and R. ocellatus smithi. Korean J. Lim., 21: 129-142. (in Korean) 

  39. Thornhill, R.A. 1967. The ultrastructure of the olfactory epithelium of the lamprey Lampetra fluviatilis. J. Cell Sci., 2: 591-602. 

  40. Varute, A.T. and S.K. Jirge. 1971. Histochemical analysis of mucosubstances in oral mucosa of mouthbreeding cichlid fish and seasonal variations in them. Histochem., 25: 91-102. 

  41. Wang, X., G.L. Hao, B.Y. Wang, C.C. Gao, Y.X. Wang, L.S. Li and J.D. Xu. 2019. Function and dysfunction of plasma cells in intestine. Cell Biosci., 9: 26. 

  42. Whiteley, A.R. 2007. Trophic polymorphism in a riverine fish: morphological, dietary, and genetic analysis of mountain whitefish. Biol. J. Linn. Soc., 92: 253-267. 

  43. Yamamoto, M. 1982. Comparative morphology of the peripheral olfactory organs in teleosts. In: Hara, T.J. (ed.), Chemoreception in Fishes. Elsevier, Amsterdam, pp. 39-59. 

  44. Zeiske, E., J. Kux and R. Melinkat. 1976. Development of the olfactory organ of oviparous and viviparous cyprinodonts (Teleostei). Zeit. Zool. Syst. Evolut., 14: 34-40. 

  45. Zeiske, E., B. Theisen and H. Breucher. 1992. Structure, development, and evolutionary aspects of the peripheral olfactory system. In: Hara, T.J. (ed.), Fish Chemoreception. Springer, Netherlands, pp. 13-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