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D유형 성격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행복 및 대학생활적응 비교
Comparisons of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ppiness, and Colleg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by Type D Personalit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0, 2019년, pp.273 - 282  

신경아 (전남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강숙 (조선간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D유형 성격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행복 및 대학생활적응을 분석하고 비교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상은 간호대학생 181명(D유형 성격 대상자 53명, D유형 성격이 아닌 대상자 128명)이었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가보고하도록 하였다. 자료분석${\chi}^2$-test, Fisher exact test 및 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D유형 성격에 따라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행복, 대학생활적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D유형 성격 대상자에서 자아존중감은 간호학과 적응 정도, 대인관계는 종교, 행복은 경제상태, 대학생활적응은 종교와 간호학과 적응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D유형 성격이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행복 및 대학생활적응을 낮추는 요인임을 보여주었다. D유형 성격 간호대학생에서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행복 및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amine and compare the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ppiness, and college adjustment between Type D and non-Type D personality among nursing students. Subjects included a total 181 nursing students (Type D personality: n=53, non-Type D personality: n=128). D...

Keyword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D유형 성격은 내향적 요소를 많이 가지고 있어서 성격적 특성 자체만으로 내·외적인 측면에 취약해질 수 있으므로 내적인 측면인 자아존중감, 행복과 외적인 측면인 대인관계, 대학생활적응의 사정을 통해 개별적 중재가 이루어지면 역량있는 간호사로 준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D유형 성격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행복 및 대학생활적응 정도를 파악하고 비교, 분석함으로써 D유형 성격을 가진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행복 및 대학생활적응을 강화하기 위한 간호중재 전략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D유형 성격을 파악하고, D유형 성격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 관계, 행복 및 대학생활적응을 비교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D유형 성격에 따른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행복 및 대학생활적응을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D유형 성격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행복 및 대학생활적응을 확인하고 비교함으로써, D 유형 성격을 가진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행복 및 대학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한 간호중재전략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D유형 성격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행복 및 대학생활적응을 비교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 결과 D유형 성격 간호대학생은 D유형 성격을 가지지 않은 간호대학생에 비해 자아존중감, 대인 관계, 행복 및 대학생활적응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유형 성격에 따른 간호학 전공 만족도는 어떤 영향이 있는가? 본 연구에서 D유형 성격에 따른 일반적 특성의 차이를 살펴보면 종교, 간호학 전공 만족도, 간호학과 적응 정도에서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어 비교는 어렵지만 중년여성에서 종교가 없는 대상자에서 D유형 성격의 빈도가 높게 나타난 Park[12]의 연구, 간호대학생에서 D유형 성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전공 만족도를 보고한 Noh 등 [11]의 연구에서 볼 수 있듯이 D유형의 부정적 정서의 특징이 전공 만족도를 낮추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가족과 친구의 지지수준이 낮은 집단이 보통인 집단에 비해 D유형 성격 점수가 높게 나타난 Noh 등[11]의 연구 결과를 볼 때 학과 만족도와 간호학과 적응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여 D유형 성격 대상자를 가진 간호대학생에게 많은 관심과 지지가 요구된다.
D유형 성격이란 무엇인가? 간호·보건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성격유형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이 달라짐을 보고하였다[6]. D유형 성격은 우울하고, 불안하고, 사회적으로 부적절하게 근심과 걱정이 많은 것을 특성으로 부정적인 정서와 사회적 제한의 개념으로 구성된 성격 유형이다[7]. D유형 성격은 심혈관질환 환자에서 심리학적 결과의 예측인자나 부작용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8], 최근에는 대학생[9], 간호사[10], 간호대학생[11], 중년여성[12] 등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연구되고 있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간호대학생은 입학과 동시에 빠듯한 학사일정과 학점에 대한 압박감, 과다한 분량의 과제, 취업을 위한 학점관리 등으로 학업의 부담감과 스트레스로 학과 적응의 어려움을 호소한다[1]. 간호대학생은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을 잘 하였으며[2], 심리적 안녕감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3]. 자아존중감이 낮은 사람은 상황에 대해 부정적인 해석을 함으로써 자신의 내적 정서를 부정적으로 표현하며[4], 비효율적인 대인관계는 불안정한 정서를 형성한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J. H. Choi & M. J. Park. (2013). Methodological triangulation method to evaluate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associate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7), 339-349. DOI : 10.5392/JKCA.2013.13.07.339 

  2. J. H. Oh. (2014). The influencing factors of self-esteem and major satisfaction on colleg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0), 873-884. DOI : 10.5392/JKCA.2014.14.10.873 

  3. Y. J. Oh. (2017). Predictors of college lif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7), 307-317. DOI : 10.14400/JDC.2017.15.7.307 

  4. M. S. Lee & P. K. Chae. (2012).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12(1), 63-75. 

  5. M. Jung. (2015). Influence of ego states, self-esteem, and empathi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7), 4614-4620. DOI : 10.5762/KAIS.2015.16.7.4614 

  6. M. R. Lee & H. S. Jeon. (2015). Personal types, ego-resilience, and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and health care related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2), 8861-8869. DOI : 10.5762/KAIS.2015.16.12.8861 

  7. J. Denollet. (2005). DS14: Standard assessment of negative affectivity, social inhibition, and type D personality. Psychosomatic Medicine, 67, 89-97. 

  8. M. Y. Cheon & J. Y. Kang. (2016).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 D personality and compliance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8(1), 61-70. DOI : 10.7475/kjan.2016.28.1.61 

  9. E. Y. Hong. (2017).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 D personality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Korean Society of Public Health Nursing, 31(1), 109-120. DOI : 10.5932/JKPHN.2017.31.1.109 

  10. S. R. Kim, H. Y. Kim & J. H. Kang. (2014). Effect of Type D personality on compassion fatigue, burnout, compassion satisfaction, and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3), 272-280. DOI : 10.11111/jkana.2014.20.3.272 

  11. J. H. Noh, E. J. Lim & Y. S. Jung. (2013). Factors influencing Type D personality of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nursi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12), 6265-6274. DOI : 10.5762/KAIS.2013.14.12.6265 

  12. Y. R. Park. (2010). Type-D Personality,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5), 2567-2578. 

  13. C. R. Rogers. (1961). On becoming a person. Boston: Groughton Mifflin. 

  14. M. R. Lee & Y. K. Kwag. (2017). Personality type, ego state and self-esteem of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5), 523-533. DOI : 10.14257/ajmahs.2017.05.36 

  15. M. Rosenberg.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6. M. Rosenberg. (1982).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17. J. S. Kim & M. S. Chung. (2016).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 according to enneagram personality typ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Enneagram Spirituality, 5, 2287-4429. 

  18. D. L. Miller. (2001). Reexamining team work KSAs and employee performance. Small Group Research, 32(6), 745-766. 

  19. S. Y. Chung & G. Y. Kang. (2018). MBTI personality type,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11), 289-303. DOI : 10.22251/jlcci.2018.18.11.289 

  20. J. M. Kim & S. K. Hong. (2016). Influence of self-reflection, self-esteem, and empathy on happiness index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2(2), 113-120. DOI : 10.14370/jewnr.2016.22.2.113 

  21. M. E. P. Seligman. (2002). Authentic happiness. NY: New York Free Press. 

  22. M. S. Kim, H. W. Kim & K. H. Cha. (2001). Analyses in the constru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male and female adult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5(2), 19-39. 

  23. H. S. Park. (2014). Stress, Yangsaeng and subjective happiness among female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4), 471-481. DOI : 10.5977/jkasne.2014.20.4.471 

  24. E. A. Kim & K. S. Jang. (2012). Developing a prediction model regarding adjustment of nursing students to college lif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2), 312-322. DOI : 10.5977/jkasne.2012.18.2.312 

  25. E. J. Lim, S. E. Kim & J. H. Noh. (2012). Type D personality,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f young adult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6), 3121-3133. 

  26. M. K. Jeon & Y. J. Kim. (2017). Effect of Type D personality on life stress in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5(3), 188-194. DOI : 10.17547/kjsr.2017.25.3.188 

  27. F. Faul, E. Erdfelder, A. G. Lang & A. Buchner.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of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DOI : 10.3758/bf03193146 

  28. H. E. Lim et al. (2011). Assessment of the type D personality construct in the Korean population: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DS14.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6(1), 116-123. 

  29. B. J. Jon.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 11(1), 107-129. 

  30. S. Schlein, B. Gureney & L. Stover. (1971).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University, Pennsylvania, USA. 

  31. S. M. Moon. (1980). A study on the effect of human relations training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9, 195-204. 

  32. E. J. Jeong & Y. H. Park.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llege adjustment scal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1(2), 69-92. 

  33. E. K. Suh & J. S. Koo. (2011). A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COMOSWB):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5(1), 96-114. 

  34. Y. S. Kim, M. S. Kim & W. S. Cho. (201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self-efficacy and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academic achievement, decision making of major field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8(1), 51-60. 

  35. S. H. Bae, J. H. Park & E. G. Oh. (2011). A comparison of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between Type D personality and non-Type D personality in middle 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7(4), 337-345. DOI : 10.4069/kjwhn.2011.17.4.337 

  36. A. K. Bekhet, J. A. Zauszniewski & W. E. Nakhla. (2008). Happiness: theoretical and empirical considerations. Nursing Forum, 43(1), 12-23. DOI : 10.1111/j.174406198.2008.00091.x 

  37. M. S. Lee, H. S. Choi & E. M. Yeon. (2019). Relationships among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llege adaptation of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3), 71-81. DOI : 10.5762/KAIS.2019.20.3.71 

  38. M. S. Chung. (2014). Relations on self-esteem, empath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reinforcing competence in communication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2), 332-340. DOI : 10.5977/jkasne.2014.20.2.332 

  39. M. G. Adler & N. S. Fagley. (2005). Appreciation: individual differences in finding value and meaning as a unique predictor of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73, 79-114. DOI : 10.1111/J.1467-6494.2004.00305.x 

  40. H. S. Song, E. S. Na, Y. H. Jeon & K. I. Jung. (2016). Factors influencing college lif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3(1), 72-81. DOI : 10.21086/ksles.2016.03.23.1.72 

  41. M. O. Chae. (2016). Ego resilience, empathic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5), 95-103. DOI : 10.5762/KAIS.2016.17.5.95 

  42. J. M. Kim & S. K. Hong. (2016). Influence of self-reflection, self-esteem, and empathy on happiness index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22(2), 113-120. DOI : 10.14370/jewnr.2016.22.2.113 

  43. S. H. Kim & S. H. Lee. (2015). The influence of job-seeking stres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on nursing students' Happines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7(1), 63-72. 

  44. Y. J. Oh. (2017). Predictors of college life adjustment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7), 307-317. DOI : 10.14400/JDC.2017.15.7.307 

  45. M. S. Ko. (2015). Ego-resili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stress coping strategies &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10), 280-291. DOI : 10.5392/JKCA.2015.15.10.280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