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섬진강산 누치(Hemibarbus labeo)의 분자 계통유전학적 연구
Molecular Phylogenetic Study of the Barbel Steed (Hemibarbus labeo) in Seomjin River of Kore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52 no.3, 2019년, pp.221 - 230  

박기연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이완옥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  곽인실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섬진강 수계에 서식하는 누치(Hemibarbus labeo)의 미토콘드리아 DNA에서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COI) 유전자를 발굴하고 누치속 Hemibarbus 및 잉어과(Cyprinidae) 내 계통유전학적인 위치를 확인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발굴된 577 bp COI 시컨스의 다중배열 결과 섬진강산 누치들의 높은 염기서열 상동성을 보였다(99~100%).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누치속 3종에서 누치(H. labeo: HD1)와 어름치(H. mylodon)의 염기서열 유사성은 88.91%, 참마자 (H. longirostis)와는 88.81%이었다. 또한, H. maculatus, H. meditus, H. umbrifer, H. barbus는 각각 누치와의 염기서열 유사성이 98.97%, 97.20%, 96.87%, 98.85% 등으로 나타났다. 누치속 7종의 계통유전학적 분석결과 섬진강산 누치(H. labeo)들은 두개의 단계통 (clade)을 형성하는데 하나는 하동, 임실, 강진, 순창의 섬진강 누치들로만 이루어진 단계통, 다른 하나는 하동의 HD2, HD8, HD9와 국내 부산, 아산, 서울 등에서 채집 보고된 누치들과 단계통을 형성하였다. 잉어과 내 섬진강산누치(HD1)의 계통진화적 위치는 피라미(Zacco platypus)와는 진화적 거리가 0.143, 누치속 H. maculatus와는 0.006으로 나타났다. 또한 잉어과 28종 내 계통유전학적 위치는 모래무지아과(Gobioninae) 어류들이 포함된 그룹 I에 섬진강산 누치가 위치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누치를 포함하는 잉어과 내 어류의 계통유전학적 비교와 환경오염에 따른 담수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모델어류의 발굴연구에 주요한 유전적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rbel steed (Hemibarbus labeo) is a small freshwater fish species as semi-bottom dwellers distributed in eastern Asia. We carried out characterization of the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gene from the mitochondrial DNA of H. labeo in the Sumjin River to identify the phylogenetic location of...

주제어

참고문헌 (24)

  1. April, J., R.L. Mayden, R.H. Hanner and L. Bernatchez. 2011. Genetic calibration of species diversity among North America's freshwater fishe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8: 10602-10607. 

  2. Bang, I.C., Y.A. Lee and W.O. Lee. 2008. Cytogenetic analysis of three Hemibarbus species (Cypriniformes) from Korea. Journal of Aquaculture 21: 259-264. 

  3. Chen, J., Y.P. Lv, Q.M. Dai, Z.H. Hu, Z.M. Liu and J.H. Li. 2019. Host defense peptide LEAP-2 contributes to monocyte/ macrophage polarization in barbel steed (Hemibarbus labeo). Fish and Shellfish Immunology 87: 184-192. 

  4. Froese, R. and D. Pauly (Eds). 2014. FishBase. World Wide Web electronic publication. Retrieved from http://www.fishbase.org. version. 

  5. Gye, M.C. 2004. Analysis of vitellogenin gene expression by RTPCR in Hemibarbus labeo (Cyprinidae) for the analysis of estrogenic activity in aquatic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7: 122-129. 

  6. Iyiola, O.A., L.M. Nneji, M.K. Mustapha, C.G. Nzeh, S.O. Oladipo, I.C. Nneji, A.O. Okeyoyin, C.D. Nwani, O.A. Ugwumba, A.A.A. Ugwumba, E.O. Faturoti, Y.Y. Wang, J. Chen, W.Z. Wang and A.C. Adeola. 2018. DNA barcoding of economically important freshwater fish species from north-central Nigeria uncovers cryptic diversity. Ecology and Evolution 8: 6932-6951. 

  7. Ko, M.H., H.R. Kim, S.Y. Park and I.C. Bang. 2017. Egg development and early life history of the Natural Monument species Hemibarbus mylodon (Pisces: Cyprinidae) in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9: 101-108. (in Korean) 

  8. Kim, I.S. 1997.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37. Freshwater Fishes. Ministry of Education., Korea. Seoul. pp. 220-225. (in Korean). 

  9. Kim, I.S., Y. Choi, C.L. Lee, Y.J. Lee, B.J. Kim and J.H. Kim.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hes. Kyo-Hak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614. 

  10. Kim, I.S. and J.Y. Park.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ress, Seoul. 465 pp. 

  11. Kim, I.S. and J.Y. Park. 2007.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ublishing, Seoul, 467 pp. (in Korean). 

  12. Kim, K.Y., Y.H. Lim, I.C. Bang and Y.K. Nam. 2009.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three new Hemibarbus mitogenome sequences belonging to the subfamily Gobioninae (Teleostei, Cypriniformes, and Cyprinidae). Mitochondrial DNA Part A 20: 119-144. 

  13. Kim, M.J. and C.B. Song. 2011. Origin of the Korean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ri and its molecular phylogenetic relationships to other Siniperca Fishes.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3: 95-105. 

  14. Lee, W.O., M.M. Zhang, C.W. Oh, J.M. Baek and K.J. Song. 2012. Age and growth of barbel steed Hemibarbus labeo in Goe-san lake in Korea.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15: 353-359. 

  15. Lee, Y.A., Y.E. Yun, Y.K. Nam and I.C. Bang. 2008. Genetic diversity of endangered fish Hemibarbus mylodon (Cyprinidae) assessed by AFLP. Journal of Aquaculture 21: 196-200 

  16. Li, P., D. Xu, Z. Peng and Y. Zhang. 2012. The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of the spotted steed, Hemibarbus maculatus (Teleostei, Cypriniformes). Mitochondrial DNA Part A 23: 34-40. 

  17. Lin, C.J., H.D. Lin, J.P. Wang, S.C. Chao and T.Y. Chiang. 2010. Phylogeography of Hemibarbus labeo (Cyprinidae): secondary contact of ancient lineages of mtDNA. Zoologica Scripta 39: 23-35. 

  18. Lu, C., G.Y. Gu, L. Geng, L. Cheng, C. Li, G. Tong, H. Jiang, S. Mahboob, W. Xu and X. Sun. 2015.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wenty polymorphic microsatellites for Hemibarbus labeo (Cyprinidae). Conservation Genetics Resources 7: 89-92. 

  19. Oh, M.K. and J.Y. Park. 2009. A molecular systematics of Korean Zacco species inferred from mitochondrial cytochrome b gene sequence.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21: 291-298. 

  20. Shin, M.J., Y.M. Park, J.E. Lee and E.W. Seo. 2010. Heavy metal contents of Hemibarbus labeo in Andong and Imha reservoirs. Korean Journal Limnology 43: 377-384. 

  21. Ward, R.D., T.S. Zemlak, B.H. Innes, P.R. Last and P.D. Hebert. 2005. DNA barcoding Australia’s fish specie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360: 1847-1857. 

  22. Xu, W., C.T. Li, L.W. Geng, H.W. Sun and X.Y. Liu. 2009. Growth and reproduction of reared Hemibarbus labeo in the Wusuli River. Journal of Fisheries Sciences of China 16: 550-556. 

  23. Yen, M.D. 1985.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the freshwater fish fauna of the North of Vietnam. Hydrobiologia 121: 281-286 

  24. Zhang, C.L. 1954. Distribution of the freshwater fishes in China. Geographical Bulletin 20: 279-28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