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질병지각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A Systematic Review of Illness Perceptions Using the IPQ-R or BIPQ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10, 2019년, pp.432 - 441  

김혜진 ,  변진이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질병지각 연구의 동향을 알아보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로서 질병지각 연구의 특성을 확인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2019년 5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10편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포함된 논문 모두 상관관계 조사연구로, 평균 대상자 수는 175명이었으며, 혈액투석, 폐결핵, 암 등의 질병을 대상으로 하였다. 질병지각 측정 도구로는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Revised (IPQ-R)를 사용한 연구가 3편(30%), Brief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 (BIPQ)를 사용한 연구가 7편(70%)이었고, BIPQ를 사용한 연구는 모두 총점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질병지각을 분석하였다. 질병지각과 관련된 요인으로는 우울, 삶의 질, 자가관리, 사회적 지지 등이 연구되었으며, 그 중 사회적 지지가 가장 높은 빈도로 대상자의 질병지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후 다양한 질병군을 대상으로 질병지각 개별 영역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질병지각을 고려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systematically reviewed the studies administering the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Revised (IPQ-R) or the Brief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 (BIPQ) in South Korea. Following the PRISMA guidelines, a literature search of 4 electronic databases was conducted, yielding 10 relevant articles.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질병지각 및 질병지각과 관련된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된 체계적 문헌 고찰이다. 분석에 포함된 논문 모두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연구의 목적에 따라 IPQ-R 또는 BIPQ 의 총점 또는 하위영역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질병지각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질병지각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함으로써 질병지각 연구의 특성을 확인하고, 질병지각과 관련된 요인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질병지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므로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문헌고찰을 통하여 국내 질병지각 연구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질병지각 및 질병지각과 관련된 요인 연구를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 질병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 인식, 즉 질병지각에 따라 개인의 대처전략 및 건강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28], 국내 질병지각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상자의 질병지각 및 질병지각과 관련된 요인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국외에서는 IPQ[29]가 개발된 1996년을 시작으로 개인의 질병지각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었으며, IPQ의 개정판인 IPQ-R[3]과 축약 버전인 BIPQ[2]가 차례로 개발되면서 질병지각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의 질병지각이란 무엇인가? 효과적인 질병 치료 및 관리를 위한 중재 개발에 있어서 환자의 치료이행 및 자가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은 중요하다. 여러 요인 중에서, 개인의 질병지각(illness perceptions; 질병에 대한 의학적 진단이나 질병과 관련된 신체적 증상을 경험했을 때 형성되는 개인 특유의 믿음이나 생각)이 추후 개인의 대처전략 및 건강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1]으로 주목받고 있다. 자기조절이론[1](Common Sense Model [CSM] of Self-Regulation)이란 질병지각, 즉 질병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인 믿음을 이해하기 위해 개발된 이론으로, 개인을 질병관리 및 증상조절의 적극적인 문제해결자로 설명하고 있다.
질병지각의 구성은? 질병지각은 크게 다섯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질병에 대한 증상(identity), 질병으로 인한 추후 영향(consequences; 질병이 본인이나 가족에게 미칠 영향), 질병의 원인(cause), 질병의 급/만성 시간특성(timeline; acute or chronic), 그리고 질병 조절(cure/control) 영역이다. 추후, 질병에 대한 주관적 이해(coherence), 감정표상(emotional representations; 질병과 관련된 불안 등의 부정적 감정) 및 염려(concerns)영역이 추가되었다[2]. 이중 시간특성(timeline) 영역은 질병이 호전과 악화를 반복한다고 생각하는지 측정하는 순환적 시간특성(timeline; cyclic)이 추가되었고[3], 질병조절(control)영역은 개인 조절(personal control)과 치료 조절(treatment control) 영역으로 세분화 되었다[3].
개인의 질병지각의 순기능은 무엇인가? 자기조절이론에 따르면 개인의 질병지각에 따라 질병에 대한 대처전략이 달라질 수 있으며, 나아가 질병상태 개선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자기조절이론 기반의 질병지각은 여러 질병군을 대상으로 연구되었으며, 특히 고혈압[4][5], 당뇨[6], 우울증[7], 조현병[8],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9] 등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수행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H. Leventhal, L. Brissette, and E. A. Leventhal, "The Common-Sense Model of self regulation of health and illness," In L. D. Cameron and H. Leventhal (Eds.), The self-regulation of health and illness behavior, London: Routledge, 2003. 

  2. E. Broadbent, K. J. Petrie, M. J. Main, and J. Weinman, "The brief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 J.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60, No.6, pp.631-637, 2006. 

  3. R. Moss-Morris, J. Weinman, K. J. Petrie, R. Horne, L. Cameron, and D. Buick, "The revised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 (IPQ-R)," Psychology and Health, Vol.17, No.1, pp.1-16, 2002. 

  4. S. L. Chen, J. C. Tsai, and K. R. Chou, "Illness perceptions and adherence to therapeutic regimens among patients with hypertension: A structural modeling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48, No.2, pp.235-245, 2011. 

  5. D. T. Stallings, "Illness perceptions and health behaviors of Black Women," J. of Cardiovascular Nursing, Vol.31, No.6, pp.492-499, 2016. 

  6. R. Al-Amer, L. Ramjan, P. Glew, S. Randall, and Y. Salamonson, "Self-efficacy, depression, and self-care activities in adult Jordanians with type 2 diabetes: The role of illness perception,"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Vol.37, No.10, pp.744-755, 2016. 

  7. C. Brown, J. Dunbar-Jacob, D. R. Palenchar, K. J. Kelleher, R. D. Bruehlman, S. Sereika, and M. E. Thase, "Primary care patients' personal illness models for depression: A preliminary investigation," Family Practice, Vol.18, No.3, pp.314-320, 2001. 

  8. S. Hussain, N. Imran, U. A. Hotiana, N. Mazhar, and A. Asif, "Illness perceptions in patients of schizophrenia: A preliminary investigation from Lahore, Pakistan," Pakinson Journal of Medical Sciences, Vol.33, No.4, pp.829-834, 2017. 

  9. J. H. Lingler, L. Terhorst, R. Schulz, A. Gentry, and O. Lopez, "Dyadic analysis of illness perceptions among person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their family members," Gerontologist, Vol.56, No.5, pp.886-895, 2016. 

  10. M. S. Hagger and S. Orbell,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common-sense model of illness representations," Psychology and Health, Vol.18, No.2, pp.141-184, 2003. 

  11. T. Baines and A. Wittkowski,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exploring illness perceptions in mental health utilising the self-regulation model," J. of Clinical Psychology in Medical Settings, Vol.20, pp.263-274, 2013. 

  12. E. Broadbent, C. Wilkes, H. Koschwanez, J. Weinman, S. Norton, and K. J. Petri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Brief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 Psychology and Health, Vol.30, No.11, pp.1361-1385, 2015. 

  13. M. S. Hagger, S. Koch, N. L. D. Chatzisarantis, and S. Orbell, "The common-sense model of self-regulation: Meta-analysis and test of a process model," Psychology Bulletin, Vol.143, No.11, pp.1117-1154, 2017. 

  14. D. Moher, A. Liberati, J. Tetzlaff, and D. G. Altman,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Annals of Internal Medicine, Vol.151, No.4, pp.264-269, 2009. 

  15. 차지은, 이명선, "혈액투석 환자의 치료에 대한 믿음, 질병 통제감과 우울 건강 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성인간호학회지, 제26권, 제6호, pp.693-702, 2014. 

  16. 차지은, "혈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 구조모형," 한국간호과학회, 제47권, 제1호, pp.14-24, 2017. 

  17. The Joanna Briggs Institute, The Joanna Briggs Institute critical appraisal tools for use in JBI systematic review, Joanna Briggs Institute, 2017. 

  18. 김시숙, 류은정, "혈액투석 환자의 우울과 삶의 질에서 질병인식의 통제효과," 기초간호자연과학회, 제20권, 제4호, pp.221-227, 2018. 

  19. 성연실, 이영휘, "폐결핵 환자의 질병지각,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 행위와의 관계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제23권, 제1호, pp.31-39, 2011. 

  20. 김남희, "폐결핵 환자의 질병지각, 자기효능감과 환자역할행위 이행과의 관계,"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6권, 제8호, pp.105-114, 2016. 

  21. 이선희, 정복례, "진행암 환자의 통증강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제19권, 제1호, pp.506-516, 2018. 

  22. 이선영, 김현경, "갑상선암 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구조모형," 성인간호학회지, 제30권, 제2호, pp.171-182, 2018. 

  23. 전미경, 박연환,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관리 구조모형," 한국간호과학회, 제47권, 제5호, pp.663-675, 2017. 

  24. 남호희, 강윤희,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임상간호연구, 제23권, 제2호, pp.161-169, 2017. 

  25. 신나연, 장유하, 강윤희, "성인 선천성 심장질환자들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 질병인식과 불안간의 관계," 한국간호과학회, 제47권, 제2호, pp.178-187, 2017. 

  26. 염정희, 신용순, "퇴원을 앞둔 노인 환자의 사회적 지지와 질병지각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제29권, 제3호, pp.246-255, 2017. 

  27. J. Min, Y. Chang, K. M. Lee, K. H. Choe, and J. Y. An, "Transcultural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rief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 for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J. of Global Infectious Diseases. Vol.9, No.3, pp.113-116, 2017. 

  28. H. Leventhal, L. A. Philips, and E. Burns, "The common-Sense Model of Self-Regulation (CSM): a dynamic framework for understanding illness self-management," J. of Behavioral Medicine, Vol.39, No.6, pp.935-946, 2016. 

  29. J. Weinman, K. J. Petrie, R. Moss-Morris, and R. Horne, "The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 A new method for assessing the cognitive representation of illness," Psychology and Health, Vol.11, No.3, pp.431-445, 1996. 

  30. J. M. Hallegraeff, C. P. van der Schans, W. P. Krijnen, and M. H. de Greef, "Measurement of acute nonspecific low back pain perception in primary care physical therap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brief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Vol.14, No.1, p.53, 2013. 

  31. C. C. Cherrington, D. K. Moser, T. A. Lennie, and C. W. Kennedy, "Illness representation after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mpact on in-hospital recovery,"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Vol.13, No.2, pp.136-145, 2004. 

  32. A. A. Alharbi, R. M. Alraddadi, A. A. Alharbi, and Y. A. Alharbi, "Comparison of Saudi Arabian hemodialysis and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illness perceptions," Renal Failure, Vol.39, No.1, pp.187-192, 2017. 

  33. R. Hou, V. Cleak, and R. Peveler, "Do treatment and illness beliefs influence adherence to medication in patients with bipolar affective disorder? A preliminary cross-sectional study," European Psychiatry, Vol.25, No.4, pp.216-219, 2010. 

  34. T. Baines and A. Wittkowski,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exploring illness perceptions in mental health utilising the self-regulation model," J. of Clinical Psychology Medical Settings, Vol.20, No.3, pp.263-274, 2013. 

  35. A. Tasmoc, S. Hogas, and A. Covic, "A longitudinal study on illness perceptions in hemodialysis patients: changes over time," Archives of Medical Science, Vol.9, No.5, pp.831-836, 2013. 

  36. M. Choi, S. Yoon, and J. O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 (K-IPQ)," The Offici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n Communication in Healthcare, Vol.11, No.2, pp.123-143, 201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