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테아제 종류에 따른 이용한 연산 오계육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아미노산 및 생리활성 특성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Protein Hydrolysates Derived from Yoensan Ogae Meat by Various Commercial Proteas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36 no.3, 2019년, pp.1018 - 1027  

하유진 (중부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  김주신 (신한대학교 식품조리과학부 식품영양전공) ,  유선균 (중부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물 유래 저분자 펩타이드들은 항산화, 고혈압 완화, 면역조절, 진통완화 및 항균작용 등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본 연구는 연산오계육 단백질을 상업용 프로티아제(alcalase, bromelain, flavourzyme, neutrase, papain, protamex)를 이용하여 저분자 펩타이드를 생산하고 항산화 활성(DPPH 소거능,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능, 하이드록시 라디칼 소거능 및 금속 킬레이션 능력), 펩타이드의 구성 아미노산 및 분자량을 분석하였다. 효소반응은 효소반응기에 다진 오계육 슬러리 50 g와 단백질 효소 2%(w/v)를 넣고 pH 6 와 온도 $60^{\circ}C$ 조건에서 2시간 반응을 하였다. 반응 후 가수분해도(%)의 범위는 $36.65{\pm}4.10%$에서 $70.75{\pm}5.29%$ 사이의 범위를 보여주었는데 protamex의 가수분해도는 46.3%로 가장 높았으며, papain hydrolysate가 $70.75{\pm}5.29%$로 가장 높은 값을 보여주었으며, 반면에 alcalase hydrolysate가 $36.65{\pm}4.10%$로 가장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bromelain 처리 저분자 펩타이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alcalase 처리 펩타이드에서 소거능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슈퍼옥사이드 라디칼 소거능 역시 bromelain 처리 저분자 펩타이드가 50% 이상의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보여주었다. 하이드록시 라디칼 소거능은 약 16.73에서 69.16% 사이의 분포를 보여 주었는데 bromelain 처리 저분자 펩타이드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Fe^{2+}$ 킬레이션 능력은 약 17.85에서 47.84% 사이의 분포를 보여 주었다. hydrolysate들의 킬레이션 능력은 사용 효소들에 상관없이 큰 차이점이 없었다. 아미노산의 분석결과 alcalase, bromelain, flavourzyme, neutrase, papain, protamex 효소 가수분해 시켰을 때 차이점을 보여 주었고 가장 많은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이었다. 효소 hydrolysate들의 분자량의 분포는 처리 효소에 따라 분자량의 분포가 다르게 나타났지만 300-2,000 Da 범위에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tural-derived protein-derived low molecular weight peptides have been known to have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nt, hypertension relief, immunomodulation, pain relief and antimicrobial activity. In this study, the low-molecular peptides were produced using commercial proteases (alcal...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단백질에 비해 크기가 작은 생리 활성 펩타이드는 생체내로 쉽게 흡수 될 수 있으며, 항산화 효과, 면역기능, 고혈압 예방, 진통완화 및 항균작용 등 생리활성 기능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8-9].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연산오계육 단백질을 다양한 프로테아제 효소를 이용하여 저분자 펩타이드를 생산하고 생리활성 및 물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능성 펩타이드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러한 저분자 펩타이드들은 호르몬처럼 특정 세포의 수용기에 반응을 하여 생리적인 기능을 활성화하는 물질로 새로운 생리활성 소재로 이용될 가능성이 크다[6]. 대체로 기능성 펩타이드들은 보통 3-2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아미노산의 조성이나 서열에 따라 펩타이드의 활성이 다양하다[7]. 특히 단백질에 비해 크기가 작은 생리 활성 펩타이드는 생체내로 쉽게 흡수 될 수 있으며, 항산화 효과, 면역기능, 고혈압 예방, 진통완화 및 항균작용 등 생리활성 기능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8-9].
생리 활성 펩타이드의 특징은 무엇인가? 대체로 기능성 펩타이드들은 보통 3-2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고 아미노산의 조성이나 서열에 따라 펩타이드의 활성이 다양하다[7]. 특히 단백질에 비해 크기가 작은 생리 활성 펩타이드는 생체내로 쉽게 흡수 될 수 있으며, 항산화 효과, 면역기능, 고혈압 예방, 진통완화 및 항균작용 등 생리활성 기능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8-9].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연산오계육 단백질을 다양한 프로테아제 효소를 이용하여 저분자 펩타이드를 생산하고 생리활성 및 물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오골계의 효능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오골계는 예로부터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개선하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알려져 왔다. 대표적인 효능으로는 적혈구의 생성을 촉진, 항산화, 항고혈압, 항염증, 진통완화, 및 간 보호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1]. 이들 중에서 한국재래 오골계인 연산 오계는 천연기념물 265호로 지정되어 다른 오골계와 차이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 S. Yoo, K. H. Chung, K. J. Lee, D. H. Kim, J. H. "An. Effect of Gallus gallus var. domesticus (Yeonsan ogolgye) extracts on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osteoclast formation", Microbiol. Biotechnol. Vol.43, pp.322-329, (2015). 

  2. C. M. Cho, C. K. Park, M. Y. Lee, I. D. Lew,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ilky fowl (Gallus domesticus var. silkies)", Korean J. Food Sci. Ani. Vol.26, pp. 306-314, (2006). 

  3. Y. Y. Sun, D. D. Pan, Y. X. Guo, J. J. Li, "Purification of chicken breast protein hydrolysate and analysis of its antioxidant activity",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Vol.50, pp. 3397-3404, (2012). 

  4. K. Elavarasan, B. A. Shamasundar, B. Faraha, H. Howell,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activity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oven- and freeze-dried protein hydrolysate from fresh water fish (Cirrhinus mrigala)", Food Chemistry, Vol.206, pp. 210-216, (2016). 

  5. R. Z. Gu, W. Y. Liu, F. Lin, Z. T. Jin, L. Chen, W. X. Yi, J. Lu, M. Y. Cai, "Antioxidant and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roperties of oligopeptides derived from black-bone silky fowl (Gallus gallus domesticus Brisson) muscle", Food Research International, Vol.49, pp. 326-333, (2012). 

  6. J. H. Baek, E. J. Jeong, S. Y. Jeon, Y. J. Cha, "Taste components of the hydrolysate of snow crab chionoecetes japonicus cooker effluent as precursors of crab flavorings". Kor J Fish Aquat Sci., Vol.45, pp. 232-237, (2012). 

  7. Huang G, Ren Z, Jiang J. "Separation of iron-binding peptides from shrimp processing by-products hydrolysates". Food Bioprocess Technol, Vol.4, No.8 pp. 1527-1532, (2011). 

  8. A. L. Carthy, Y. C. Callaghan, N. M. Brien, "Protein Hydrolysates from Agricultural Crops Bioactivity and Potential for Functional Food Development", Agriculture, Vol.3, pp. 112-130, (2013). 

  9. L. Qing, L. Yi, M. Peter, I. Brent, "Commercial proteases: Present and future", FEBS Letters, Vol.587, pp.1155-1163, (2013). 

  10. M. S. Bloi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 Nature, Vol.18, pp. 1000, (2004). 

  11. X. B. Fan, C. J. Li, D. N. sha, "The establishment of o-phenanthroline chemiluminescence system for measuring OH radical", Basic Medical Sciences and Clinics. Vol.18, No.6 pp. 468-471. (1998). 

  12. W. Yu, Y. Zhao, Z. Xue, H. Jin, D. Wang,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lycopene concentrate extracted from tomato paste", J. American oil Chem. Soc., Vol.78, No.7 pp. 697-701. (2001). 

  13. I. Gulcin, "Antioxidant activity of caffeic acid (3,4-dihydroxycinnamic acid)", Toxicol., Vol.217 No.2 pp. 213-220, (2006). 

  14. A. A. V. Sara, R. S. F. Sandra, H. Haiko, "Enzymatic Hydrolysis of Blue Crab (Callinectes Sapidus) Waste Processing to Obtain Chitin, Protein, and Astaxanthin-Enriched Extract", International J. Environmental & Agriculture Res., Vol.3, pp. 81-92, (2017). 

  15. I. Gulcin, D. Berashvili, A. Gepdiremen, "Antiradic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otal anthocyanins from Perilla pankinensis decne", J. Ethmopharmacol., Vol.101, No1 pp. 287-293, (2005). 

  16. H. Ham, K. S. Woo, B. Lee, J. Y. Park, E. Y. Sim, B. J. Kim,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ies of methanolic extracts from oat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4, pp.1660-1665, (2015). 

  17. T. Y. Kim, T. W. Jeon, S. H. Yeo, S. B. Kim, J. S. Kim, J. S. Kwak,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SOD-like activity effect of Jubak extracts", Korean J Food Nutr, Vol.23, pp. 299-305, (2010). 

  18. H. W. Kang,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Cichorium endivi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Vol.41, pp. 1487-1492, (2012). 

  19. S. Sakanaka, Y. Tachibana, Y. Okada, "Prepara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extracts of Japanese persimmon leaf tea (kakinoha-cha)", Food Chemistry, Vol.89, pp.569-575. (2005). 

  20. R E. Aluko, E. Monu, "Functional and bioactive properties of quinoa seed protein hydrolysates", J Food Sci, Vol. 68, pp. 1254-1258, (2003). 

  21. M. Y. Yoo, S. K. Kim, J. Y. Yang, "Characterization of an antioxidant from sporophyll of Undaria pinnatifida",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Vol. 32, pp. 307-311, (2004). 

  22. A. T. Girgih, C. C. Udenigwe, R. E. Aluko, "In vitro antioxidant properties of hemp seed (Cannabis sativa L.) protein hydrolysate fractions", J American Oil Chem Soc, Vol.88, pp. 381-389, (2010). 

  23. R. He, A. T. Girgih, S. A. Malomo, X. Ju, R. E. Aluko, "Antioxidant activities of enzymatic rapeseed protein hydrolysates and the membrane ultrafiltration fractions", J Functional Foods, Vol.5, pp. 19-227, (2013). 

  24. A. G. P. Samaranayaka, E. C. Y. L. Chan, "Food-derived peptidic antioxidant: A review of their production, assessment, and potential applications", J Functional Foods, Vol.3, pp. 229-254, (2011). 

  25. C. C. Udenigwe, R. E. Aluko, "Chemometric Analysis of the Amino Acid Requirements of Antioxidant Food Protein Hydrolysates", Int. J. Mol. Sci., Vol.12, No.5 pp. 3148-3161, (2011). 

  26. J. Adler-Nissen, "Enzymatic hydrolysis of proteins for increased solubility", J Afric Food Chem., Vol.24, pp. 1090-1093, (1976). 

  27. Z. Liu, K. L. Schey, "Optimization of a MALDI TOF-TOF Mass Spectrometer for Intact Protein Analysis", J. Am. Soc. Mass Spectrum, Vol.16, pp. 482-490, (2005). 

  28. K. Hsu, G. Lu, C. Jao, "Antioxidative properties of peptides prepared from tuna cooking juice hydrolysates with Orientase (Bacillus subtilis)", Food Research International. Vol.42, pp. 647-665, (2009). 

  29. D. M. Yeum, Y. S. Kim, "Antioxidative action of enzymatic hydrolysates of mackerel muscle protein", Korean J. Food & Nutrition, Vol.7, No.2 pp. 128-136, (1994). 

  30. S. N. Jamdar, V. Rajalakshmi, A. Sharma, "Antioxidant and ACE inhibitory properties of poultry viscera protein hydrolysate and its peptide fractions", Journal of Food Biochemistry, Vol.36, pp. 494-501,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