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 기기 기반 언어재활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Language Rehabilitation Program Using the Smart Device-based Applic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0, 2019년, pp.321 - 327  

황유미 (고려대학교 융합뇌신경연구소) ,  박기남 (고려대학교 정보창의교육연구소) ,  정영희 ((주)마음) ,  편성범 (고려대학교 융합뇌신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장애 환자군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하여 스마트 기기 기반의 언어재활 프로그램 개발에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 개발된 다양한 국내외 의사소통 언어훈련 프로그램을 비교분석하여 구체적인 의사소통 범위 및 훈련 과제, 문항 등을 검토하여 과제 구성에 필요한 콘텐츠를 선별하였다. 다양한 의미범주와 문법요소를 포함하고 언어학적 단위에 기초하여 단어수준, 의미범주, 문장수준, 담화수준의 이해산출 능력 향상을 위하여 17개의 의미범주를 추출하고 29개의 훈련과제와 3780개의 훈련 문항을 제작하였으며, 윈도우를 기반으로 하는 관리 프로그램과 안드로이드 기반 재활 훈련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본 언어재활 프로그램은 가정에서 쉽고 편리하게 홈 프로그램으로 사용되어 언어훈련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환자 관리 및 훈련 결과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 언어장애 환자군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언어장애 환자군 별 언어재활 효과 검증 등의 후속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mart device-based Language Rehabilitation Program (LRP) to improve communication ability for the patients with language disability. The content of the LRP includes a variety of semantic categories and grammatical elements and consists of 17 semantic categor...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임상현장과 동일한 치료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의사, 언어치료사, 환자의 언어재활 및 치료과정을 추적 관찰하여 이를 통해 언어재활 과정이 서비스 될 수 있도록 서비스 요소 기술을 개발하였다. Fig.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언어치료 방법의 제한점을 극복하고, 언어훈련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베이스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언어재활 훈련 서비스 요소 개발, 훈련 콘텐츠 저작도구 개발, 사용자(관리자, 언어치료사, 환자)와 훈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언어장애 환자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모바일 OS 점유율 80%를 차지하는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개발하였으며, 터치가 가능한 UI/UX를 제공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언어치료 방법의 제한점을 극복하고, 언어훈련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베이스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언어재활 훈련 서비스 요소 개발, 훈련 콘텐츠 저작도구 개발, 사용자(관리자, 언어치료사, 환자)와 훈련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언어장애 환자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모바일 OS 점유율 80%를 차지하는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개발하였으며, 터치가 가능한 UI/UX를 제공한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인 의사소통 치료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고, 한국어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언어훈련 콘텐츠를 제공하여 언어장애 환자군의 의사소통 언어능력을 향상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 기반의 언어재활 훈련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사소통이란 무엇인가? 의사소통이란 사람들 간에 생각이나 감정 등을 교환하는 총체적인 행위로 구어(oral language)와 문어 (written language)를 통한 언어적 요소와 제스처나 자세, 얼굴표정, 눈 맞춤, 목소리, 억양 등 비언어적 요소를 통해 이루어진다[1]. 효율적인 의사소통은 일상 생활과 사회 참여를 위한 필수 요소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효율적인 의사소통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효율적인 의사소통은 일상 생활과 사회 참여를 위한 필수 요소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인간은 유기체로서의 생존뿐만 아니라 자아의식과 정체성을 가지며 사회적인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으며 인간의 존엄과 가치 및 삶의 질을 위해서 의사소통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2,3].
효율적인 의사소통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의사소통이란 사람들 간에 생각이나 감정 등을 교환하는 총체적인 행위로 구어(oral language)와 문어 (written language)를 통한 언어적 요소와 제스처나 자세, 얼굴표정, 눈 맞춤, 목소리, 억양 등 비언어적 요소를 통해 이루어진다[1]. 효율적인 의사소통은 일상 생활과 사회 참여를 위한 필수 요소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인간은 유기체로서의 생존뿐만 아니라 자아의식과 정체성을 가지며 사회적인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으며 인간의 존엄과 가치 및 삶의 질을 위해서 의사소통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orea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2009. The dictionary of special education. Seoul: Hawoo 

  2. R. Chapey. (2001). Language Intervention Strategies in Aphasia and Related. Neurogenic Communication Disorders. (4th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 L. M Justice & E. E. Redle.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An evidence-based approach (3rd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Inc 

  4. Statistics Korea (2016) Annual report of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provinces. 

  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Community Health Surve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ttps://chs.cdc.go.kr/chs/index.do. 

  6. M. C. Brady, A. M. Clark, S. Dickson, G. Paton & R. S. Barbour. (2011). The impact of stroke-related dysarthria on social participation and implications for rehabilitation.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3(3), 178-186. 

  7. S. Dickson, R. S. Barbour, M. Brady, A. M. Clark & G. Paton. (2008). Patients' experiences of disruptions associated with post-stroke dysarthria. International Journal of Language and Communication Disorders, 43(2), 135-153. DOI: 10.1080/13682820701862228 

  8. K. Hilari, J. J. Needle & K. L. Harrison. (2012). What are the important factors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people with aphasia? A systematic review.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93(1Suppl), S86-S95. DOI: 10.1016/j.apmr.2011.05.028 

  9.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Korea Internet and Security Agency (2017), Survey on the internet usage. https://www.mist.go.kr 

  10.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2017). 2017 Share of audience survey. https://kcc.go.kr/ 

  11. J. A. Sanford & R. J. Browne. (1988). Captain's Log [computer software]. Richmond, VA: Braintrain. 

  12. K. Marker. (2003). COGPACK Manual Version 5.9. Marker Software : Ladenburg. 

  13. G. Schuhfried. (1996). RehaCom. Madrid: TEA 

  14. J. Hardy & M. Scandlon. (2009) The science behind lumosity, San Francisco, CA: Lumos Labs. 

  15. Y. Lee & S. Lee. (2017). Effect of smartphone applications for aural habilitation in cochlear implanted children: Improvement for auditory memory skills.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13(2), 176-192. DOI: 10.21848/asr.2017.13.2.176 

  16. K. Jang. (2018). The effect of a case marker intervention study on case marker (grammar morpheme) expression and spoken length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disorders in preschool age by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based on IoT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17. J. Y. Lee, Y. K. Kim, H. C. You & B. W. Ko. (2015). An analysis of parents' and experts' needs for smart content for speech and language therapy support for people with speech disorders.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24(4), 171-182. DOI: 10.15724/jslhd.2015.24.4.016 

  18. H. N. Lee, J. H. Park & J. Y. Yoo. (2019). Development of smartphone-based voice therapy program,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1(2), 51-61. DOI: 10.13064/KSSS.2019.11.1.051 

  19. H. J. Shin. (2003). A validation of the category norms collected through internet. The Korea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5(2), 303-347. 

  20. Korea database agency (2012). Characteristics of MySQL in Scale-Out Perspective. https://www.kdatd.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