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케일링 건강보험 급여화사업 이후의 스케일링에 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recognition about scaling after health insurance benefit business for scaling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7 no.3, 2017년, pp.355 - 368  

이경희 (신한대학교 치위생학과) ,  손지영 (신한대학교 치위생학과) ,  이행옥 (신한대학교 치위생학과) ,  신송희 (신한대학교 치위생학과) ,  전현지 (신한대학교 치위생학과) ,  유환준 (신한대학교 치위생학과) ,  문선호 (신한대학교 치위생학과) ,  김지연 (신한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cognition about scaling after health insurance benefit business for scaling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for the general public. Methods: In order to examine the recognition about scaling after health insurance benefit busines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스케일링의 중요성과 스케일링 급여화사업에 대해 인지함으로써 스케일링을 통해 구강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2016년 12월부터 약 1개월 동안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20대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 본 연구의 도구는 박[2]의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1차 예비조사를 통하여 도구의 타당성을 높이고자 하는 노력을 실시하였다. 조사항목은 일반적 특성 4문항, 건강 관련 특성 5문항, 스케일링 관련요인 6문항, 스케일링 급여화사업에 대한 인지 7문항, 스케일링 급여화사업 이후의 스케일링 현황 5문항, 스케일링 대한 인식 5문항, 스케일링 건강보험 급여화사업 이후의 스케일링에 대한 인식 6문항 등으로 구성하였다.
  •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연구대상자가 서울과 경기도에 국한되어 있어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신중을 기하여야겠지만, 스케일링 건강보험 급여화사업 이후의 인식을 조사하여 스케일링에 대한 인식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에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연구대상자를 확대하고, 스케일링 건강보험 급여화사업을 보다 확대하기 위한 효과적인 홍보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스케일링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과 스케일링 건강보험 급여화사업의 인지여부 및 사업 이후의 인식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사업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고, 일반인들이 스케일링 급여화사업에 대해 인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스케일링을 통해 구강건강을 보다 더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그러나 아직까지도 스켈일링에 대해 잘못 인식하여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거나 스케일링 건강보험 급여화제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이 제도를 잘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케일링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과 스케일링 건강보험 급여화사업의 인지여부 및 사업 이후의 인식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석이란 무엇인가? 또한 치아의 해부학적, 형태학적 구조로 잘 닦이지 않는 부분이 있어 칫솔질로 음식물 잔사를 완벽하게 닦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치아표면에 남아 음식물 잔사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구강 내 세균과 결합되어 치면세균막을 형성되고, 이를 방치하면 타액의 무기질 성분에 의하여 단단한 돌처럼 굳어지는 데 이를 치석이라 한다[3].
스케일링의 효과는 무엇인가? 대표적인 구강질환인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은 이처럼 치면세균막이 치석으로 발전됨으로써 발생하며, 한번 발생된 치석은 칫솔질만으로는 제거가 어렵다. 이러한 치석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술식을 스케일링이라 하며, 스케일링을 통해 치면세균막, 치석을 제거하고 치아 표면을 활택하게 하여 구취 제거 및 치주질환과 같은 구강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4]. 이에 따라 정부는 스케일링의 필요성을 인정하여 국민들의 경제적 부담감을 줄여주기 위해 2013년 7월 이후부터 후속처치가 필요없는 스케일링의 경우에는 건강보험 급여화를 시행하기 시작하였다.
칫솔질을 잘 이행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구강건강의 관리 및 구강질환의 예방에 있어서 칫솔질은 누구나 알고 있는 가장 기본적이면서 경제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를 잘 이행하지 않을 경우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에 이환될 확률은 매우 커지며, 구강 내에 세균 감염에 의하여 심혈관계 질환 및 신장질환과 뇌졸중, 미숙아, 당뇨병 등의 다양한 전신 질환도 발생할 수 있다[2]. 또한 치아의 해부학적, 형태학적 구조로 잘 닦이지 않는 부분이 있어 칫솔질로 음식물 잔사를 완벽하게 닦기는 쉽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Lee SY. Antimicrobial effect of essential oils on oral bacteria[Doctoral dissertation]. Jeonju: Univ. of Chunbook nation, 2008. 

  2. Park GG.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of dental scaling[Master's thesis]. Seoul: Univ. of Korea, 2006. 

  3. Kim BO, Kim SA, Kim YJ, Seo EJ, Shim HS, Yang JS, et al. Periodontology. 2nd ed. Seoul: Daehannarae; 2009:47-9. 

  4. Medical informa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caling[Interne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cited 2012 January 16]. Available from: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27737&mobile&cid51007&categoryId51007#TABLE_OF_CONTENT1 

  5. Yoon MM. A study on knowledge and perception of dental scaling of adult[Master's thesis]. Seoul: Univ. of Hanyang, 2014. 

  6. Do JI. (The) Effect oral health education has on the knowledge and behavior concerning oral health : focused on the area middle school &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heongyang, Chungcheongnamdo Province[Master's thesis]. Gongju: Univ. of Gongju, 2014. 

  7. Denfoline. Expansion of scaling insurance coverage, enlightment to save the dental system [Internet]. Denfoline.[cited 2012 January 16]. Available from: https://www.denfoline.co.kr. 

  8. Ha MY. A study on the changes in consumers' awareness and the rate of scaling in each region after its coverage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cheme[Master's thesis]. Seoul: Univ. of Dankook, 2015. 

  9. Lee BG, Lee JH.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dental care customers after 1 year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dental scaling. J Korean Soc Dent Hyg 2016;16(2):185-93. http://doi.org/10.13065/jksdh.2016.16.02.185 

  10. Lee HS, Lee KH. Recognition about national health insurance of dental scaling in industry accident injury pati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3;13(4):561-8. https://doi.org/10.13065/iksdh.2013.13.4.561 

  11. Lee MS, Lim HJ. The factors of oral health beliefs on scaling performance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in consumers. J Korean Soc Dent Hyg 2015;15(1):31-8.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1.31 

  12. Gwon MY. Awareness on the addition of dental scaling to the coverage list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J Korean Soc Multicultur Health 2016;6(2):1-8. 

  13. Tistory. Scaling cycle every 3-12 months[Internet]. Tistory.[cited 2012 January 16]. Available from: https://big-source.tistory.com/100 

  14. Jung JY, Lim MH. Awareness and satisfaction toward health insurance coverage of scaling. J Korean Soc Dent Hyg 2015;15(6):1107-16. https://doi.org/10.13065/jksdh.2015.15.06.1107 

  15. Yun JH. A survey of perception of medical customer's about dental infection control[Master's thesis]. Iksan: Univ. of Wonkwang,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