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의 진로성숙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areer Maturity on School Adjustment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6, 2017년, pp.622 - 631  

이시연 (서울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학생의 진로성숙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진로성숙도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5년 청소년 나눔활동의 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의 횡단조사 데이터를 토대로 중학생 총 2,12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는 학교생활적응에 정적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는 공동체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공동체의식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중학생의 진로성숙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 향상 및 진로성숙도와 공동체의식의 함양에 관련한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er maturity on school adjustment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The data of 2,121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research into the state of adolescent activities and improvement plans(2015) by th...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상술한 것과 같이 진로성숙도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와 공동체 의식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각각 조사가 수행되었고, 세 변인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검토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각 변수 간 단선적인 영향 관계를 넘어서 청소년 초기에 해당되는 중학생의 진로성숙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인간의 생애에 있어 신생아 이후 두 번째로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인 측면이 모두 급격하게 성장하고 변화하는 시기이다[4]. 또한 심리사회적 발달상에서도 정체감 대 역할 혼미 단계[5]로 자신이 누구이고 자신이 무엇을 할 수있는지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시험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성숙도와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 조사는 전국의 초등학생(4∼6학년), 중학생(1∼3학년), 고등학생(4∼6학년)을 대상으로 층화다단계집락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된 전국 단위의 대규모 횡단조사이다.

가설 설정

  • 둘째, 중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성숙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공동체의식이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학교 시기는 어떠한 결정이 이루어지는 시기인가? 중학교 시기는 발달단계상 평생의 진로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교육 및 진로관련 결정이 이루어진다[8]. 우리나라 현행 학제에서 중학교 과정은 학생들이 진로와 직업을 탐색하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학교생활적응을 잘하는 청소년은 어떠한 특징은 갖는가? 학교생활적응은 학생 개개인이 학교환경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며 원만하게 학교생활을 수행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24]. 따라서 학교에 잘 적응하는 청소년은 학교에서의 모든 생활과 환경을 수용하고 교사, 친구들과 조화로운 관계로 만족스러운 상태를 유지하며 교과 및 교내 활동에서 자신의 욕구를 합리적으로 해결하여 만족감을 느끼고 유지한다[25]. 이와 같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은 수업적응, 규칙적응, 교우적응, 교사적응을 포함한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26][27].
학교생활적응이란 무엇인가? 학교생활적응은 학생 개개인이 학교환경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며 원만하게 학교생활을 수행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24]. 따라서 학교에 잘 적응하는 청소년은 학교에서의 모든 생활과 환경을 수용하고 교사, 친구들과 조화로운 관계로 만족스러운 상태를 유지하며 교과 및 교내 활동에서 자신의 욕구를 합리적으로 해결하여 만족감을 느끼고 유지한다[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좌현숙, "청소년 내재화 문제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보호요인을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제36권, pp. 97-127, 2016. 

  2. 이미라, 박분희, "청소년의 외현화문제, 내재화문제, 성취가치, 학교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1호, pp. 517-535, 2017. 

  3. 강유진, 문재우, "청소년 학교적응에 대한 가족요인의 영향: 가족배경요인과 가족관계요인의 상대적 영향력," 한국청소년연구, 제6권, 제1호, pp. 283-316, 2005. 

  4. 박미자, 중학생, 기적을 부르는 나이, 파주: 들녘, 2013. 

  5. E. Erikson,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Inc., 1969. 

  6. 통계청, 2013 청소년 통계, 2013. 

  7. 유미숙, 정계숙, 박수홍, 차지량, 홍광표, "아동 및 청소년이 지각하는 행복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1권, 제3호, pp. 15-26, 2013. 

  8. 임효신, 정철영, "중학생 진로개발역량 검사도구 개발," 한국진로교육학회, 제28권, 제4호, pp. 107-137, 2015. 

  9. 이종범, 정철영, 김봉환, "중학생의 가족관련변인과 진로포부 및 진로의식간의 관계분석," 제1회 한국교육고용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pp. 785-813, 2005. 

  10. 이현미, 정제영,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24권, 제2호, pp. 117-139, 2017. 

  11. S. H. Osipow and L. Fitzgerald, Theories of Career Development(4th ed.),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1996. 

  12. 김초선, 남.녀중학생의 자기효능감, 희망, 진로의식성숙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3. 김유나,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4. 정미숙, 진로성숙도가 비행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보호관찰 청소년 대상으로,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5. 최미경, "청소년의 진로성숙도 및 불안과 학교적응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제34권, 제4호, pp. 65-81, 2013. 

  16. J. M. Hinkelman and D. A. Luzzo, "Mental Health and Career Development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Vol. 85, pp. 143-147, 2007. 

  17. D. W. McMillan and D. M. Chavis,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 14, pp. 6-23, 1986. 

  18. 박재숙, "학교청소년의 수련활동과 자원봉사활동,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17권, 제4권, pp. 157-182, 2010. 

  19. 김원태, "고등학교에서의 사회체험교육과 시민형성에 관한 연구," 시민교육연구, 제33권, pp. 49-88, 2001. 

  20. 조안나, 이은경, 장미경, "중학생의 팬덤활동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인문학논총, 제40집, pp. 201-226, 2016. 

  21. 최형임, 문영경,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45권, pp. 189-209, 2013. 

  22. 고관우, 남진열, "초기 청소년의 체험활동 참여 영역에 따른 공동체의식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학회지, 제14권, 제4호, p.231-250, 2011. 

  23. 최선미, 배장오, "사회성의 매개효과에 기초한 중학생의 진로결정이 학교생활 적응역량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9호, pp. 473-493, 2016. 

  24. G. W. Ladd, B. J. Kochenderfer, and C. C. Coleman,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Vol. 67, No. 3, pp. 1103-1118, 1996. 

  25. 윤은종, 김희수, "청소년의 생활양식 유형과 정신건강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청소년복지연구, 제7권, 제2호, pp. 105-120, 2005. 

  26. 염정원, 조한익, "청소년의 외현화, 내재화 문제 행동과 학교생활적응의 종단적 인과관계 분석," 교육심리연구, 제30권, 제1호, pp. 195-223, 2016. 

  27. 원재순, 김진숙,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 간 상관관계 메타분석,"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9호, pp. 177-205, 2016. 

  28. 김동일, 남지은, 강민철, "중학생의 대인관계지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학급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아시아교육연구, 제16권, 제1호, pp. 1-22, 2015. 

  29. 구재선, 김의철, "심리적 특성, 생활 경험, 행복의 통합적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0권 제4호, pp. 1-18, 2006. 

  30. 전혜진, 유미숙,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존중감, 진로성숙도 및 미시체계 변인의 경로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6호, pp. 75-104, 2015. 

  31. 한은영, 이재원, "청소년의 비행성향이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제24권, 제3호, pp. 323-355, 2013. 

  32. 장부연, 중학생의 자아정체감과 학교적응도 및 진로성숙도의 관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3. S. M. Reich, "Adolescents Sense of Community on My Space and Facebook: A Mixed Methods Approach,"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 38, No. 6, pp. 688-705, 2010. 

  34. 송진영, 최영란, "고등학생의 청소년활동참여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공동체의식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제22권, 제5호, pp. 179-207, 2016. 

  35. 박기령, 최중진, "청소년 레질리언스(resilience)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1998-2015),"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10호, pp. 451-478, 2016. 

  36. 박주현, 이태자, "청소년 체험활동의 참여시간과 참여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와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효과: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제13권, 제2호, pp. 237-248, 2015. 

  37. 곽미정, 문신용, "시민의식 영향요인 연구: 청소년봉사활동의 동기, 진로성숙도, 학업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시민사회와 NGO, 제8권, 제2호, pp. 111-141, 2010. 

  38. 박관숙, 김성희, "청소년 자원봉사의 이타성과 이기성, 진로성숙도, 시민의식에 관한 연구," 한국시민윤리학회보, 제25집, 제2호, pp. 117-136, 2012. 

  39. 박재숙, "중학교 신입생의 봉사활동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9호, pp. 1-24, 2013. 

  40. 위유라, 노충래,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 및 공격성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청소년복지연구, 제16권, 제2호, pp. 203-227, 2014. 

  41. 조명주, 학습자의 공동체의식과 학교생활적응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42. 진성희, 이동주, "온라인 협동학습에서 공동체의식과 토론참여도 및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 평생학습사회, 제6권, 제1호, pp. 65-87, 2010. 

  43. 홍나미, "청소년 봉사활동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청소년 문화포럼, 제44권, pp. 157-180, 2015. 

  44. 유순화, "중학교 신입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청소년학연구, 제15권, 제7호, pp. 157-180, 2008. 

  45. 이경상, 조용하, 청소년 나눔활동의 실태 및 개선 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5. 

  46.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ety Psychology, Vol. 51, pp. 1173-1182, 1986. 

  47. 정수빈, 김지태, 김은성, "청소년의 신체적 유능감, 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모형,"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1권, 제3호, pp. 327-343, 2016. 

  48. 조호운, 강종대, "부모의 과보호, 청소년의 행복감, 공동체의식,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 청소년 시설환경, 제14권, 제2호, pp. 139-146, 2016. 

  49. 통계청, 여성가족부, 2017 청소년 통계, 2017. 

  50. 강가영, 장유미, "청소년의 공동체의식에 관한 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제10권 제1호, pp. 97-123,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