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정체감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 2020년, pp.211 - 218  

김남석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과) ,  고영주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정체감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자료는 2019년 10월 2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수집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간호대학 3,4학년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은 3.55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3.52점, 진로정체감은 2.64점이었다. 진로정체감과 셀프리더십(r=.40 p<.001), 진로결정 자기효능감(r=.65 p<.001)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r=.66 p<.001)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51.3%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진로지도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criptive research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The data of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1 to October 31, 2019.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0 third and fourth grad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과 변수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진로정체감 확립을 위한 진로지도 방안 및 졸업 후 적응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전공만족도이며, 진로정체감에 대한 설명력은 51.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진로정체감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와 같은 맥락에서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을 확인하고 그와 관련된 변수들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은 간호대학생의 진로정체감 확립을 위한 체계적인 진로지도 방안 및 졸업 후 적응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규간호사의 조기이직으로 연결되는 임상 현장의 부적응을 줄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간호사로 성장할 간호대학생이 간호전문인으로서 명확한 진로정체감을 수립하지 못한 상태에서 간호직을 선택하고 임상현장에 적응 하지 못하고 이직으로 연결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 이러한 신규간호사의 조기이직으로 연결되는 임상 현장의 부적응을 줄이기 위해서는 진로 결정의 가장 중요한 시기인 대학시절에 간호사라는 직업과 관련하여 본인 스스로 정체감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4].
진로정체감이란 무엇인가? 진로정체감은 진로에 대한 자기 확신으로, 직업과 관련된 자신의 목표, 흥미, 성격, 재능에 대한 명확한 청사진을 갖고 있는 상태를 의미 한다[5]. 또한, 개인이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알고 자아실현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 알게 되는 것이라고 하였다[6].
셀프리더십이 5점 만점에 평균 3.55점으로 나타난 결과는 간호학과전 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3.51점, 전 학년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에서 3.43점 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43점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단순히 점수만을 가지고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본 연구의 대상자는 3,4학년만을 대상으로 한 반면 다른 연구는 전 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학년에 따른 차이로 생각된다. 하위영역으로는 행동중심 전략이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Y. S. Kim & K. Y. Park. (2013).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competence and field adaptation in newly graduated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9(4), 536-543. DOI: 10.11111/jkana.2013.19.4.536 

  2.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18). Survey on the status of hospital nursing staff placement. http://www.khna.or.kr/main.php 

  3. J. W. Lee, N. Y. Lee & Y. S. Eo. (2018). Satisfaction, clinical competenc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1), 311-320. DOI: 10.5762/KAIS.2018.19.1.311 

  4. H. Cho & G. Y. Lee. (2006). Self esteem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2), 163-173. 

  5. J. L. Holland & J. E. Holland. (1977). Vocational indecision: More evidence and specul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4(5), 404. 

  6. D. V. Tiedeman & R. P. O'Hara. (1963). Career development: Choice and adjustment. New York, US: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oard. 

  7. K. N. Kwon & E. H. Choi. (2010). Factors affecting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4(1), 19-28. 

  8. J. H. Kim, S. N. Jang, H. J. Ji, G. J. Jung, Y. J. Seo, J. H. Kim & Y. S. Choi. (2015). The effect of parental social support on the transition to college life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undergraduat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9), 6027-6035. DOI: 10.5762/KAIS.2015.16.9.6027 

  9. I. S. Kim, M. J. Son & H. G. Park. (2017). The effects of dysfunctional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on job-seeking anxie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2), 302-312. DOI: 10.5762/KAIS.2017.18.2.302 

  10. E. H. Choi. (201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dentity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5(1), 15-21. 

  11. K. A. Lee & J. H. Kim. (2015). Nursing students awarenes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search behavior,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2(1), 42-49. DOI: 10.16952/pns.2015.12.1.42 

  12. S. W. Shin. (2014).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ollege students' self-leadership, self-concept, career identity, and career maturity. Andragogy Today: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7(1), 23-46. 

  13. G. H. Kim & E. H. Hwang. (2016). Influence of ego-resili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 leadership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2), 436-445. DOI: 10.5762/KAIS.2016.17.2.436 

  14. C. C. Manz. (1986).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3), 585-600. 

  15. K. M. Taylor & N. E. Betz. (1983).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1), 63-81. 

  16. Y. S. Kang & S. K. Hwang. (2013). Correlations of self-esteem,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otivation in colleg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2), 979-989. DOI: 10.5762/KAIS.2013.14.7.3301 

  17. J. D. Houghton & C. P. Neck. (2002).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17(8), 672-691. 

  18. Y. K. Shin, M. S. Kim & Y. S. Han. (2009).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RSLQ) for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6(3), 313-340. 

  19. N. E. Betz, K. L. Klein & K. M. Taylor. (1994). Evaluation of a short for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4(1), 47-57. 

  20. M. J. Kim & B. W. Kim. (2007). The effect of anxie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 level.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0(1), 13-25. 

  21. J. L Holland, D. C. Daiger & P. G. Power. (1980). My vocational situation.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22. Y. H. Kwon & C. N. Kim. (2002). Effect of a ready planned self growth program through MBTI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career ident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3(2), 216-229. 

  23. M. O. Lee, M. Y. Lee & S. Y. Kim. (2015). A study on nursing students self-leadership and their perception of learning.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3), 417-425. 

  24. C. C. Manz & Sim, H. P. (1980). Self-management as ad substitute for leadership: A social learning perspectiv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5, 361-367. 

  25. J. S. Jung, M. J. Jeong & I. Y. Yoo. (2014). Relations between satisfaction in majo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 27-36. 

  26. I. Y. Cho. (2014). The relationship of career identity, major satisfaction and college adaptation of nursing freshme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5), 2937-2945. DOI: 10.5762/KAIS.2014.15.5.29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