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의 사회적 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ocial Relations on School Adjustment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yl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0, 2019년, pp.509 - 518  

이시연 (서울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학생의 사회적 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회적 관계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 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III(2016)'의 횡단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학생 총 3,406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변수에 대한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사회적 관계는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검정되었다. 둘째, 중학생의 사회적 관계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중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경로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부분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및 사회적 관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relations on school adjustment of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yle. The data of 3,406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tudy on '2016 Measurements of Korean Youth Competence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분석한 자료는 한국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의 3차년도 연구로서, 1차 및 2차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의 수정·개발을 통해서 척도의 타탕성과 신뢰성이 더욱 보완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충분히 확보하였고 전국 단위에서 표집된 중 학생 데이터를 연구에 활용했다는 점에 있어서 본 연구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2차 자료 분석의 제한점으로 인해 중학생의 사회적 관계, 스트레스 대처방식, 학교 생활적응 간의 관계에 있어서 다양한 변수들을 반영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각 변수 간의 단선적인 영향 관계를 넘어서 청소년 초기인 중학생의 사회적 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 과정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관계와 학교생활 적응 간의 경로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 이와 같이 최근까지 이루어진 중학생의 사회적 관계, 스트레스 대처방식, 학교생활적응에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사회적 관계와 학교생활적응 요인 간에 정적 상관이 나타나고 있고[28,30], 사회적 관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14,44,46]. 특히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23,25], 중학생의 사회적 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사회적 관계 요인과 복합해서 작용하는 경로 효과를 검정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중학생이 지각하는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는 무엇이 있는가? 또한 청소년의 사회관계를 나타내는 부모와의 관계, 또래관계, 교사와의 관계 모두가 청소년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15]. 즉 청소년의 가족과 학교, 또래는 기본적인 사회 관계이고 가족 중에서는 부모와의 관계, 학교와 친구의 관계에서는 또래관계와 교사관계가 기본적인 관계임을 알 수 있다[16].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식은 무엇인가?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식은 개인이 스트레스에 직면 한 순간에 스트레스 유발 요인에서 받는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행하는 노력이며, 개인과 환경 사이에서 끊임없는 사고와 행동의 역동적 과정으로 정의된다[25]. Lazarus와 Folkman[38]은 개인이 스트레스에 어떻게 대처하고 관리하는지가 더 중요하며, 스트레스 상황에서 어떻게 반응하고 대처하느냐에 따라 문제가 완충될 수 있다고 하였다[39].
중학생의 학교 생활적응을 높이기 위해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셋째, 중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 따르면[23,41],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학교생활적응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7)

  1. M. Rutter. (1995).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protective mechanism.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57(1), 66-78. 

  2. S. J. Chang, S. W. Song & M. N. Cho. (2012). The effects of perceived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n mobile phone dependency: the mediating roles of self-esteem and attachment to peer.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5), 161-187. 

  3. National Statistical Offic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9). 2019 Youth statistics.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4. J. A. Bae, J. W. Bae & S. M. Cheon. (2006).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program for middle school freshmen's school life adaptation. The Korean Journal of East West Science, 9, 53-68. 

  5. S. J. Park & J. I. Kim. (2015).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social relationships in adolescence and their predictors. Korean Journal of Youth Welfare, 17(3), 263-288. 

  6. J. G. Parker & S. R. Asher. (1993). Friendship and friendship quality in middle school childhood: link with peer acceptance and feelings of 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Development Psychology, 29(4), 611-621. 

  7. A. Rossi & P. Rossi. (1990). Of human bonding: parent-child relations across the life course. New York: Aldine de Gruyter. 

  8. S. Y. Son. (2016). The effects of the developmental assets of adolescent on the school adjustment: with focus of KCRPS data. Doctoral dissertation. Kongju University, Kongju. 

  9. H. K. Kang. (2006). Social Supports and ego-resilience of childre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4(11), 149-159. 

  10. N. E. Garmezy & M. Rutter. (1983). Stress, coping, and development in children. Baltimore, M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1. E. E. Werner & R. S. Smith. (1982). Vulnerable but invincible: a study of resilient children. New York: McGraw-Hill. 

  12. H. J. Im. (2016). Influence of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factors on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Education Inquiry, 34(4), 265-285. 

  13. H. J. Lim, J. E. Han, J. S. Kim & H. Y. Seon (2016). The concurrent and lagged effects of adolescents’ career experiences and parental support on the longitudinal change of career maturity.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7(5), 289-306. 

  14. J. Y. Bae. (2008).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related variab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3), 454-464. 

  15. K. H. Kim & G. H. Yi. (2016). An exploratory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social relationship, stress, deviation on youth's life satisfaction.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9(3), 83-105. 

  16. S. K. Kang. (2003). Analysis of influence factor on the self-esteem and social relation of adolescents' attitude.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0(3), 155-180. 

  17. Y. H. Hagh. (2001). A study on actual condition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suicidal ideation.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8. J. H. Ko & M, J. Kim. (2009).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ementary students: the role of defense mechanism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2(4), 161-183. 

  19. N. S. Robinson, J. Garber & R. Hilsman. (1995). Cognition and stress: direct and moderation effects on depressive versus externalizing symptoms during the junior high school transit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4(3), 453-463. 

  20. D. H. Jung. (2010). Psychosocial stress. Paju: KSI Publishing. 

  21. S. H. Jeong & M. Y. Sim. (2014). A study on the juveniles' stress of their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the mediate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9), 275-284. 

  22. R. S. Lazarus. (1991). Emotion and adapt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3. E. H. Park & H. A. Kang. (2014). The effects of stress coping o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ddictive mobile phone use. Journal of Adolescent Welfare, 16(4), 225-246. 

  24. S. Kim. (2007). A Study on the source of middle school student's maladjustment. Master's thesis, Cheongju University, Cheongju. 

  25. G. Y. Lee. (2013). Relationship between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stress coping style i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chool Health, 26(1), 34-44. 

  26. J. A. Seo. (2013). The effects of family social capital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on youth's school adapta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4(1), 135-164. 

  27. S. J. Chang, S. W. Song & M. Cho. (2011). The effects of mobile phone dependency,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ttachment to peer on school life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12), 431-451. 

  28. S. A. Kim. (2012). The relationship of social relations and happiness in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self-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mediating effects. Youth Facilities and Environment, 10(4), 15-26. 

  29. H. S. Song & S. Y. Sung. (2015).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school adjustment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mediated effect of ego-resilience and self-control.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7(1), 129-157. 

  30. S. J. Yune, J. H. Ju & E. Y. Lee. (2013).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social support systems, class cohesiveness, and school adaptation in adolescence.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1(2), 185-207. 

  31. K. N. Park & J. M. Kim. (2019).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upport and self-factor, emotional regulation, and school adjustmen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5(2), 595-616. 

  32. K. S. Jung. (2004). Impact of social relations on youth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6(1), 235-252. 

  33. E. B. Yang, T. W. Kim, E. H. Park, S. Y. Lee & I. J. Chung. (2015). Predicts of school adjustment: a focus on the comparison between general adolescents and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31, 311-331. 

  34. S. S. Kim. (2013). The influence of family relationship perceived by adolescents upon depression/anxiety, withdrawn behavior, and aggression: moderating effect of teacher support and friend support.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1(2), 343-364. 

  35. M. S. Yoon, H. J. Cho & H. H. Lee. (2009). Effects of study stress and peer attachment on adolescents'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et usage and alcohol use. Social Science Research, 25(2), 131-156. 

  36. E. M. Park. (2010). Effects of adolescents' attachment to teachers, peers, mother, self-esteem, depression on school life adjustment. The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3(3), 75-88. 

  37. H. S. Jeon & J. S. Chun (2019). Effects of peer and school stress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anxiety. Journal of Youth Welfare, 21(1), 1-28. 

  38. R. Lazarus & S. Folkman.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Verlag. 

  39. C. B. Cho. (2006). The Influence of the experience of domestic violence in adolescence on internet addiction: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3(5), 1-29. 

  40. E. J. Lim. (2016). The effects of adolescents-perceived psychological maltreatment by parents during a transition period on school adjustment: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41. J. Y. Jang, M. G. Park, J. H. Moon & S. M. Cheon. (2017).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style between character strength and school adaptation in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Therapist, 9(1), 75-90. 

  42. S. N. Seo, S. G. Lee & S. H. Lim. (2012). The effects of positive pareting style, self-efficacy, stress, and depression o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8), 327-333. 

  43. H. S. Lee & H. J. Sunwoo. (2011). Relationship between parent communication style and stress coping styles in adolesc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y.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9(6), 109-122. 

  44. B. S. Cho & S. K. Ahn. (2017).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associ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s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stress coping styles. Studies on Korean Youth, 28(4), 225-253. 

  45. D. Markiewicz, H. Lawford, A. B. Doyle & N. Haggart. (2006). Developmental differences in adolescects' and young adults' use of mothers, fathers, best friends, and romantic partners to fulfill attachment need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5(1), 127-140. 

  46. G. Min & H. S. Lee.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mediation effect of ego-resilience. Youth Facilities and Environment, 12(4), 7-16. 

  47. M. S. Kang, H. K. Choi & S. H. Lee. (2013).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daily life stres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n their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24(4), 23-43. 

  48. M. R. Lee & B. H. Park. (2017).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externalizing problems, internalizing problems, achievement value, and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 517-535. 

  49. S. H. Yoo. (2008). Factors affecting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freshme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5(7), 157-180. 

  50. J. S. Won & J. S. Kim. (2016). A meta-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3(9), 177-205. 

  51. K. Y. Jang, E. M. Sung, K. S. Lee, S. H. Jin, H. S. Choi & K. H. Kim. (2016). A study on measurement of Korean youth competency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III: IEA ICCS 2016.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52. R. M. Baron &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53. I. H. Lee. (2014). Easy flow regression analysis.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54. C. I. Choi. (2015). An effect of difficulties of daily life on school adaptation of youths: mediative effect of protective factors.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30, 1-21. 

  55. S. Y. Kim. (2011). The effects of adolescents' self-positivity bia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n their school adjustment.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56. H. Y. Jung & J. Y. Lee.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school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tress coping.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0(4), 2367-2381. 

  57. H. J. Lee & Y. J. Cho. (2010). The exploratory study of longitudinal changes and variables predicting school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7(2), 253-27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