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구개를 포함한 상악골 절제술을 받은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이중 온성법으로 제작한 구개 폐색장치를 통한 보철수복: 증례 보고
Prosthetic rehabilitation by double-processing technique for edentulous patient with soft palate defect after maxillectomy: A case report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7 no.4, 2019년, pp.356 - 363  

박진용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왕원곤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송광엽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박주미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  이정진 (전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및 구강생체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개를 포함한 상악골 절제술을 받은 환자는 구강, 비강, 상악동, 비인두를 포함하는 결손을 가질 수 있다. 비강과 구강이 개통되고 불완전한 구개인두폐쇄로 인해 공기 및 음식물이 누출되어 발음 장애, 저작, 연하 기능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고, 안모의 변형으로 환자의 심리상태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구개 폐색장치는 결손 부위 폐쇄를 통해 구강과 비강을 분리시켜 연하, 발음 및 심미적 장애를 개선할 수 있다.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구개 폐색장치는 통상적인 총의치와 같은 유지, 안정을 얻기 어렵기 때문에 결손 부위의 주위조직을 적절히 활용해 변연봉쇄를 얻어야 한다. 또한 hollow type bulb를 통해 보철물의 무게를 감소시켜 유지에 도움을 준다. 본 증례는 우측 편평상피암으로 인하여 상악골 절제술을 받은 63세 남환으로 구강 및 인두부의 기능적 변연형성을 통해 생리적으로 적절한 변연을 갖고, 이중온성법을 사용하여 무게를 감소시킨 보철물을 이용하여 기능적, 심미적 회복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patient who went through maxillectomy can have soft palate defects including oronasal fistulas and suffer from dysphagia and dysarthria due to velopharyngeal insufficiency. This defect causes the food to enter nasal cavity and creates hypernasal sound which debilitates a quality of life. An obtu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증례보고의 환자는 우측에 편평상피암으로 부분 상악골 절제술을 받아 연구개를 포함한 광범위한 결손을 갖는 완전 무치악 상태였다. 이에 기능 및 심미적 회복을 위해 기능적 변연형성을 통해 생리적으로 적절한 보철물 변연을 형성하고 이중온성법을 이용해 무게를 줄인 구개 폐색장치를 이용해 치료하였으며, 이를 통해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개 결손이 초래하는 부정적인 영향은? 구강을 포함한 안면부 영역에 발생한 악성 종양 제거를 위해 시행되는 상악골 절제술은 구강, 비강, 상악동, 비인두를 포함하는 결손을 보일 수 있으며, 이는 기능적, 심미적 장애를 초래한다. 1 이러한 경우, 연구개 결손은 불완전한 구개인두폐쇄로 인해 공기와 음식물이 누출되어 과비음(hypernasality)과 같은 발음 장애, 저작, 연하기능 저하의 원인이 된다. 또한 안모의 변형으로 인해 환자의 심리상태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상악골 절제술의 목적은 무엇인가? 구강을 포함한 안면부 영역에 발생한 악성 종양 제거를 위해 시행되는 상악골 절제술은 구강, 비강, 상악동, 비인두를 포함하는 결손을 보일 수 있으며, 이는 기능적, 심미적 장애를 초래한다. 1 이러한 경우, 연구개 결손은 불완전한 구개인두폐쇄로 인해 공기와 음식물이 누출되어 과비음(hypernasality)과 같은 발음 장애, 저작, 연하기능 저하의 원인이 된다.
연조직을 포함한 광범위한 결손부위가 있는 환자의 치료를 위해서 어떤 방법을 사용해야 하는가? 특히 연조직을 포함한 광범위한 결손부위가 있는 환자는 구개인두 폐쇄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연하시 음식물이 비인강으로 들어가고, 공기가 비강으로 들어가는 과비음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연조직 결손 환자의 치료를 위해서는 폐색장치를 통해 구개범인두 폐쇄의 기능을 회복시키고, 결손부위의 이용 가능한 조직 언더컷을 최대한 활용하고 보철물의 무게를 줄여 폐색장치의 유지와 안정을 향상시켜야 한다. 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eumer J, Marunick MT, Esposito SJ. Maxillofacial rehabilitation: prosthodontic and surgical management of cancerrelated, acquired, and congenital defects of the head and neck. Quintessence Pub., 2011. p. 175-81. 

  2. Zarb GA, Hobkirk J, Eckert S, Jacob R. Prosthodontic treatment for edentulous patients: complete dentures and implantsupported prosthesis. Elsevier, 2013. p. 351-66. 

  3. Brown KE. Peripheral consideration in improving obturator retention. J Prosthet Dent 1968;20:176-81. 

  4. Desjardins RP. Obturator prosthesis design for acquired maxillary defect. J Prosthet Dent 1978;39:424-35. 

  5. Schwartzman B, Caputo AA, Beumer J. Gravity-induced stresses by an obturator prosthesis. J Prosthet Dent 1990;64:466-8. 

  6. Minsley GE, Nelson DR, Rothenberger SL. An alternative method for fabrication of a closed hollow obturator. J Prosthet Dent 1986;55:485-90. 

  7. Matalon, V, LaFuente H. A simplified method for making a hollow obturator. J Prosthet Dent 1976;36:580-2. 

  8. Oh WS, Roumanas ED. Optimization of maxillary obturator thickness using a double-processing technique. J Prosthodont 2008;17:60-3. 

  9. Seaver EJ, Dalston RM, Leeper HA, Adams LE. A study of nasometric values for normal nasal resonance. J Speech Hear Res 1991;34:715-21. 

  10. Aramany MA. Basic principles of obturator design for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Part I: classification. J Prosthet Dent 1978;40:554-7. 

  11. Eckert SE, Desjardins RP, Taylor TD. Clinical maxillofacial prosthetics. 1st ed. Quintessence Pub., 2000. p.125-31. 

  12. Wu YL, Schaaf NG. Comparison of weight reduction in different designs of solid and hollow obturator prostheses. J Prosthet Dent 1989;62:214-7. 

  13. Murata H, Hamada T, Nagasiri R. Stabilizing record bases for edentulous obturator prostheses with silicone resilient relining material. J Prosthet Dent 1999;82:366-8. 

  14. Kim SI, Baik JA, Shin HK, Kim OH, Study of nasalance for normal Korean adults using nasometer II. Speech Science 2000;7:219-2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