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연명의료에 대한 태도, 역할 인식 및 간호 스트레스
Attitude, Role perception and Nursing stress on Life Sustaining Treatment of Nurs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7, 2020년, pp.347 - 355  

이미라 (평택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연명의료에 대한 태도, 역할 인식 및 간호 스트레스에 대하여 조사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P시에 소재한 G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60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명의료에 대한 태도는 5점 만점에 3.33점, 역할 인식은 3.94점 그리고 간호 스트레스는 3.78점이었다. 연명의료에 대한 태도는 근무 병동 그리고 간호 스트레스는 성별, 결혼 상태, 근무 병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 스트레스는 역할 인식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간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내과 병동, 중환자실, 역할 인식이었다. 그러므로 간호사의 연명의료 간호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ttitude, role perception and nursing stress on life sustaining treatment of nurses. The participants were 160 nurses in G hospital of P city.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mean score of attitude toward life sustaining trea...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연명의료에 대한 태도, 간호사의 역할 인식 및 간호 스트레스를 조사하고, 이들 변수 간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 이다.
  • 본 연구는 연명의료 간호경험이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연명의료에 대한 태도, 역할 인식 및 간호 스트레스를 조사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통합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연명의료에 대한 태도, 역할 인식 및 간호 스트레스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명의료결정법이 시행된 후에도 의료현장에서는 연명의료를 받는 환자가 많으므로, 간호 사의 연명의료에 대한 태도, 역할 인식 및 간호 스트레스를 조사하고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추후 연명의료 시 간호사가 교육자, 상담자, 지지자의 역할을 잘 수행하도록 하고 간호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융복합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명의료는 무엇인가? 연명의료란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에게 심폐소생술, 인공호흡기 적용, 혈액투석 및 항암제 투여, 체외생명유지술, 수혈, 혈압상승제 투여 등의 의학적 시술로서 치료 효과 없이 임종 과정만을 연장하는 것이다[1]. 우리나라 65세 이상 성인의 사망 직전 1개월간 의료비는 2005년 89만원에서 2015년에는 231만원으로 약 2.
연명의료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가 받는 스트레스의 원인은 무엇인가? 연명의료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는 반복되는 과중한 업무, 보호자와의 관계, 응급상황에 빠르게 대처를 할 수없을 때 그리고 연명의료 간호에 필요한 기술이나 지식이 부족할 때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6]. 간호 사의 업무 관련 스트레스가 높으면 업무 만족도가 저하 되고 이직의도가 높아지며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하기가 어렵다.
의료인의 연명의료에 대한 태도는 어떠한 유형들이 있는가? 연명의료에 대한 태도는 개인의 경험과 사회문화적 가치관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7]. 연명의료에 대한 의료인의 태도는 연명의료에 반대하는 연명의료 반대형, 연명의료 결정 시 본인의 의지가 가장 중요하다는 사전의 사결정 중시형, 연명의료 중지에 관한 지침은 연명의료 판단의 근거로 사용되어야 한다는 객관적 판단 중시형으로 나타났다[8]. 간호사 등 의료인의 연명의료에 대한 태도는 환자와 보호자가 연명의료 결정 시 영향을 미친다 [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9). Revised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Act.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BOARD_ID140&BOARD_FLAG00&CONT_SEQ348830. 

  2.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7). Efficient management plan for elderly medical expenses in preparation for an aging society. https://www.nhis.or.kr/bbs7/boards/B0069/23576?bodKey39&boardNameB0069. 

  3.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4). Analysis of the use of wages before death by the long-term care insurance recipient. https://www.nhis.or.kr/bbs7/boards/B0069/12977?bodKey39&boardNameB0069.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20). 2 years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ct.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 

  5.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life sustaining treatment Act. (2019. July.9). MEDI:GATE NEWS. https://medigatenews.com/news/702311991. 

  6. D. H. Park. (2018). Attitude toward the termin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of nurse in general hospital and life-sustaining treatment nursing care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7. E. J. Yeun & M. S. Song. (2011). Attitude toward the life-sustaining treatment(LST) among Korean adults: An application of Q-methodolog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22(1). 129-145. 

  8. E. J. Yeun, Y. P. Hong & H. H. An. (2016). Attitude toward life-sustaining treatment(LST) of health professionals and general public: A Co-orientational loo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Wellness, 11(2), 1-14. DOI: 10.21097/ksw.2016.05.11.2.1. 

  9. M. O. Park & H. J. Yun. (2016). Nurse,s experience dealing with ethical dilemma in intensive care unit.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8), 81-93. DOI:10.14257/AJMAHS.2016.08.36. 

  10. J. K. Um. (2017). Life-sustaining treatment Attitude, Stress and Advanced Directives Awareness in ICU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sity, Wonju. 

  11. M. S. Haras, S. K. Astroth & S. P. Kossman (2015). Exploring advanced care planning from the nephrology nurse perspective: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merican Neprology Nurses Association, 42(1), 23-35. PMID: 26290915. 

  12. E. K. Byun, H. R. Choi, A. L. Choi, N. M. Kim. K. H. Hong & H. S. Kim. (2003). An Investigative research on the attitudes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and families on terminate life support, Clinical nursing Research, 9(1), 112-124. UCL:G704-000921.203.9.1.005. 

  13. S. O. Kim.(1999). Characteristic analysis of stop treatment at intensive care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4. M. S. Yi, S. E. Oh, E. O. Choi, I. G. Kwon, S. B. Kwon, K. M. Cho et al. (2008). Hospital nurses, experience of Do-Not-Resuscitate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2), 298-309. DOI: 10.4040/jkan2008.38.2.298. 

  15. J. I. Yu. (2019). Knowledge on advance directive, attitude and role perception on life sustaining treatment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6. S. J. Lee & H. Y. Kim. (2017). Attitude, role perception and nursing stress on life sustaining treatment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9(2), 131-142. DOI: 10.7475/kjan.2017.29.2.131. 

  17. J. K. Um, G. H. Suh & S, Park. (2018). Life-sustaining treatment attitude, stress and advanced directive awareness in ICU nurses. J Korean Bioethics Assoc, 19(1), 37-50. DOI: 10.305. 

  18. S. J. Lee. (2016). The role perception, nursing stress and attitude on life sustaining treatment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9. G. S. Park. (2000). Sense researches of medical agent over euthanasia of patients who can,t resuscitate: Q-Methodological approach.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20. H. S. Hwang. (2019). Effects of nurses knowledge of advanced directive, role perception of life sustaining treatment and death orientation on their attitude toward withdrawal from life sustaining trea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Bible University. Seoul. 

  21. H. T. Chang, M. H. Lin, C. K. Chen, T. H. Chen & S. J. Hwang (20200. Nurses experience and factors related to their attitudes regarding discussions with patients and family members about Do-Not-Resuscitate decision and Life-sustaining treatment withdrawal: A hospital-based cross-sectional study.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17(2). 1-6. DOI:10.3390/ijerph17020557. 

  22. S. K. Kim, S. H. Kim & H. Y. Yun. (2019). Factors that influence end-of-life care provided by nurses in general hospitals. Korean J Med Ethics, 22(1), 53-72. 

  23. I. H. F. Taylor, A. Dihle, K. Hofso & S. A. Steindal (2020). Intensive care nurses, experience of withdrawal of life -sustaining treatments in intensive care patients: A qualitative study.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56, 1-23. DOI:10.1016/j.iccn.2019.201768. 

  24. M. J. Bloomer, R. Endacott, K. Ranse & M. Coombs. (2016). Navigation communication with families during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 intensive care: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J Clin Nurs, 26, 690-697. DOI:10.1111/jocn.13585. 

  25. B. D. Sachs, J. R. Ni & M. Caron. (2014). Sex differences in response to chronic mild stress and congenital serotonin deficiency.Psychoneuroendocrinology, 40, 123-129. DOI: 10.1016/j.psyneuen.2013.11.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