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의 위장관 증상과 우울, 불안과의 상관관계 연구
A Clinical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Gastrointestinal Symptoms, Depression, and Anxiety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40 no.4, 2019년, pp.629 - 636  

허봉수 (강남위담한방병원 한방내과) ,  최서형 (강남위담한방병원 한방내과) ,  유영수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gastrointestinal symptoms, depression, and anxiety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Method: New patients who visited the ${\bigcirc}{\bigcirc}$ Oriental Hospital completed standardized questionnaires.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의 전반적인 위장장애증상의 정도와 우울, 불안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전반적인 본 연구에서는 과민성 장증후군의 개별 위장관 증상이 불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정하에 GSRS 설문지에 나타난 15가지 개별 위장관 증상이 BAI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알아보았다. 분석한 결과 성별과 연령으로 보정하였을 때 이에 저자는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에서 나타나는 위장관 증상에 주목하여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의 위장관 증상 정도와 우울, 불안과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고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위장관 증상 인자를 연구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민성 장증후군의 병태생리 기전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과민성 장증후군의 중요한 병태생리 기전으로 장관의 운동이상, 내장감각 과민성, 중추신경계의 조절이상, 장관 감염 및 염증, 정신사회적 요인등 이 제시7되고 있으나, 다양한 병태생리가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흔하고, 근본적인 원인은 아직 잘 모르고 있는 실정이어서 전통적인 약물 치료는 주로 증상을 개선시키는데 초점을 맞추어 왔다1 .
과민성 장 증후군과 불안 증상의 상관관계에 대한 기존 보고는 어떤것이 있는가? 과민성 장증후군을 진단받은 환자가 과민성 장증후군이 아닌 대조군에 비해서 불안 증상이 유의적으로 높았다는 보고9와 대조군에 비해서 불안과 우울증이 유의성 있게 높았다는 보고10가 있었다. 과민성 장증후군은 우울 장애, 불안 장애, 수면 장애 및 양극성 장애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고11 , 자기보고된 불안과 우울이 IBS 발병에 2배의 위험을 준다는 보고12가 있었다. 또한 나 등14은 소화불량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의 위장관 증상과 위장관외 동반증상에 대한 연구에서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위장관 증상으로 오심, 명치답답, 역류, 설사가 있음을 보고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위장관 증상과 우울, 불안과의 상관성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과민성 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이란 무엇인가? 과민성 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은 복통 혹은 복부 불쾌감, 배변 후 증상의 완화, 배변 빈도 혹은 대변 형태의 변화 등의 특징적인 증상들이 만성적으로 반복되는 대표적인 기능성 위장관 질환이다1 . 서구에서 매우 흔한 질환으로 유병률은 7-10%2이며, 국내에서도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서 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Kwon JG, Park KS, Park JH, Park JM, Park CH, Lee KJ, et al.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Korean J Gastroenterol 2011;57(2):82-99. 

  2. Brandt LJ, Chey WD, Foxx-Orenstein AE, Schiller LR, Schoenfeld PS, Spieqel BM, et al. American College of Gastroenterology Task Force on Irritable Bowel Syndrome. An Evidence-Based Position Statement on the Manage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Am J Gastroenterol 2009;104(Suppl1):S1-S35. 

  3. Lee SY, Lee KJ, Kim SJ, Cho SW.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Overlaps between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Dyspepsia, and Irritable Bowel Syndrome: a Population-based Study. Digestion 2009;79(3):196-201. 

  4. Park DW, Lee OY, Shim SG, Jun DW, Lee KN, Kim HY, et al. The Differences in Prevalence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according to Rome II and Rome III.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10;16(2):186-93. 

  5. Lu CL, Chang FY, Lang HC, Chen CY, Luo JC, Lee SD. Gender Difference on the Symptoms, Health-seeking Behaviour, Social Impact and Sleep Quality in Irritable Bowel Syndrome: a Rome II-based Survey in an Apparent Healthy Adult Chinese Population in Taiwan. Aliment Pharmacol Ther 2005;21(12):1497-505. 

  6. Rey E, Garcia-Alonso MO, Moreno-Ortega M, Alvarez-Sanchez A, Diaz-Rubio M.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in Irritable Bowel Syndrome. J Clin Gastroenterol 2008;42(9):1003-9. 

  7. Barbara G, De Giorgio R, Stanghellini V, Cremon C, Salvioli B, Corinaldesi R. New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in Irritable Bowel Syndrome. Aliment Pharmacol Ther 2004;20(Suppl2):1-9. 

  8. Park JM, Choi MG, Cho YK, Lee IS, Kim JI, Kim SW, et al.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Diagnosed by Rome III Questionnaire in Korea.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11;17(3):279-86. 

  9. Gros DF, Antony MM, McCabe RE, Swinson RP. Frequency and Severity of the Symptoms of Irritable Bowel Syndrome across the Anxiety Disorders and Depression. J Anxiety Disord 2009;23(2):290-6. 

  10. Ford AC, Marwaha A, Lim A, Moayyedi P.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Prevalence of Irritable Bowel Syndrome in Individuals with Dyspepsia. Clin Gastroenterol Hepatol 2010;8(5):401-9. 

  11. Lee YT, Hu LY, Shen CC, Huang MW, Tsai SJ, Yang AC, et al. Risk of Psychiatric Disorders Following Irritable Bowel Syndrome: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PLoS ONE 2015;10(7):e0133283. 

  12. Sibelli A, Chalder T, Everitt H, Workman P, Windgassen S, Moss-Morris R.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of the Role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Irritable Bowel Syndrome Onset. Psychol Med 2016;46(15):3065-80. 

  13. Drossman DA. The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d the Rome III Process. Gastroenterlogy 2006;130(5):1377-90. 

  14. Na BJ, Choi SH. Clinical Analysis of the 991 Out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Extra-gastrointestinal Symptoms. J Korean Oriental Med 2012;33(1):107-20. 

  15. Kang JH, Hong SJ, Ko BM, Ryu CB, Kim JO, Cho JY, et al. The Freqency of Functional Bowel Disease in Health Check Up Using the Rome III. Korean J Gastrointest Motil 2007;13(suppl 1):96. 

  16. Svedlund J, Sjodin I, Dotevall G. GSRS- a Clinical Rating Scale for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Patients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 and Peptic Ulcer Disease. Dig Dis Sci 1988;33(2):129-34. 

  17. Lee YH, Song JY.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SDS, and MMPI-D Scales. Korean J Clin Psychol 1991;10(1):98-113. 

  18. Baek ES, Park HJ. Effects of a Case Management Program on Self-efficacy, Depression and Anxiety in Pregnant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13;19(2):88-98. 

  19. Yook SP, Kim ZS. A Clinical Study on the Korean Version of Beck Anxiety Inventory: Comparative Study of Patient and Non-patient. Korean J Clin Psychol 1997;16(1):185-97. 

  20. Nastaskin I, Mehdikhani E, Conklin J, Park S, Pimentel M. Studying the Overlap between IBS and GERD: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Dig Dis Sci 2006;51(12):2113-20. 

  21. Park HJ, Lim SJ. Frequency of Irritable Bowel Syndrome, Perceived Stress, and Mental Health among Women. Korean J Adult Nurs 2008;20(5):685-96. 

  22. Park SK, Kim JS, Hong JH, Hong SS, Lim JH, Han SY, et al. An Evaluation & Clinical Report on Three Cases of Functional Dyspepsia. Korean J Orient Int Med 2002;23(2):244-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