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이러닝 학습자들의 개인·심리적 요인이 이러닝 학습효과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so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Learners on e-Learning Effect and Intention to Reus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0, 2019년, pp.283 - 289  

배재홍 (한국폴리텍대학 울산캠퍼스 교양과) ,  신호영 (영남대학교 산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이러닝 학습자의 특성을 개인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으로 분류하여, 이러한 학습자의 특성이 이러닝 학습효과와 재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에 소재한 Y대학과 K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학습자의 학년, 자제력, 집중력, 자기효능감이 이러닝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의 학년, 이러닝 학습경험, 자기효능감, 학습효과가 이러닝 재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과 스스로 학습과정을 관리하고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 설계와 교수자의 관리적인 역할이 중요시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러닝의 학습효과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활용방안과 이러닝 학습자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lassifies the characteristics of e-learning learners into perso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nd examines how they affect the e-learning effects and intention to reuse. For this purpose, a research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at Y and K universities in Gyeongsangbuk...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Shin[15]의 “이러닝 학습자들의 이러닝 이용동기 및 이용의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에 이어 후속되는 연구로서 이러닝 학습자들의 개인·심리적 특성이 이러닝 학습효과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 본 연구는 이러닝 학습자의 특성을 개인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으로 분류하여 이러닝 학습효과와 재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자의 성별, 학년, 이러닝 학습경험은 개인적 요인, 자기통제(자제력, 집중력)와 자기효능감은 심리적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닝의 가장 큰 장점인 자율적인 학습 환경으로 인해 학습자의 특성이 이러닝 학습효과에 크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어, 학습자 특성을 개인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으로 분류하여 이러닝 학습효과와 재이용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이러닝 학습자의 특성을 개인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으로 분류하여, 이러닝 학습효과와 재이용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해 봄으로서 학습 효과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활용방안과 이러닝 학습자의 특성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러닝의 단점은 무엇인가? Shin[15]의 연구에서 대학생들은 이러닝을 이용하는 가장 큰 이유로 학습자가 직접 선택할 수 있는 자유로운 학습시간과 학습공간 때문이라고 대답했다. 하지 만, 외부의 통제성이 없기 때문에 학업성취도가 오프라인 강의에 비해 낮음을 이러닝 이용 시 가장 큰 결점으로 지적했다. 학습자 개개인의 역량이나 노력 등의 차이도 있지만, 이러닝의 가장 큰 장점인 자율성이 오히려 대학생 들의 자기통제성을 낮추어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친 결과로 보여진다[16].
자기통제란 무엇인가? 자기통제(self-control)는 외부의 개입이나 지시가 없는 상황에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순간적인 유혹이나 만족을 주는 정서적, 행동적 충동을 자발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17,18].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학습자의 자기통제가 높을수록 참여도가 높고[19] 개인학습시간도 많아져 학습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0].
자기통제성과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이에 대학생들의 자기통제성과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대학생이 스스로 학습과정을 관리하고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 설계와 교수자의 관리적인 역할이 중요시 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 Y. Shin, T. M. Choi & D. Y. Jeong. (2013). Antecedents of e-Learning Performance for Business Training: An Analysis of Mediation Effect of Learner's Attitude.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13(3), 157-184. 

  2. Z. Wan, Y. Fang & D. Neufeld. (2007). The Rol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Technology Mediated Learning: A Review of the Past for the Futur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Education, 18(2), 183-193. 

  3. D. I. Kim, H. J. Lee & J. Y. Son. (2005). Practical Solutions for Establishing Blended e-Learning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6(4), 97-123. 

  4. E. J. Jang, Y. K. Seo & H. J. Cheong. (2010). The Effects on Course Satisfaction, Effectiveness Awareness, and Importance Awareness from e-Learning Contents' Construct Factors Based on Demographic Factors of Cyber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6(1), 57-85. DOI : 10.17232/KSET.26.1.57 

  5. E. M. Sung. (2014). The Influence of Smart Media Literacy's Factors on Subject Attitude and Achievement: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Gender Difference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0(4), 621-650. DOI : 10.17232/KSET.30.4.621 

  6. Y. J. Joo, A. R. Kang & E. G. Lim. (2016). A Meta-Analysis on the Learning Satisfaction for Cyber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12(2), 145-170. DOI : 10.26857/JLLS.2016.05.12.2.145 

  7. H. L. Roh & M. N. Choi. (2011). Logistic Regressions Analysis of the Student's Persistent Intention in University e-Learning.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7(4), 477-498. 

  8. M. S. Kang, J. I. Kim & I. W. Park. (2009). The Examination of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Students' e-Learning Participation that Have an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in e-Learning Environment of Cyber University.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 10(5), 135-143. 

  9. B. N. Kim & J. J. Woo. (2011). The Influence of Learn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Learning Effect in Cyber University.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9(3), 213-219. 

  10. J. S. Kim & M. H. Kang. (2010).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ing Presence, Learning Presence, and Effectiveness of e-Learning in the corporate Setting. Asian Journal of Education, 11(2), 29-56. DOI : 10.15753/aje.2010.11.2.002 

  11. H. H. Jeong. (2014).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tudents' Behavior Intention of e-Learning in Liberal Ar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20(1), 51-76. 

  12. Y. Lee & I. W. Park. (2012). Investiga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rner Characteristics, Learning Strategies, Teaching Presence, and Learning Effects in e-Learning of Cyber Universit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8(1), 137-168. DOI : 10.17232/KSET.28.1.137 

  13. S. B. Lee, S. J. Chang & H. K. Jang. (2012). Exploring Influential Factors on Learning Achievement of e-Learning Learners. Media & Education, 2(1), 1-35. 

  14. B. N. Kim, J. J. Woo & O. H. Lee. (2010).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the Computer Self-Efficacy Scale and Its Influence on the e-Learning of the Undergraduat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8(9), 153-160. 

  15. H. Y. Shin. (2019).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Learning Motives and Intent of e-Learning Learn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7), 225-233. 

  16. H. J. Lim & J. E. Lee. (2016). A Longitudinal Change of Self-esteem, Self-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12), 315-335. DOI : 10.22251/jlcci.2016.16.12.315 

  17. T. C. Yeo, H. J. Lim & M. H. Hwang.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and Academic Achievement : The Mediating Roles of Learned Helplessness and Learning Strategies. Journal of Education Culture Research, 23(1), 315-341. DOI : 10.24159/joec.2017.23.1.315 

  18. T. G. Jeong. (2005). The Effects of Internet Addiction and Self Control on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13(1), 143-163. 

  19. Y. S. Han & S. W. Kim. (2012).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Self Control and Fear of Failure on Procrastinatio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9(4), 203-244. 

  20. C. S. Ha, J. H. Kim, H. C. Choi & H. S. Yoo. (2006). The Relationship among Self-Control, Class Engagement, Learning Time after School, and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Adolescents, Studies on Korean Youth, 17(1), 181-200. 

  21. H. G. Hong, H. S. Kim, J. H. Kim & J. H. Kim. (2012). Validity and Reliability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rief Self-Control Scale(BSCS).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31(4), 1193-1210. 

  22. Y. J. Ha & Y. Y. Im. (2010). Prediction of Learning Persistence,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e-Learning Adult Learners' Intrinsic Value and Academic Self-Efficacy. Journal of Korean HRD Research, 5(4), 49-67. 

  23. A. Bandura. (1993).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8, 117-148. DOI : 10.1207/s15326985ep2802_3 

  24. I. Ryu & J. H. Hwang. (2002). Role of Distance Learning Self-Efficacy in Predicting User Intention to Use and Performance of Distance Learning System. The Journal of MIS Research, 12(3), 45-70. 

  25. G. Heo. (2014). A Study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the effect of e-Learning.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JICS), 15(6), 77-84. DOI : 10.7472/jksii.2014.15.6.77 

  26. S. D. Kwon & S. J. Yun. (2010). A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f Intention to Continued Use of e-Learning.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17(1), 35-54. 

  27. W. K. Lee & J. K. Lee. (2003).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Service Quality on Ease of Use and Usefulness of an e-Learning System.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2(2), 41-56. 

  28. J. C. Anderson & D. W. Gerbing.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DOI : 10.1037/0033-2909.103.3.411 

  29. M. Tenenhaus, V. E. Vinzi, Y. M. Chatelin & C. Lauro. (2005). PLS Path Modeling. Computational Statistics & Data Analysis, 48(1), 159-205. DOI : 10.1016/j.csda.2004.03.005 

  30. H. J. Kim & O. B. Kim. (2016). Gender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Perceived Learning Outcomes, Self-Directed Learning Engagements, and Social Interactions among College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10), 63-7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