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0, 2019년, pp.273 - 282
신경아 (전남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강숙 (조선간호대학교)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xamine and compare the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ppiness, and college adjustment between Type D and non-Type D personality among nursing students. Subjects included a total 181 nursing students (Type D personality: n=53, non-Type D personality: n=128). 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D유형 성격에 따른 간호학 전공 만족도는 어떤 영향이 있는가? | 본 연구에서 D유형 성격에 따른 일반적 특성의 차이를 살펴보면 종교, 간호학 전공 만족도, 간호학과 적응 정도에서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어 비교는 어렵지만 중년여성에서 종교가 없는 대상자에서 D유형 성격의 빈도가 높게 나타난 Park[12]의 연구, 간호대학생에서 D유형 성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전공 만족도를 보고한 Noh 등 [11]의 연구에서 볼 수 있듯이 D유형의 부정적 정서의 특징이 전공 만족도를 낮추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가족과 친구의 지지수준이 낮은 집단이 보통인 집단에 비해 D유형 성격 점수가 높게 나타난 Noh 등[11]의 연구 결과를 볼 때 학과 만족도와 간호학과 적응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여 D유형 성격 대상자를 가진 간호대학생에게 많은 관심과 지지가 요구된다. | |
D유형 성격이란 무엇인가? | 간호·보건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성격유형에 따라 대학생활적응이 달라짐을 보고하였다[6]. D유형 성격은 우울하고, 불안하고, 사회적으로 부적절하게 근심과 걱정이 많은 것을 특성으로 부정적인 정서와 사회적 제한의 개념으로 구성된 성격 유형이다[7]. D유형 성격은 심혈관질환 환자에서 심리학적 결과의 예측인자나 부작용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8], 최근에는 대학생[9], 간호사[10], 간호대학생[11], 중년여성[12] 등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연구되고 있다. | |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 간호대학생은 입학과 동시에 빠듯한 학사일정과 학점에 대한 압박감, 과다한 분량의 과제, 취업을 위한 학점관리 등으로 학업의 부담감과 스트레스로 학과 적응의 어려움을 호소한다[1]. 간호대학생은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능력이 높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을 잘 하였으며[2], 심리적 안녕감이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다[3]. 자아존중감이 낮은 사람은 상황에 대해 부정적인 해석을 함으로써 자신의 내적 정서를 부정적으로 표현하며[4], 비효율적인 대인관계는 불안정한 정서를 형성한다[5]. |
M. S. Lee & P. K. Chae. (2012).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12(1), 63-75.
J. Denollet. (2005). DS14: Standard assessment of negative affectivity, social inhibition, and type D personality. Psychosomatic Medicine, 67, 89-97.
Y. R. Park. (2010). Type-D Personality,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5), 2567-2578.
C. R. Rogers. (1961). On becoming a person. Boston: Groughton Mifflin.
M. R. Lee & Y. K. Kwag. (2017). Personality type, ego state and self-esteem of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5), 523-533. DOI : 10.14257/ajmahs.2017.05.36
M. Rosenberg.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M. Rosenberg. (1982).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J. S. Kim & M. S. Chung. (2016).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 according to enneagram personality typ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Enneagram Spirituality, 5, 2287-4429.
D. L. Miller. (2001). Reexamining team work KSAs and employee performance. Small Group Research, 32(6), 745-766.
S. Y. Chung & G. Y. Kang. (2018). MBTI personality type,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11), 289-303. DOI : 10.22251/jlcci.2018.18.11.289
M. E. P. Seligman. (2002). Authentic happiness. NY: New York Free Press.
M. S. Kim, H. W. Kim & K. H. Cha. (2001). Analyses in the constru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male and female adult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5(2), 19-39.
E. J. Lim, S. E. Kim & J. H. Noh. (2012). Type D personality,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f young adult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6), 3121-3133.
M. K. Jeon & Y. J. Kim. (2017). Effect of Type D personality on life stress in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5(3), 188-194. DOI : 10.17547/kjsr.2017.25.3.188
F. Faul, E. Erdfelder, A. G. Lang & A. Buchner.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of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DOI : 10.3758/bf03193146
H. E. Lim et al. (2011). Assessment of the type D personality construct in the Korean population: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DS14.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6(1), 116-123.
B. J. Jon.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 11(1), 107-129.
S. Schlein, B. Gureney & L. Stover. (1971).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University, Pennsylvania, USA.
S. M. Moon. (1980). A study on the effect of human relations training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19, 195-204.
E. J. Jeong & Y. H. Park.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ollege adjustment scal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1(2), 69-92.
E. K. Suh & J. S. Koo. (2011). A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COMOSWB):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5(1), 96-114.
Y. S. Kim, M. S. Kim & W. S. Cho. (201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self-efficacy and clinical practice performance, academic achievement, decision making of major field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8(1), 51-60.
A. K. Bekhet, J. A. Zauszniewski & W. E. Nakhla. (2008). Happiness: theoretical and empirical considerations. Nursing Forum, 43(1), 12-23. DOI : 10.1111/j.174406198.2008.00091.x
M. G. Adler & N. S. Fagley. (2005). Appreciation: individual differences in finding value and meaning as a unique predictor of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73, 79-114. DOI : 10.1111/J.1467-6494.2004.00305.x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