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방적인 스케일링의 건강보험적용 시기에 따른 치과 의료기관 이용과 구강건강상태 전·후 차이 비교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와 제6기 자료를 활용하여
Comparison of the oral health status before and after preventive scaling using the provision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The 5th-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9 no.5, 2019년, pp.765 - 776  

강현경 (신라대학교 치위생학과) ,  김유린 (신라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oral health statuses pre- and post-insurance using the $5^{th}$ and $6^{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to confirm the effect of scaling insurance after a year. Methods: Data were analyzed us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예방적인 스케일링이 건강보험 적용되는 시기인 2013년 7월을 기준으로 전과 후로 나누어 치과 의료기관의 이용여부와 치과 미치료 여부, 구강 내 보철물의 상태와 치주상태, 치아에 따라 치면 별로 치아우식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 5기와 제6기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예방적인 스케일링의 건강보험적용 시기에 따라 전과 후로 나누어 치주상태를 확인하고, 치아에 따라 근심면, 원심면, 교합면으로 세분화하여 구강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8년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외래 다빈도 질병통계에서 치석 부착자의 비율은? 6%의 치주질환자가 증가한다고 조사되었다[3].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7명이 치주질환을 앓고 있고, 중년층에서 건강한 치주조직을 가진 사람의 비율은 14%에 불과하며, 치석 부착자의 비율은 52%로 우리나라의 치주질환은 심각한 수준이다[4]. 세계보건기구는 Healthy People 2020의 구강 영역에 성인의 중등도 또는 심각한 치주질환 보유율 감소를 목표로 설정하였고[5], 우리나라도 치면세마필요자율을 50.
상악 우측 중절치의 인접면이 스케일링 시행 여부와 관계가 없다고 주장한 근거는? 하악 좌측 중절치의 인접면에서도 적용 전에는 우식치면의 비중이 많았지만, 적용 후에는 건전치면의 비중이 많았다. 하지만 상악 우측 중절치의 인접면은 건전치면과 우식치면 모두 건강보험 적용 전보다 적용 후가 더 많아 차이가 없었고, 이는 다른 치아에 비하여 칫솔질이 비교적 수월하기 때문에 예방적인 스케일링의 시행 여부와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예방적인 스케일링의 건강보험 적용 시기인 2013년도를 기준에 따라 치주상태와 치아우식상태에 대하여 전과 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보험 적용 후, 필자가 유추한 브릿지가 존재하는 구강 상태가 많아진 원인은? 또한 건강보험 적용 전에는 크라운이 한 개만 있거나 틀니가 있는 구강 상태가 더 비중이 많았지만, 적용 후에는 크라운이 전혀 없거나 브릿지가 존재하는 구강 상태가 더 비중이 많았다. 이는 치과 보철물 건강보험 급여화 정책으로 2012년 완전 틀니, 2013년 부분 틀니, 2014년 만 75세 이상을 대상으로 치과 임플란트 건강 보험급여가 시행된 데 이어, 현행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 로 건강보험의 보장성이 더욱 확대 시행되고 있어 구강 내 보철물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건강보험 적용 후 심각한 구강건강상태를 대체하는 틀니의 비중이 작아진 것은 매년 스케일링을 받는 환자가 늘어나 정기적인 구강검진이 가능하기 때문에 심각한 구강상태까지 진행 되지 않도록 유지되고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Petersen PE, Ogawa H. The global burden of periodontal disease: towards integration with chronic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Periodontol 2000 2012;60(1):15-39. https://doi.org/10.1111/j.1600-0757.2011.00425.x 

  2. Glick M, Williams DM, Kleinman DV, Vujicic M, Watt RG, Weyant RJ. A new definition for oral health developed by the FDI world dental federation opens the door to a universal definition of oral health. J Public Health Dent 2017;77(1):3-5. https://doi.org/10.1111/jphd.12213 

  3. Healthcare Bigdata Hub [Internet]. Many frequency disease statistics. [cited 2019 July 18]. Available from: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HifrqSickInfo.do. 

  4. Healthcare Bigdata Hub [Internet]. Medical practice (examination / surgery, etc.) statistics. [cited 2019 July 18]. Available from: http://opendata.hira.or.kr/op/opc/olapDiagBhvInfo.do. 

  5. Healthy People. Healthy people 2020 [Internet]. Topics & objectives. [cited 2019 July 18]. Available from: https://www.healthypeople.gov/2020/topics-objectives/topic/oral-health/objectives.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ternet]. Health Plan 2020 4th. [cited 2019 July 18]. Available from: https://www.khealth.or.kr/board/view?linkId559205&menuIdMENU00828. 

  7. Lee MS, Im HJ. The factors of oral health beliefs on scaling performance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in consumers. J Korean Soc Dent Hyg 2015;15(1):31-8.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1.31 

  8. Lee YM. Health policy for the people. J Korean Med Assoc 2017;60(4):286-8. https://doi.org/10.5124/jkma.2017.60.4.286 

  9. Kang HJ. Policy directions fo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for 2017: Harmonizing equity and efficiency through innovation. Health and Welfare Forum 2017;243(1):18-28. 

  10. Lee HS, Lee KH. Recognition about national health insurance of dental scaling in industry accident injury pati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3;13(4):561-8. https://doi.org/10.13065/iksdh.2013.13.4.561 

  11. Kim YG, Ham MD. Oral microbiology. 5th ed. Seoul: Komoonsa; 2001: 320-5. 

  12. Martins-Junior PA, Vieira-Andrade RG, Correa-Faria P, Oliveira-Ferreira F, Marques LS, Ramos-Jorge ML. Impact of early childhood caries on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Caries Res 2013;47(3):211-8. https://doi.org/10.1159/000345534 

  13. Lee BH. Reasons for extraction of permanent teeth in private dental clinics. J Dent Hyg Sci 2008;8(1):1-6. 

  14. Kim BO, Kim SA, Kim YJ, Seo EJ, Shim HS, Yang JS, et al. Periodontology. 2nd ed. Seoul: Daehannarae; 2009: 47-9. 

  15. Jang YE, Son KJ, Kim CB, Kim NH. Comparison of scaling rate data of Community Health Survey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9;43(1):26-32. https://doi.org/10.11149/jkaoh.2019.43.1.26 

  16. Go EJ. Survey of recognition on periodontal health inpatients of some dental clinics in Geoje. J Dent Hyg Sci 2009;9(2):203-10. 

  17. Ju OJ, Kang EJ, Woo SH, Lee AJ, Lee HJ, Park MY. Recognition between laypersons and dental hygienists on expansion of health insurance of scaling. J Korean Soc Dent Hyg 2014;14(3):431-8.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3.431 

  18. Jung JY, Lim MH. Awareness and satisfaction toward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scaling. J Korean Soc Dent Hyg 2015;15(6):1107-16.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6.1107 

  19. Landry RG, Jean M. Periodontal screening and recording (PSR) Index: precursors, utility and limitations in a clinical setting. Int Dent J 2002;52(1):35-40. https://doi.org/10.1111/ j.1875-595X.2002.tb00595.x 

  20. Jung SH. Dental utilization and expenditures in Korea Health Panel Survey, 2008-2011. J Korean Dent Assoc 2014;52(5):291-301. 

  21. Park HJ, Lee JH, Kim TI. Analysis of periodontal health related factors by using data mining method. J Korean Soc School Health Edu 2013;14(3):15-26. 

  22. Park HJ, Lee JH. The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ral health consciousness and behaviors on the periodontal-health disparities among Korean adults. Korean J Health Edu Promotion 2010;27(1):61-6. 

  23. Yun SH, Suh CJ. The effects of the scaling health insurance coverage expansion policy on the use of dental services among patients with gingivitis and periodontal diseases. J Health Economics 2016;22(2):143-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