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더블딥 출산율 요인 규명과 향후 추이
Forecast and identifying factors on a double dip fertility rate for Korea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32 no.4, 2019년, pp.463 - 483  

오진호 (한밭대학교 공과대학 기초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0년 이후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일본, 독일, 프랑스처럼 출산율이 상승이나 감소기조에 들어서면 쉽게 변하지 않는 비가역적인 상수형태를 보이는 것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또한 2005년 1.08명 최저점에서 서서히 증가해 2015년 1.23명을 보이다가 2016년 1.17명, 2017년 1.05명, 2018년 0.98명으로 급락하고 있다. 이는 마치 경기침체의 더블딥(double dip)과 유사한 형태를 보인다. 본 연구는 이러한 TFR 증감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먼저 TFR에 영향력이 높은 출생아수 추이와 예측, TFR 분해법으로 분해되는 유배우율과 유배우출산율의 추이를 살펴본다. 그리고 이들 변화가 TFR 증감 변화에 어떤 영향력을 나타내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출생아수는 2018년 약 32-33만 명, 2020년 30만 명, 2025년은 23-24만 명 수준을 보일 것으로 추정된다. 유배우율은 1981-2025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 유배우출산율은 2002년 이전까지 감소를 보이다가 2003-2016년 증가추세를 보인후 2017-2025년까지 감소추세로 이어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끝으로 출생아수, 출산율 분해와 통계적 모형으로 살펴본 TFR 향후 추이는 2018년 0.98명, 2020년 0.93-1.11명, 2025년에는 0.76-1.08명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2000, Korea's total fertility rate (TFR) has been different from that of Japan, Germany, and France where irreversible constants do not change easily in the fertility rate increasing or decreasing phase. It also showed a gradual increase from the minimum fertility level 1.08 in 2005 to 1.23 in...

주제어

표/그림 (21)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의 추세는? 즉, 경기침체후 회복기에 접어들다가 다시 침체에 빠지는 이중침체현상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합계출산율(total fertility rate; TFR)은 2005년 1.08명의 저점을 찍고 2010년 1.23명, 2015년 1.24명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으나, 2016년 1.17명, 2017년 1.05명, 2018년 0.98명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이러한 하강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예전부터 이러한 출산율 추이는 점진적 감소 또는 상승, 급락 등으로 표현해 왔다.
더블딥이란? 더블딥(double dip)이란 두번이라는 뜻의 double과 급강하다라는 뜻의 dip의 합성어로 불황에 빠져있던 경기가 일시적으로 회복되었다가 다시 침체로 돌아서는 경제현상을 일컫는 용어이다. 즉, 경기침체후 회복기에 접어들다가 다시 침체에 빠지는 이중침체현상을 의미한다.
TFR변화 기여도와 설명력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은? TFR 변화에 대한 두 요인의 기여도와 설명력을 도출하기 위해 Lee (2012)가 제시한 방법을 사용한다. 즉, 특정한 요인이 기준 시점으로 부터 변화하지 않았을 경우의 가상적인 TFR 변화와 실제 TFR변화를 비교함으로써 수행가능하다. 편의상 기준시점은 t = 0, 비교 시점을 t = T라고 할때, T기의 실제 TFR은 TFRT = (수식) fm,T(a)m(a)Tda이고, 기준 시점의 유배우 여성인구 비율(m(a)0)이 T기까지 변화하지 않고 유지되었을 경우 가상적인 TFR은 식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