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생 맞춤형 수업을 위한 학교 공간 분석: 스웨덴 비트라 텔레폰플랜(Vittra Telefonplan) 학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School Space for Students' Customized Classes: Focused on Vittra Telefonplan School in Swede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10, 2019년, pp.433 - 445  

신진수 (공주대학교 교육학과) ,  조향미 (공주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스웨덴 비트라 텔레폰플랜 학교(Vittra Telefonplan school)의 학교 공간 구성과 학생 맞춤형 수업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학교 공간 혁신 방안은 무엇인지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 문서분석, 영상분석 등의 방법으로 선행연구 탐색, 비트라 학교 공간과 학생 맞춤형 수업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오픈스페이스에서 학생 개인별 필요와 성장에 필요한 수업을 운영하고 있었다. 둘째, 오픈스페이스 형태의 학교 공간은 학생 삶의 공간으로서 역할을 다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는 학생들의 적극적 안내자와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넷째, 학생 개별 학습 관리는 IT 기반 학습 플랫폼을 활용하면서 코딩 수업을 활발하게 진행하였다. 다섯째, 학생 주도적 학습으로 자신의 학습에 자율성과 책임감을 갖도록 하고 있었다. 비트라 학교가 우리나라 교육과정 운영 및 학교 공간 구성에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신설학교를 설계할 때에는 가급적 작은 규모의 학교를 설계하며, 학급이 아닌 학년 단위로 오픈된 공간을 구성하고 교육과정도 학년 중심으로 운영하는 것이 좋다. 기존 학교를 재구조화할 경우 여유 교실이 있는 학교를 대상으로 규격화된 교실을 개조하여 가변형으로 크고 작은 학습 공간을 만들고 학년 단위의 프로젝트 중심 수업을 실천할 것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create an innovative Korean school space plan. This was done by performing an analysis of cases of student-tailored class operations and the composition of school space in Sweden's Vittra Telefonplan School. To this end, the research team analyzed prior studies, the Vittra...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비트라 텔레폰플랜 학교(Vittra Telefonplan school)의 학교 공간 구성과 학생 맞춤형 수업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학교 공간 혁신을 위한 방안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찾아보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실 공간의 본질은? 상상력은 교도소 구조를 가진 기존의 교실의 틀을 벗어나지 않고는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교실 공간의 본질은 보는 것(감각), 인식하는 것(지각)이면서도 학생들이 살아가는 곳이다[5]. 학생들에게는 학교가 통해 학습만 하는 곳이 아니라 청소년 시절의 활동하는 시간 중 절반 이상의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생활’ 그 자체의 공간이라는 것이다.
학교 공간혁신이 필요한 이유는? 기존 공급자 중심의 획일적인 학교 공간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유연한 학교 공간으로 재구조화 해야 한다[2]고 강조하고 있다. 즉, 미래 사회를 주도할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교 수업을 실현할 수있어야 하고,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닌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 스타일에 맞춰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하며, 학생들의 놀이와 휴식을 포함하는 삶과 학습의 공간으로서 학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학교의 역할은 무엇인가? 또한, 학교는 미래교육에 대응하기 위한 학생 중심의 협동학습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곳이어야 하며, 학생 자신의 학습 스타일과 정서적 안정감을 갖고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학교 구석구석의 공간을 다양하고 유연하게 만들 필요가 있다. 지금 형태의 교실 벽을 없애고, 개인별 학습 공간, 모둠별 학습 공간, 다인수 학습 공간 등다양한 형태의 열린 공간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inistry of Education, General Theory of Primary and Secondary Curriculum of Education (Notice No. 2015-74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015. 

  2. Ministry of Education, Guidelines for School Space Innovation, Ministry of Education, 2019. 

  3. OECD, Analytic Framework for Case Study Collection: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s, 2019. 

  4. I. S. Park, Architecture Changes: All Issues on Home, City, and Job, Marty, Seoul, 2017. 

  5. S. H. Kim, New Imagination of Urban Architecture, Hyeonam-sa, Seoul, 2009. 

  6.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White Paper On ICT In Education Korea, Sungwoo Adcom, Daegu, 2017. 

  7. S. H. Park, H. S. Jeon, M. B. Lee, G. J. Jang, Y. E. Kim, Education Vision for the Future Curriculum, Instruction, and Evaluaiton in South Korea(II):Future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Korean Kindergarte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pp 204, 2017. 

  8. H. J. Kim, E. Y. Kim, E. S. Lee, B. G. Gye, E. H. Le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 School Establishment and Operation,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Daegu, pp. 372, 2017. 

  9. M. G. Lee, J. S. Hwang, S. H. Lee, E. J. Hu, S. J. Choi, Educational Innovation Outlook and Tasks -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de, Republic of Korea, 2017. 

  10. Martinez, M, "Key design considerations for Personalized Learning on the web",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Vol.4, No.1, pp26-40, 2001. 

  11. Kallick, B., & Zmuda, A, Students at the center: Personalized Learning with habits of mind. Alexandria,VA: ASCD, 2017. 

  12. Adams Becker, S., Freeman, A., Giesinger Hall, C., Cummins, M., & Yuhnke, B, NMC/CoSN horizon report: 2016 K-12 edition, Austin, TX: The New Media Consortium, pp32, 2016. 

  13. S. J. Hong, T. E. Kim, "The investigation of personalized learning strategies", Primary Education Research, Vol.23, No.2, pp309-334, 2010. 

  14. G. E. Lee, J. R. Gwon, S. C. Oh, A Study on the Customized Learning Support Plan in Classroom (I),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Seoul, 2008. 

  15. D. S. Lee, "The Essence and Critic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iating in Differentiated Instruction", Integrated Education Research, Vol.11, No.2, pp187-216, 2016. DOI: http://dx.doi.org/10.26592/ksie.2016.11.2.187 

  16. I. A. Kang, S. M. Jin, H. E. Bae,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LMS for Smart Learning Drawn from The Analysis of the Current Cases of LMS", Education Information Media Study, Vol,22, No.2, pp195-222, 2016. DOI : http://dx.doi.org/10.15833/KAFEIAM.22.2.195 

  17. S. Y. Kim, "A Study on the Concept and Personality of Learner-led Customized Learning-Focused on American School Cases", Education Curriculum Research, Vol.36, No.3, 2018. 

  18. M. R. Jang, J. I. Jo, H. G. Choi, S. C. Park, S. M. Lee, Study on the Re-structuralization of School Space for the Operation of Students-Focused on the Case Study of the Field,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pp.14, 39-146, 2017. 

  19. B. G. Gye, E. H. Lee, M. S. Oh, Guidelines for designing future school, pp11-157,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011. 

  20. Fisher Kenn, Linking Pedagogy and Spac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Knowledge & Skills, Department of Education and Training, pp.2, 10, 34, 2005. https://www.education.vic.gov.au/documents/school/ principals/infrastructure/pedagogyspace.pdf. 

  21. Nair Prakash, Blueprint for Tomorrow-Redesigning Schools for Student Centered Learning, pp.68, Cambridge, MA: Harvard Education Press, 2014. 

  22. H. Y. Park,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pp.163-173, Chonbuk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Culture Center, Chonju, 2017. 

  23.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NCIC(National Curriculum Information Center),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8. http://ncic.go.kr/mobile.wdi.map.do (accessed Sep. 4, 2019) 

  24. Vittra Telephonplan School Homepage, https://vittra.se/telefonplan/ (accessed May. 14, 2019) 

  25. Rosanbosch Studio Homepage, 2011, https://rosanbosch.com/en/project/vittra-school-telefonplan (accessed May. 14, 2019) 

  26. EBS News 2018. 01. 31, http://news.ebs.co.kr/ebsnews/allView/10827003/H (accessed May. 18, 2019) 

  27. Bogyeong Gye, Eunhwan Lee, Myeongseon Oh, Guidelines for designing future school, pp11-157,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016. 

  28. I. C. Kang, H. S. Kim, U. Y. Um, H. J. Choi, U-School : Its possibilities & Limitations, pp. 5-6,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eoul, 2007. 

  29. J. E. Lee, A Study on the flexible space planning of elementary school corresponding to the future society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open classroom related space in existing school,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The University of Seoul, 20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