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태추출물의 기능성원료 표준화를 위한 지표성분 dieckol의 분석법 검증
Validation of an analytical method of dieckol for standardization of Ecklonia cava extract as a functional ingredient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1 no.5, 2019년, pp.420 - 424  

허연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은서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지수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건희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현규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해양수산물 유래 기능성 소재인 감태의 지표성분 분석법 검증 및 표준화를 위하여 HPLC를 이용하여 dieckol의 분석법을 확립하고 분석법에 대한 유효성 검증(validation)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Dieckol 분석을 위하여 0.1% trifluoroacetic acid가 첨가된 water와 acetonitrile을 이동상으로 Capcell pak $C_{18}$ ($250{\times}4.6mm$, $5.0{\mu}m$) 컬럼을 사용하여 HPLC 방법을 통해 분석한 결과, 표준용액과 감태추출물의 dieckol RT이 일치하고 3.37의 높은 분리도(Rs)를 나타내었으며, UV spectrum이 일치하는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검량선의 상관계수($r^2$)는 0.9994로 높은 직선성을 나타냈으며, 검출한계(LOD)와 정량한계(LOQ)는 0.38과 $1.16{\mu}g/mL$로 각각 확인되었다. 분석법의 재현성을 검증하기 위한 intra-day 및 inter-day 분석에서 RSD는 각각 1.7%와 1.00-1.25%로 나타났으며, 회수율은 99.42-101.32%이였으며 RSD는 2% 이하로 산출되어 정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HPLC를 이용한 dieckol의 분석법은 감태추출물의 기능성원료 표준화를 위한 지표성분 분석법으로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본 시험법에 따라 분석한 감태추출물 내의 dieckol의 평균 함량은 약 0.11 g/g (10.54%)로 상대표준편차는 0.5% 이하였다. 따라서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확립된 dieckol 분석법이 향후 감태추출물의 건강기능성식품 기능성 원료 개발과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크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HPLC analysis method was developed and standardized for the detection of dieckol as a functional food ingredient in Ecklonia cava extracts. HPLC was performed using a Capcell Pak C18 column ($250{\times}4.6mm$, $5{\mu}m$) with a gradient elution of water and acetonitrile, bo...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태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감태 추출물의 dieckol을 지표성분으로 선정하고 원료 표준화를 위한 dieckol의 효과적인 분석법을 확립하며 그에 따른 유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해양수산물 유래 기능성 소재인 감태의 지표성분 분석법 검증 및 표준화를 위하여 HPLC를 이용하여 dieckol의 분석법을 확립하고 분석법에 대한 유효성 검증(validation)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Dieckol 분석을 위하여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태의 정의 및 서식지역은? 감태(Ecklonia cava)는 갈조식물문 갈조강 다시마목 미역과에 속하는 식용 해조류로, 한국의 일부 남해안과 제주도 연안 일대및 일본 지역에 서식하고 있다. 감태는 주로 수심 5-10 m 부근에서 대군락을 형성하며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고 부착기는 육상식물의 뿌리 모양을 하고있다(Jung 등, 2012; Kim 등, 2015).
감태는 어떤 효능을 갖고 있는가? 최근 감태는 다양한 연구를 통해서 항산화 활성을 비롯하여 항균, 항혈전, 항당뇨, 항고혈압, 항비만, 항염증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됨에 따라 기능성 원료로서의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Ahn 등, 2010; Hong 등, 2006; Kim 등, 2015; Li 등, 2009; Nshmiyumukiza 등, 2015; Park 등, 2012; Yoon 등, 2017). 특히, Gold blatt 고혈압 실험쥐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활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수축기 혈압을 저하시켜서 항고혈압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다(Hong 등, 2006).
감태의 플로로탄닌은 어떤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플로로탄닌은 플로로글루시놀(1,3,5-trihydroxybenzene)의 중합체이며 대표적인 플로로탄닌으로는 에콜(eckol), 디에콜(dieckol), 트리플로레(triphlorethol) A 등이 있다. 최근 다양한 in vitro 및 in vivo 연구에 따르면, 감태의 플로로탄닌들은 항산화 및 항암, 항염증, 항고혈압 활성 뿐만 아니라(Ahn 등, 2015; Li 등, 2009) 에탄올에 의해 유발된 간손상과 UVB 조사에 의해 유도된 광산화스트레스에 대한 보호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되었다(Heo 등, 2009; Hwang 등, 2005; Hwang 등 2006; Yamashita 등,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hn JH, Yang YI, Lee KT, Choi JH. Dieckol, isolated from the edible brown algae Ecklonia cava, induces apoptosis of ovarian cancer cells and inhibits tumor xenograft growth. J. Cancer Res. Clin. 141: 255-268 (2015) 

  2. Ahn SM, Hong YK, Kwon GS, Sohn HY. Evaluation of in-vitro anticoagulation activity of 35 different seaweed extracts. J. Life Sci. 20: 1640-1647 (2010) 

  3. Gupta S, Abu-Ghannam N. Bioactive potential and possible health effects of edible brown seaweeds. Trends Food Sci. Tech. 22: 315-326 (2011) 

  4. Heo SJ, Ko SC, Cha SH, Kang DH, Park HS, Choi YU, Kim DY, Jung WK, Jeon YJ. Effect of phlorotannins isolated from Ecklonia cava on melanogenesis and their protective effect against photo-oxidative stress induced by UV-B radiation. Toxicol. in vitro 23: 1123-1130 (2009) 

  5. Hong JH, Son BS, Kim BK, Chee HY, Song KS, Lee BH, Shin HC, Lee KB. Antihypertensive effect of Ecklonia cava extract. Korean J. Pharmacogn. 37: 200-205 (2006) 

  6. Hwang HJ, Chen T, Nines RG, Shin HC, Stoner GD. Photochemoprevention of UVB-induced skin carcinogenesis in SKH-1 mice by brown algae polyphenols. Int. J. Cancer 119: 2742-2749 (2006) 

  7. Hwang HJ, Chen T, Stoner GD, Lee KB, Yoo YC, Shin HC. Suppression of iNOS expression by phlorotannins in chronic exposure of skin to UVB radiation. Lab. Animal Res. 21: 385-389 (2005) 

  8. Jung SA, Kim KBWR, Kim MJ, Kim DH, Chan SW, Kim HJ, Jeong DH, Jeong HY, Kim TW, Cho YJ, Ahn DH. Trypsin inhibitory activity of water extracts from Ecklonia cava as affected by temperature and pH.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840-845 (2012) 

  9. Jung WK, Heo SJ, Jeon YJ, Lee CM, Park YM, Byun HG, Choi YH, Park SG, Choi IW. Inhibitory effects and molecular mechanism of dieckol isolated from marine brown alga on COX-2 and iNOS in microglial cells. J. Agr. Food Chem. 57: 4439-4446 (2009) 

  10. Kang MC, Ahn G, Yang X, Kim KN, Kang SM, Lee SH, Ko SC, Ko JY, Kim D, Kim YT, Lee Y, Park SJ, Jee Y. Hepatoprotective effects of dieckol-rich phlorotannins from Ecklonia cava, a brown seaweed, against ethanol induced liver damage in BALB/c mice. Food Chem. Toxicol. 50(6): 1986-1991 (2012) 

  11. Kim JY, Um MY, Yang HJ, Kim IH, Lee CH, Kim YT, Yoon MS, Kim YK, Kim JM, Cho SM. Method development and validation for dieckol in the standardization of phlorotannin preparations. Fish. Aquat. Sci. 19: 3 (2016) 

  12. Kim YT, Lee JH, Ko JY, Oh JY, Sok CH, Hong JT, Jeon YJ. Isolation of eckol from Ecklonia cava via centrifugal partition chromatography (CPC) and characterization of it's antiinflammatory activity. Korean J. Fish Aquat. Sci. 48: 301-307 (2015) 

  13. Lee SH, Han JS, Heo SJ, Hwang JY, Jeon YJ. Protective effects of dieckol isolated from Ecklonia cava against high glucose-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Toxicol. in vitro 24: 375-381 (2010a) 

  14. Lee SH, Park MH, Heo SJ, Kang SM, Ko SC, Han JS, Jeon YJ. Dieckol isolated from Ecklonia cava inhibits ${\alpha}$ -glucosidase and ${\alpha}$ -amylase in vitro and alleviates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Food Chem. Toxicol. 48: 2633-2637 (2010b) 

  15. Li Y, Qian ZJ, Ryu BM, Lee SH, Kim MM, Kim SK. Chemical components and its antioxidant properties in vitro: an edible marine brown alga, Ecklonia cava. Bioorgan. Med. Chem. 17: 1963-1973 (2009) 

  16. Nshmiyumukiza O, Kang SK, Kim HJ, Lee EH, Han HN, Kim YH, Kim DK, Kim JH, Eom HE, Kim YM. Synergistic antibacterial activity of Ecklonia cava (Phaeophyceae: Laminariales)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ales: Listeriaceae). Fish. Aquat. Sci. 18: 1-6 (2015) 

  17. Park EY, Kim EH, Kim MH, Seo YW, Lee JI, Jun HS. Polyphenolrich fraction of brown alga Ecklonia cava collected from Gijang, Korea, reduces obesity and glucose levels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Evid-Based Compl. Alt. http://dx.doi.org/10.1155/2012/418912 (2012). 

  18. Yamashita H, Goto M, Matsui-Yuasa I, Kojima-Yuasa A. Ecklonia cava polyphenol ha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ethanol-induced liver injury in a cyclic AMP-dependent manner. Mar. Drugs 13: 3877-3891 (2015) 

  19. Yoon JY, Choi HJ, Jun HS. The effect of phloroglucinol, a component of Ecklonia cava extract, on hepatic glucose production. Mar. Drugs 15: 106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