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이러닝 학습자들의 이용의도에 관한 종단적 연구
Longitudinal Study on the Intention to Use of e-Learning Learner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0, 2019년, pp.215 - 222  

배재홍 (한국폴리텍대학 울산캠퍼스 교양과) ,  신호영 (영남대학교 산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종단적 자료를 기반으로 이러닝 학습경험 전과 후의 이러닝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비교하여 대학생들의 인식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경상북도에 소재한 Y대학과 K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습시간의 편의성과 학습과정의 용이성, 이러닝 유용성은 학습경험과 관계없이 이러닝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공간의 편의성은 학습경험 전과 후의 인식에 차이가 있었으며, 이러닝 학습을 경험한 후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제 이러닝 학습을 경험한 대학생들은 학습과정의 용이성이 이용의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효과적인 이러닝 활성화 방향과 이러닝 학습자들에 대한 종단적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students' perceptions by comparing factors affecting e-learning intention before and after e-learning experience based on longitudinal data. For this purpose, a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at Y and K universitie...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초연구에 이어 후속되는 연구로서 이러한 이러닝 이용 경험이 없는 대학생들이 이러닝 학습을 실제 경험한 후, 이러닝 이용의도에 대한 인식 변화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에 기초연구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종단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닝을 이용한 경험이 없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경험 전과 후의 이러닝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비교하여 학습자들의 인식 변화를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개념적 모델은 Fig.
  • 종단적 연구방법은 동일표본을 대상으로 시간적 간격을 두고 반복 측정하여 변인의 변화를 통계적으로 검증하는 연구방법으로 연구의 결과는 횡단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가장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닝 학습경험에 따른 종단적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이러닝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의 관련성을 검증해 봄으로써 효과적인 이러닝 활성화 방향과 이러닝 학습자들에 대한 종단적 연구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1% 증가하였으며, 매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12]. 본 연구자는 이러한 가능성을 가진 이러닝에 대하여 고찰하는 일이 대학사회에 잠재적으로 기여가 되리라 생각하여 이러닝 학습자들의 이러닝 이용동기와 이용 의도에 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13]. 연구결과 이러닝을 이용한 경험이 없는 대학생들은 이러닝의 특성 중 학습시간의 편의성, 학습과정의 용이성 그리고 이러닝의 유용성으로 인해 이러닝을 이용하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 는 데 있다. 이에 기초연구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종단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종단적 연구방법은 동일표본을 대상으로 시간적 간격을 두고 반복 측정하여 변인의 변화를 통계적으로 검증하는 연구방법으로 연구의 결과는 횡단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가장 큰 의미가 있다.
  • 는 의지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이러닝 학습경험 전과 후의 이용의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이러닝 학습 경험에 따른 대학생들의 이러닝 이용의도에 대한 인식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패널 연구방법을 채택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러닝의 특징은 무엇인가? 최근 ICT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지식 전달을 위한 수단이 기존의 오프라인을 통한 면대면 수업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매체를 활용한 형태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1,2]. 이러닝(e-learning)은 시간과 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자율적인 학습 환경에서 풍부한 학습 콘텐츠에 자유로이 접근이 가능하도록 해 주며[3-6],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양식이나 생활패턴에 맞추어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해 준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는 분야이다[7-11]. 2018년 국내 이러닝 수요시장의 규모는 총 3조 7,772억 원으로 전년대비 4.
횡단적 연구의 장점은 무엇인가? 횡단적 연구는 어떤 특정한 시점에서 서로 다른 집단들의 특성을 비교하는 연구방법으로 사회현상을 탐색하고 기술하는 데 효과적이다. 반면에 종단적 연구는 일정 기간에 걸쳐 동일한 연구 대상의 상태 변화를 측정하는 연구방법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와 종속적 관계를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14,15].
종단적 연구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종단적 연구에는 코호트 연구(cohort study), 추세 연구(trend study), 패널 연구(panel study)가 있다. 코호트 연구는 어떤 특성을 가진 집단 구성원을 장기간 조사하여 상태 변화를 파악하는 연구방법으로 반드시 동일 대상을 조사할 필요는 없다. 추세 연구는 시간에 따른 변화 상태가 어떤 추이를 나타내는지를 조사할 때 사용한다. 패널 연구는 코호트 연구 및 추세 연구와 비슷하지만 경험적 분석에 적절한 연구방법으로 조사하는 각 시점마다 연구의 대상이 동일하다[16]. 예를 들면, 대학생을 대상으로 1학년부터 4학년 때까지 매 학년 개인의 학습 만족도 변화를 조사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 J. Choi, K. J. Kang & I. S. Ko. (2007). The Impacts of Media Richness, Media Usefulness, and Media Experience on the Leaner's Satisfaction with e-Learning Systems.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14(2), 27-47. 

  2. M. Y. Kim, W. S. Choi & K. N. Lee. (2008). A Study on the Characters of Leaners Affecting the Success of Learning under E-Learning Circumstances for Universities. Korean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8(1), 221-236. 

  3. Y. J. Bae. (2010). A Qualitative Study on Self-directed Learning in Cyber Space.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8(2), 205-223. DOI : 10.15708/kscs.28.2.201006.008 

  4. S. I. Han, J. Y. Lee & H. J. Kim. (2010). A Study of Learners' Perception and Self-Efficacy of e-Learning in Relation to their Satisfaction with and Intention of Taking On-Line Courses in University Environment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8(2), 123-148. 

  5. C. H. Jung, H. G. Kim & I. S. Ha. (2011). Factors Influencing the Continuance Intention in the e-Learning Services.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5(1), 65-72. DOI : 10.21184/jkeia.2011.03.5.1.65 

  6. M. L. Kim & T. Y. Kim. (2003).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nce of Cyber Instructional System in Universitie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0(3), 63-87. 

  7. S. J. Kang, D. C. Lee & H. G. Kim. (2008). A Study on the Effect of an e-Learning Lecture System's Quality on a Learner's Flow and Participation.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8(3), 211-237. 

  8. J. J. Woo, B. N. Kim & O. H. Lee. (2009). A Study on the Blended Learning as An Alternative of Face-to-Face Learning in University. Journal of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nvergence, 7(2), 219-225. 

  9. H. H. Jeong. (2014).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 Behavior Intention of e-Learning in Liberal Ar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0(1), 51-76. 

  10. K. S. Kang & H. C. Kim. (2018). Tes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Flow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ntents Quality, Telepresence, and Continuos Intention to Use e-Learning Services. E-Trade Review, 16(1), 19-40. 

  11. H. Y. Joo & C. B. Kim. (2017). Effects of e-Learning Quality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on Learners' Attitude and Re-use Intention Integrated Verification Using Second-order Model. The e-Business Studies, 18(4), 81-100. DOI : 10.20462/TeBS.2017.08.18.4.81 

  12. C. Y. Kim. (2018). 2018 Survey on Korean e-Learning Industry.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 

  13. H. Y. Shin. (2019).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Learning Motives and Intent of e-Learning Learn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7), 225-233. 

  14. J. H. Lee & Y. K. Kim. (2019). University Students' Adaptation and Achievements over Years Depending on Admission Types.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5(1), 317-338. DOI : 10.24159/joec.2019.25.1.317 

  15. S. P. Jang & J. I. Kim. (2013). Longitudinal Investigation on Casual Relationship between Smart-Literacy and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1(4), 67-90. 

  16. H. S. Koh. (2019).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ternet Use and Life-satisfaction: Focusing on the age-period-cohort(APC) effect analysis of media panel data. Broadcasting & Communication, 20(1), 181-221. 

  17. S. D. Kwon & S. J. Yun. (2010).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Intention to Continued Use of e-Learning.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17(1), 35-54. 

  18. W. K. Lee & J. K. Lee. (2003).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Service Quality on Ease of Use and Usefulness of an e-Learning System.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2(2), 41-56. 

  19. J. K. Lee & J. K. Kim. (2014). A Study on Use Motives for and Effects of e-Learning among College Students in the Fields of Science and Engineering v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Journal of Speech, Media & Communication Association, 24, 76-111. 

  20. K. S. Park (2006). A Study of the Influential Factors on Use Motive and Satisfaction in e-Learning.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19, 5-40. 

  21. G. A. Churchill. (1979). A Paradigm for Developing Better Measures of Marketing Constructs. Journal of Marking Research, 16(Fed), 64-73. DOI : 10.2307/3150876 

  22. J. H. Bae & H. Y. Shin. (2019). A Study on the Factor of Satisfaction or Dissatisfaction of e-Learning Using Kano Model and Timko's 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7), 325-33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