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간호근무환경 인식과 진로장벽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rsing Working Environment and Career Barrier recognized by Graduate grade Nursing College Students on Career Identit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0, 2019년, pp.37 - 47  

백소영 (청암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간호근무환경 인식과 진로장벽, 진로정체감을 확인하고,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9년 6월 3일부터 6월 28일까지 S시에 소재한 C대학의 4학년 2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진로정체감은 $2.65{\pm}.46$점, 간호근무환경 인식정도는 $3.23{\pm}.57$점, 진로장벽은 $2.28{\pm}.77$점이었다. 진로정체감은 간호근무환경(r=-.654, p<.001)과 음의 상관관계, 진로장벽(r=.319,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근무환경은 진로장벽(r=-.216,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진로장벽(${\beta}=-.527$, p=.000), 간호근무환경 인식(${\beta}=.131$, p=.014), 실습만족도(${\beta}=-.154$, p=.009)로 나타났으며, 이 변수는 진로정체감에 50.1%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들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간호근무환경 인식과 실습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학교차원의 노력, 임상실습의 실습환경 개선, 병원의 지원과 간호관리자의 관심과 지지를 통한 진로장벽을 낮추는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work environment perception, career barriers and career identity of graduating grade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factors affecting career identity.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ne 3 to June 28, 2019 with 212 stud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동안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진로정체감 정도와 영향요인을 살펴보았고, 간호근무환경, 진로정체감에 대한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져 간호학생들이 인지하는 진로장벽과 간호근무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졸업직전의 예비간호사인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진로장벽과 간호근무환경에 대한 인식 정도와 그로 인한 진로정체감에 대한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예비 간호사로서 높은 진로정체감을 형성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대안마련과 교육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들의 진로장벽과 간호근무환경에 대한 인식, 진로정체감을 파악하고,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간호근무환경에 대한 인식과 진로장벽, 진로정체감을 파악하고,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진로장벽을 낮추고 간호근무환경 인식개선과 높은 진로정체감 형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되고자 함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간호근무환경에 대한 인식과 진로장벽, 진로정체감의 관계를 확인하고 그로 인한 진로정체감에 대한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높은 진로정체감을 형성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대안마련과 교육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일반적 특성 중 진로 장벽은 간호학과 지원동기, 대학생활 만족도, 취업희망분야, 간호근무환경 차이는 대학생활 만족도, 실습만족도, 진로정체감 차이는 간호학과 지원동기, 대학생활 만족도, 실습만족도, 취업 희망분야에서 차이가 있었다.
  • 본 연구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간호근무환경에 대한 인식과 진로장벽, 진로정체감의 관계를 확인하고 그로 인한 진로정체감에 대한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예비 간호사로서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에게 높은 진로정체감을 형성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대안마련과 교육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학생들이 결국 사직 혹은 이직하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병원 간호근무환경 경험이 미래의 진로에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추후 취업과 병원환경 적응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간호학생이 인식하는 간호근무환경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많은 학생들이 간호 전문직으로 평생 직업을 얻는 것과 극심한 취업난 속에 높은 취업률을 보여주는 간호학과의 장점으로 입학을 하지만, 간호근무환경에 대한 이해나 인식이 없는 상 황에서 막연히 간호사로의 진로만을 고려해 입학하고, 졸 업 후 병원에서 근무하면서 막연하게 생각했던 직업인으로의 간호사에 대한 이상과 현실의 괴리감으로 힘들어하다 결국 사직이나 이직을 하게 된다. 즉, 이미 직업을 선 택하여 입학하므로 직업선택 및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정체감에 대한 깊은 생각을 하지 못해[11] 취업 후 진로정체감이 낮아 병원과 간호사로서 적응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진로장벽이란 무엇인가? 진로장벽은 ‘개인의 진로과정을 어렵게 만드는 사람 혹은 개인의 환경 안에 존재하는 사건이나 조건’을 말한 다[12]. 간호대학생들은 4년 동안의 이론과 다양한 간호 현장 실습을 경험함에도 취업을 앞두고 진로장벽이 높았 다[13].
간호대학생들은 어떻게 진로장벽을 느끼는가? 간호대학생들은 4년 동안의 이론과 다양한 간호 현장 실습을 경험함에도 취업을 앞두고 진로장벽이 높았 다[13]. 간호대학생들은 교육과정을 거치고 취업을 준비 하면서 선배간호사들의 입사 후 1년 이내 이직에 대한 간접경험을 통해 진로에 대한 자신감 저하와 함께 진로장벽을 느끼는 것으로 여겨진다[14]. Swanson과 Woitke(1997)은 진로장벽을 극복(Impenetrable)할 수 없는 것이 아니 라, 개인의 특성이나 장벽의 본질에 따라 어려움의 차이는 있지만 극복 가능한 것으로 바라보았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W. Lee. (2006). Improvement of Hospital Human Resource Management for Achieving Organizational Goals. The Journal of Korean Hospital Association, 300, 73-83. 

  2. I. S. Sohn, H. S. Kim, J. S. Kwon, D. L. Park, Y. H. Han & S. S. Han. (2008).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of New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 Clinical Nursing Research, 14(1), 85-97. 

  3.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8).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 placement. http://www.khna.or.kr/main.php 

  4. Suh Y & Lee K. (2013). Lived Experiences of New Graduate Nurses. J Korean Acad Nurs Adm, 19(2), 227-38. DOI :http://dx.doi.org.libproxy.jnu.ac.kr/10.11111/jkana.2013.19.2.227 

  5. K. M. Sin, J. O. Kwon & E. Y. Kim. (2014). Factors associated with New Graduate Nurses' Reality Shock. J Korean Acad Nurs Adm, 20(3), 292-301. DOI :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292 

  6. Y. J. Lee & K. B. Kim. (2008). Experiences of Nurse Turnover. J Korean Acad Nurs, 38(2), 248-57. DOI : https://doi.org/10.4040/jkan.2008.38.2.248 

  7. S. Y. Lee & E. J. Oh & K. M. Sung. (2013). The Experience of Turnover Intention in Early Stage Nurses. J. East-West Nurs. Res., 19(2), 168-176. DOI : 10.14370/jewnr.2013.19.2.168 

  8. E. T. Lake. (2002).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dagger}{\ddagger}$ .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5(3), 176-88. DOI: https://doi.org/10.1002/nur.10032 

  9. K. N. Kang.(2010). Nurse's practice environment, nursing professionalism, career commit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small-medium sized hospital. [dissertation]. Seoul:Ewha Womans University. 

  10. J. A. Kwon. (2009). Clinical Nurse's Working Environment and intention of Retention. [dissertation]. Seoul:Hanyang University. 

  11. H. Cho & G. Y. Lee. (2006). Self Esteem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Jou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2), 163-73. 

  12. J. L. Swanson & M. B. Woitke. (1997). Theory Into Practice in Career Assessment for Women: Assessment and Interventions Regarding Perceived Career Barrier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5(4), 443-62. 

  13. H. J. Choi & K. I. Jung. (2018).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Job-seeking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4(1), 61-72. DOI :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1.61 

  14. C. S. Shim. (2017). Relationship among Communication Compet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Barries in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inities, and Sociology. 7(11), 147-58. DOI : 10.14257/ajmahs.2017.11.09 

  15. E. Y. Yeom. (2017).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Emotional Labor on Clinical Practice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4), 320-30. DOI : https://doi.org/10.5392/JKCA.2017.17.04.320 

  16. J. J. Holland, D. C. Gottfredson & P. G. Power. (1980). Some diagnostic scales for research in decision making and personality: Identity, information, and barri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6), 1191-200. 

  17. K. N. Kwon & E. H. Choi. (2010). Factors Affectiong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Pubilc Health Nurs, 24(1), 19-28. 

  18. S. H. Park. (2012). Development of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Scale. [dissertation]. Busan: Dong-A University. 

  19. J. K. Tak & K. H. Lee. (2001). The Development of Career Decision Scale : An Exploratory Study. Digital Business Institute, 1(1), 167-80. 

  20. J. L. Holland, D. C. Diger & P. G. Power. (1980). My vocational situation. Palo Alto. CA: Counseling Psychology Press. 

  21. B. W. Kim & K. H. Kim. (1997). Career Decision Level of Career Preparation of th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9(1), 311-33. 

  22. Y. H. Kwon & J. N. Kim. (2002). Effects of a Ready Planned Self Growth Program through MBTI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Career Ident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3(2), 216-29. 

  23. J. I. Won. (2019). Factors Affecting Career Barriers of Nursing Students. [dissertation]. Gwanju:Chonnam National University. 

  24. H. S. koong & K. W. Seo. (2018).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elf-Leadership in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Korea Society for Wellness, 13(1), 287-94. DOI : 10.21097/ksw.2018.02.13.1.287 

  25. H. J. Choi & K. I. Jung. (2018).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Job-seeking Stress among Nursing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J Korean Acad Nurs Adm., 24(1), 61-72. DOI :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1.61 

  26. C. R. Jun. (2013).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Career Barriers on Career Stres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earching efficacy.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20(1), 1-14. 

  27. S. H. Kim. (2015). The effects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Workplace bullying on nursing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sion. [dissertation]. Daejeon:Eulji. University. 

  28. Y. J. Lee & S. M. GyeongAe. (2016). Impact of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on Nurse Turnover Intens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6), 355-362. DOI : http://dx.doi.org/10.14400/JDC.2016.14.6.355 

  29. K. M. Sin, J. O. Kwon & E. Y. Kim. (2014). Factors associated with New Graduate Nurse's Reality Shock. J Korean Acad Nurs Adm, 20(3), 292-301. DOI :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292 

  30. I. S. Park & Y. J. Han. (2017).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Career Attitude Maturity, Career Identity, Stress Management, and Satisfaction for Major Classes of Nursing Student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Korean Employment & Career Association, 7(1), 145-67. DOI : 10.35273/jec.2017.7.1.007 

  31. J. A. Seong, S. Y. Bang & S. Y. Kim. (2012). The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areer Identit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Holistic Health Science, 2(2), 29-38. 

  32. J. S. Jung, M. J. Jeon & I. Y. Yoo. (2014). 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 27-36. DOI : http://dx.doi.org/10.5977/jkasne.2014.20.1.27 

  33. S. H. Lee & E. J. Cha. (2017). Effects of Verbal Abuse, Sexual Violence, Depression, and Self-Esteem on Career Identity in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Training.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7(4), 550-60. DOI : 10.5392/JKCA.2017.17.04.550 

  34. H. J. Im. (2018). The Influence College Student's Career Barieer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Medicating effects of Career stress resilience-.[dissertation]. Daegu: Haany University. 

  35. M. O. Kim & J. Y. Cha. (2018).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after Gerontological Nursing Practice,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Nursing Imag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9), 247-56. DOI : 10.14400/JDC.2018.16.9.247 

  36. J. Y. Lee, M. S. Kim, S. J. Kim, S. G. Lee, S. J. Yang & S. A. Park. (2018). Effects of Hospital Violence and Nurses Incivility on Career Identity in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Training.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 Convergence, 40(5), 713-38. 

  37. J. L. Holland. (1985). Making vocational choices : a theory of vocational personalities and work environments. 2nd ed. Englewood Cliff, NJ : Prentice-Hall. 

  38. C. R. Friese, E. T. Lake, L. H. .Aiken, J. H. Silber & J. Sochalski. (2008). Hospital Nurse Practice Environments and Outcomes for Surgical Oncology Patients. Health services research. 43(4), 1145-63. 

  39. J. W. Westerman & B. L. Simmons. (2007). The Effects of Work Environment on the Personality-Performance Relationship: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managerial issues, 19(2), 289-305. 

  40. M. S. Kim & S. O. Choi. (2003). Concept analysi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9(1), 19-30. 

  41. S. Y. Hwang, E. J. Lee, E. M. Na, G. S. Lee, G. S. Sun & C. S. Lee. (2002). The Clinical Experience of Newly-qualified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8(2), 261-71. 

  42. G. R. Bae & Y. S. Im.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Verbal Violence, Career Identity and Self-Esteem in clinocal Practice o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16(06), 187-8. 

  43. J. N. Jeon. (2019). Factors affecting the new Nurse's intention of retention-Focused on Self-efficacy, Resilience,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dissertation]. Ulsan: Ulsan University.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