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후지모리 테루노부의 공간표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in Terunobu Fujimori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0, 2019년, pp.427 - 432  

서수미 (광주대학교 인테리어디자인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 문제에 대한 시대적 배경과에 맞추어 일본의 대표적인 친환경 건축가인 후지모리 테루노부 작품에 나타나는 공간표현 특성을 알아보고자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작품 중 그를 대표하는 다실 공간 5곳을 선정하여 문헌연구를 통하여 공간의 표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결과로는 반드시 자연소재를 사용하여 공간을 마감 하고 건축물에 식물을 도입하는 전략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일본의 전통방식을 차용하는 전략은 공상성과 일탈성을 나타내는 공간표현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이 시대에 새로움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요구와 실현 가능한 대안의 친환경 건축 계획 시 또 다른 공간디자인 방법론으로 제시할 수 있다고 기대해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expression in the works of Terunobu Fujimori, Japan's leading eco-friendly architect, in line with the contemporary background on environmental issues. As a method of research, we will select five representative multi-room spaces...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배경으로 예술가들은 공간에 대한 창의성과 독창성에 대한 강한 욕구를 친환경 재료의 다양한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표현해왔다.[16]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문제에 대한 시대적 배경과 현대사회의 복합적이고 새로움을 추구 하는 현대인들의 요구의 배경 속에서 후지모리 테루노부 작품에 나타나는 공간 표현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분석한 작품들에서 나타난 공간 표현 특성은 다음과 같다.
  • 지역의 풍토적 요소를 재해석하고 환경 및 친환경적 접근을 통한 공간디자인 방법을 사용하는 일본의 대표적인 건축사가이면서 건축가인 후지모리 테루노부는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공간 설계방법으로 일본 건축계에서 독특한 위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자연재료의 사용으로 친환경건축을 표현한 후지모리 테루노부의 건축세계관을 바탕으로 공간 표현특성의 다양한 의미와 중요성을 문헌 중심으로 살펴보고 본인의 설계 작품을 분석하여 그 내재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지역의 특성을 다양하게 반영하여 연출하고자 하는 후지모리 테루노부의 공간표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지속가능성의 일환으로 친환경건축의 비중이 점점 늘어가는 현대에 공간디자인 계획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디자인방법론으로 제시 할 수 있다고 기대해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후지모리 테루노부가 첫 작품의 건축의도는 무엇인가? 그의 첫 작품인 진초칸 모리야 사료관의 건축 의도에 대해서 그는 ‘내 작업의 핵심은 문명 이전의 건축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내 건축의 주요 주제는 사람들이 자연환 경과 어울려 살아가는 원래의 삶의 방식이다.’ 라고 말한다. 문명이전의 건축으로 돌아가는 것은 ‘사물 자체로 돌아가는 것’[6] 이라고 말한다.
후지모리 테루노부의 공간표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자연재료의 사용으로 친환경건축을 표현한 후지모리 테루노부의 건축세계관을 바탕으로 공간 표현특성의 다양한 의미와 중요성을 문헌 중심으로 살펴보고 본인의 설계 작품을 분석하여 그 내재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지역의 특성을 다양하게 반영하여 연출하고자 하는 후지모리 테루노부의 공간표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지속가능성의 일환으로 친환경건축의 비중이 점점 늘어가는 현대에 공간디자인 계획에 사용할 수 있는 또 다른 디자인방법론으로 제시 할 수 있다고 기대해 본다.
후지모리 테루노부가 건축계에서 위상을 가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지역의 풍토적 요소를 재해석하고 환경 및 친환경적 접근을 통한 공간디자인 방법을 사용하는 일본의 대표적인 건축사가이면서 건축가인 후지모리 테루노부는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공간 설계방법으로 일본 건축계에서 독특한 위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자연재료의 사용으로 친환경건축을 표현한 후지모리 테루노부의 건축세계관을 바탕으로 공간 표현특성의 다양한 의미와 중요성을 문헌 중심으로 살펴보고 본인의 설계 작품을 분석하여 그 내재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H. S. Kim. (2012. July). Exciting Architectural Adventures of the Future Boy 'Terubo'. SPACE, 536, 16-21. 

  2. H. S. Kim. (2012). Illusion of Ruin and Rebirth - A Study on Terunobu Fujimori's Diploma Design(1971),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8(9), 203-210. 

  3. S. J. Park & C. I. Park. (2004). A Study 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Contemporary Interior space by Analysis in Japanese Concept of Space - Focused on Japanese Commercial Spa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3(6), 57-65. 

  4. H. S. Kim. (2014). A Study on the Concept of a Cave in Terunobu Fujimori's Architecture,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23(4), 7-17. DOI : 10.7738/JAH.2014.23.4.007 

  5. J. G. Kim & G. H. Koh. (2013).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2(3), 3-10. DOI : 10.14774/jkiid.2013.22.3.003 

  6. K. A. Park. (2017).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Architectural Materials in Terunobu Fujimori's Tea House from Japanese Cultural Perspective : focused on culinary triangle of Claude Levi Strauss,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8(2), 189-201. 

  7. H. S. Kim. (2012). A Study on the Piercing Column of Terunobu Fujimori Architecture,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21(6), 35-44. DOI : 10.7738/jah.2012.21.6.035 

  8. S. M. Seo. (2012). A Study of the Design of Interpretation Center with Interpretation Concept for Improvement of the City Brand Image,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t, 10(3), 5-16. DOI : 10.18852/bdak.2012.10.3.5 

  9. S. M. Seo & L. J. Min. (2012). Types of Convergence in Community Support Centers and a Comparison of Spatial Design Characteristics - Centering on Korean and Japanese Examples -,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t, 11(3), 171-182. DOI : 10.18852/bdak.2013.11.3.171 

  10. K. A. Park. (2017). A Study on the 'Philosophy of Life' in Red School from the Viewpoint of Japanese Traditional Space Culture and International Vernacular -Focused on Terunobu Fujimori's Architecture,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8(3), 111-123. 

  11. M. S. Kim. (2006). A Study on the Non-daily Expressions of Shiro Kuramata and Rene Maggritte' Work,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5(3), 40-47. 

  12. E. H. An & J. W. Lee. (2006). A Study on the Fantastic Expression of the Contemporary Interior Spa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5(1), 79-87. 

  13. B. J. Kim & K. H. Seok. (2018). A Study on the Billboard Architecture,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cademic Presentation, 38(1), 310-311. 

  14. Z. Zheng, J. Chen, H. S. Ro & W. S. Kim. (2019). A Study on Temporary Installation Art in Public Pla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1), 313-317. DOI : 10.14400/JDC.2019.17.1.313 

  15. J. S. Kang & Y. J. Lee. (2019). A Study on Interactive Media Experience Exhibition & Visitor's prefer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1), 319-325. DOI : 10.14400/JDC.2019.17.1.319 

  16. H. J. Lee & S. M. Seo. (2019). A Study on the Fantastic Expression of the Contemporary Interior Space, Journal of Academic Conference of the Korean Interior Design Society, 21(1), 214-21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