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혈액투석환자의 질병지각과 생리적 지표가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Illness Perception and Physiological Indicators on Self Management of Hemodialysis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4, 2020년, pp.464 - 474  

강보미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이윤신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석소현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질병지각, 생리적지표, 자기관리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서 혈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를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중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소재 대학병원의 혈액투석환자 134명이다. 자료수집은 자가보고실설문지와 의무기록조회를 통해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와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헐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8개 변수가 확인되었다. 신장이식 대기등록 여부(β=-.20, p<.05)와 질병지각의 하위항목 중 결과(β=-.20, p=.031), 치료통제감(β=.19, p=.040), 이해도(β=-.18, p=.049), 생리적 지표 중 헤마토크릿(β=.38, p<.001), 헤모글로빈(β=.29, p=.005), 혈중요소질소(β=-.25, p=.010), 혈중 인(β=.22, p=.033)의 8가지 변수로 확인되었다. 이 요인들의 혈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에 대한 설명력은 26.3%였다. 이에 혈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생리적지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치료통제감을 높이는 질병지각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to increase self management of hemodialysis patients by identifying the relation among their illness perception, physiological indicators, and self management. The participants were 134 patients receiving hemodialysis at a general hospital in S...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생리적 지표는 치료준수에 대한 객관적 지표로써 의미가 있는바 이 둘의 관계는 본 연구의 자기관리 도구로만 정확한 관계를 밝히는데 한계가 있었을 것으로 추후 관계 확인을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 증진을 위한 중재전략을 세우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서울 소재 일개 대학병원 환자만을 대상으로 편의표집한 연구이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질병지각, 생리적 지표, 자기관리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질병지각, 생리적 지표와 자기관리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혈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질병지각, 생리적 지표와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혈액투석환자의 능동적인 자기관리를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대한신장학회등록위원회, 우리나라 신대체요법의 현황, 대한신장학회, 2018. 

  2. 장형숙, 이창숙, 양영희, "혈액투석환자의 불확실성과 불확실성 평가가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제45권, 제2호, pp.271-279, 2015. 

  3. C. P. Chiou and Y. C. Chung, "Effectiveness of multimedia interactive patient education on knowledge, uncertainty and decision­making in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21, No.9-10, pp.1223-1231, 2012. 

  4. 윤은자, 전미영, 서미정, "혈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에 대한 주관성," 주관성연구, 제45호, pp.23-43, 2019. 

  5. http://www.who.int/chp/knowledge/publications/adherence_report/en/ 2019.06.11. 

  6. S. C. Smeltzer, B. G. Bare, J. L. Hinkle, and K. H. Cheever, Brunner and Suddarth's textbook of medical surgical nursing, 12th ed., I. S. Kang, J. H. Kang, J. Y. Kang, K. N. Kwon, B. E. Kwon, and K. M. Kim, et al., translator,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9 

  7. 차지은, "혈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 구조모형," 대한간호학회지, 제47권, 제1호, pp.14-24, 2017. 

  8. 송미령, 김매자, 이명은, 이인범, 서미례, "혈액투석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29권, 제3호, pp.563-575, 1999. 

  9. 최진화, 혈액투석환자의 질병지각과 환자역할행위이행의 관계,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0. 조영문, 성기월, "혈액투석환자의 역할행위이행과 기본심리욕구 만족과의 관련성,"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제12권, 제1호, pp.58-65, 2012. 

  11. 박지숙, 임혜빈, 오현수, 이현숙, 이수연, "혈액투석환자의 지식과 교육요구도, 자가-관리 방침 순응과의 일치도 및 자가-관리 방침 순응의 영향요인분석," 한국재활간호학회, 제14권, 제1호, pp.39-46, 2011. 

  12. 차지은, 강지영, "한국어판 혈액투석환자의 자기관리측정도구(HDSMI-K)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42권, 제2호, pp.153-161, 2017. 

  13. H. Leventhal, E. A. Leventhal, and R. J. Contrada, "Self-regulation, health, and behavior: Aperceptual-cognitive approach," Journal Psychology & Health, Vol.13, No.4, pp.171-733, 1998. 

  14. E. D. Hale, G. J. Treharne, and G. G. Kitas, "Qualitative methodologies I: asking research questions with reflexive insight," Musculoskeletal Care, Vol.5, pp.139-147, 2007. 

  15. Y. Kim and L. S. Evangelista, "Relationship between illness perceptions, treatment adherence, and clinical outcomes in patients on maintenance hemodialysis," Nephrology Nursing Journal, Vol.37, No.3, pp.271-281, 2010. 

  16. National Kidney Foundation, "KDOQI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hemodialysis adequacy : 2015 Update," American Journal of Kidney Disease, Vol.66, No.5, pp.884-930, 2015. 

  17. 조영제, 신영희, "혈액투석환자의 우울, 자가간호이행 및 생리적지표의 관계," 계명간호과학회지, 제15권, 제1호, pp.115-122, 2011. 

  18. S. J. Lee and J. H. Jeon, "Symptoms and self-management of chronic kidney patients before hemodialysis," Paper presented at Adult Nursing Association Conference 2014, Seoul, 2014. 

  19. 최은영, 박경숙, 이현숙, "혈액투석환자의 자가간호수행 영향요인: 불쾌증상이론을 기반으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10권, 제6호, pp.381-391, 2019. 

  20. 장연화, 오효숙, 장금성, "혈액투석환자의 인지기능에 따른 자가간호 행위와 생리적 지표,"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6권, 제2호, pp.57-69, 2012. 

  21. 성연실, 이영휘, "폐결핵 환자의 질병지각, 자기효능감과 자가간호 행위와의 관계연구," 성인간호학회지, 제23권, 제1호, pp.31-39, 2011. 

  22. 김인자, 이은옥,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증상에 따른 지각된 질병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제16권, 제2호, pp.288-296, 2004. 

  23. 차지은, 이명선, "혈액투석 환자의 치료에 대한 믿음, 질병 통제감과 우울, 건강 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성인간호학회지, 제26권, 제6호, pp.693-702, 2014. 

  24. J. Chilcot, "The Importance of illness perception in end-stage renal disease: associations with psychosocial and clinical outcomes: importance of illness perception in ESRD," Seminars in Dialysis, Vol.25, No.1, pp.59-64, 2012. 

  25. A. Tasmoc, S. Hogas, and A. Covic, "A longitudinal study on illness perceptions in hemodialysis patients: changes over time," Archives of medical science, Vol.9, No.5, pp.831-836, 2013. 

  26. Y. C. Song and C. C. Lin,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new hemodialysis self-management instrument (HD-SMI)," Journal of Nursing and Healthcare Research, Vol.51, No.9, pp.51-59, 2009. 

  27. R. Moss-Morris, J. Weinman, K. Petrie, R. Horne, L. Cameron, and D. Buick, "The revised Illness Perception Questionnaire(IPQ-R)," Psychology and health, Vol.17, No.1, pp.1-16, 2002. 

  28. 최민경, 윤상석, 오지향, "한국판 질병지각검사(K-IPQ)의 개발 및 타당화,"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제11권, 제2호, pp.123-143, 2016. 

  29. K. Havas, A. Bonner, and C. Douglas, "Self-management support for people with chronic kidney disease: patient perspectives," Journal of Renal Care, Vol.42, No.1, pp.7-14, 2016. 

  30. M. Heisler, S. Vijan, R. M. Anderson, P. A. Ubel, S. J. Bernstein, and T. P. Hofer, "When do patients and their physicians agree on diabetes treatment goals and strategies, and what difference does it make?,"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Vol.18, No.11, pp.893-902,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