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판 전문직 간 학습에 대한 자기 효능감 척도의 타당화
Validity of the Self-efficacy for Interprofessional Experimental Learning Scale in Korea 원문보기

의학교육논단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21 no.3, 2019년, pp.155 - 161  

권오영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 및 의인문학교실) ,  박경혜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의학교육학과) ,  박귀화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  강영준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교육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can promote high-quality patient care and good medical outcomes through teamwork among health professionals. However, there are no valid measurements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IPE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test a Korean version of the Self-effic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Mann 등[19]이 개발한 Self-efficacy for Interprofessional Experimental Learning Scale (SEIEL) 도구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한국판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원저자는 전문직 간 교육을 실시하고 중재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한 표준화된 척도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전문직 간 학습의 경험이 있는 의학, 치의학, 치위생학, 약학, 간호학 전공 학생들의 전문직 간 학습에 대한 자기 효능감을 평가하는 SEIEL을 개발하였다.
  • 그 이유 중의 하나는 국내 실정에 맞는 전문직 간 교육효과를 측정할 타당화 된 검사도구가 없기 때문일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실정에 맞는 전문직 간 교육효과 측정을 위한 자기 효능감 측정도구의 요인분석을 시행하였고, 이에 대한 타당화 작업을 시행하였다.
  • 이에 저자들은 전문직 간 교육의 효과 측정으로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된 자기 효능감 측정도구를 한국화하고자 한다. 한국판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자기 효능감 측정도구로 타당도와 신뢰도를 재검증하여 국내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려고 한다.
  • 이에 저자들은 전문직 간 교육의 효과 측정으로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된 자기 효능감 측정도구를 한국화하고자 한다. 한국판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자기 효능감 측정도구로 타당도와 신뢰도를 재검증하여 국내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려고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당 연구의 보건의료분야에서 전문직 간 교육 분석 시 한계점은 무엇인가? 이번 연구가 갖고 있는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다양한 지역의 의과대학과 간호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모든 전문직 간 교육으로 일반화하는 것은 무리가 있을 수 있다. 게다가 예비보건직종 중 의과대학생과 간호대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추후 좀 더 다양한 직군을 포함시키고, 지역을 다양화하여 대표성을 갖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설문도구는 사회적 바람직성에의해 긍정적인 응답을 하거나, 응답하는 방식이 일정한 반응경향을보이는 객관적 검사이므로, 실제 전문직 간 교육효과의 판정 시에는 학생들의 면담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추후 동시 타당도와 예언 타당도 검증을 통한 추가 타당도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전문직 간 교육은 무엇인가? 전문직 간 교육(interprofessional education)은 “둘 혹은 그 이상의 전문가들이 서로 함께 서로에게서 서로에 대해 배워 협력을 증진시키고 진료의 질을 높이는 것”으로 정의된다[1,6,7]. 캐나다에서는보건의료 대학에서 전문직 간 교육을 처음으로 시도하였고[8], 유럽의 6개국(네덜란드, 독일, 벨기에, 스위스, 슬로베니아, 핀란드)은 의료 관련 종사자들 간의 네트워크 형성과 효과적인 전문직 간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 유럽지역 전문직 간 교육네트워크(EuropeanInterprofessional Education Network)를 조직하였다[9].
자기 효능감은 어떤 이론에서 발전한 것인가? 전문직 간 교육의 효과 측정을 위해 자기 효능감(self-efficacy)이라는 개념을 사용할 수 있다[15,16]. 자기 효능감은 반두라(Albert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에서 발전한 것으로, 개인의 지식, 능력,기술을 운용하고 조직화하여 동원하는 능력에 대한 개인적인 신념이라고 정의된다[17]. 즉 주어진 상황에서 얼마나 유능하게 행동할것인가에 대한 개인의 판단인 동시에 특정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개인의 신념이다[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World Health Organization. Framework for action o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and collaborative practic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2. Lee KS, Shin MK. Goals and assignments of healthcare accreditation program in Korea. J Korean Med Assoc. 2012;55(1):7-16. 

  3.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Accreditation standards of KIMEE 2019. Seoul: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2018. 

  4. Ahn D. Korean doctor's role. J Korean Med Assoc. 2014;57(1):3-7. 

  5. Korea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Learning outcomes of basic medical education: human and society-centered. Seoul: Korea Association of Medical Colleges; 2017. 

  6. Barr H.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 Dent JA, Harden R, editors. A practical guide for medical teachers. 2nd ed. Edinburgh: Elsevier Churchill Livingstone; 2005. p. 203-16. 

  7. Howkins E. Perspectives of inteprofessional learning and teaching. In: Howkins E, Bray J, editors. Preparing for interprofessional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Oxford: Radcliffe; 2007. p. 1-12. 

  8. College of Health Disciplines,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New collaborations to improve health care in our communities: annual report [Internet]. Vancouver (BC): College of Health Disciplines,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2006 [cited 2019 Jun 30]. Available from: http://heatherkent.com/samples/CHD2006AnnualReport.pdf. 

  9. Liaskos J, Frigas A, Antypas K, Zikos D, Diomidous M, Mantas J. Promoting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 health sector within the Europea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Network. Int J Med Inform. 2009;78 Suppl 1:S43-7. 

  10. Interprofessional Education Collaborative Expert Panel. Core competencies for interprefessional collaborative practice: report of an expert panel [Internet]. Washington (DC): Interprofessional Education Collaborative; 2011 [cited 2019 Jun 30]. Available from: https://ipecollaborative.org/uploads/IPEC-Core-Competencies.pdf. 

  11. World Health Organization. Multi-professional patient safety curriculum guide.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 

  12. Kim YG. Gumi University, 3rd rehabilitation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ternet]. Seoul: Gukjenews; 2016 [cited 2019 Jun 30]. Available from: http://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582298. 

  13. Cheon JY. Gwangju Health University,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ternet]. Seoul: Daily UNN; 2017 [cited 2019 Jun 30]. Available from: https://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68117. 

  14. Im SJ, Lee SY, Yun Y, Hong JW, Shin SW. Effect of PBL program for cooperative practice between Western and Korean medicine. J Physiol Pathol Korean Med. 2016;30(3):137-41. 

  15. Eva KW, Regehr G. Self-assessment in the health professions: a reformulation and research agenda. Acad Med. 2005;80(10 Suppl):S46-54. 

  16. Townsend L, Scanlan JM. Self-efficacy related to student nurses in the clinical setting: a concept analysis. Int J Nurs Educ Scholarsh. 2011;8(1):1-15. https://doi.org/10.2202/1548-923X.2223. 

  17.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 Rev. 1977;84(2):191-215. 

  18. Bae JS.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and the school achievement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98. 

  19. Mann K, McFetridge-Durdle J, Breau L, Clovis J, Martin-Misener R, Matheson T, et al.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health professions students' self-efficacy beliefs in interprofessional learning. J Interprof Care. 2012;26(2):92-9. 

  20. DeVellis RF.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12. p.115-8. 

  21. Byrne B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EQS, and LISREL: comparative approaches to testing for the factorial validity of a measuring instrument. Int J Test. 2001;1(1):55-86. 

  22. Kim 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 medical schools. Korean Med Educ Rev. 2017;19(1):10-7. 

  23. Hong S.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Korean J Clin Psychol. 2000;19(1):161-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