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의 금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redictors of Intention to Quit Smoking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3 no.2, 2019년, pp.107 - 119  

윤경순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  조숙희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intention to quit smoking in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ACS). Methods: A total of 192 ACS patients hospitalized for an angiogram during symptom management were conveniently recruited from a university hosp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의 금연의도와 관련된 심리적 변인인 우울, 스트레스, 금연관 련 자기효능감 및 금연관련 가족지지의 수준을 파악하고 금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음주 유무, 금연교육 경험 유무, 우울과 금연관련 자기효능감이 금연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음주를 하는 경우, 금연교육 경험이 없는 경우, 우울 수준이 높을수록, 금연관련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금연의도 위험비가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이란 무엇인가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ute coronary syndrome)은 심장 주위를 왕관처럼 둘러싸고 심장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혈관인 관상 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심장의 혈액공급이 부족해지면서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키는 심장질환을 통칭하며, 심전도상 ST분절의 상승을 동반한 급성 심근경색증(Q파 급성심근경색증)과 ST분절의 상승을 동반하지 않는 급성 심근경색증(비Q파 급성심 근경색증), 그리고 불안정 협심증, 이 세 가지 질환을 지칭하는 것이다[1]. 사회, 경제 및 의학의 급진적인 발달에도 불구하고 심혈관질환은 암에 이어 국내 주요 사망 질환의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면 2016년도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인구는 인구 10만 명당 58.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주요 위험요인은 무엇인가 흡연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여러 질환과 조기 사망에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잘 알려진 주요 위험요인은 연령, 가족력, 흡연, 신체적 비활동, 음주, 이상지질 혈증, 고혈압, 당뇨 중 특히 흡연은 인구집단기여 위험도(populatuin and attributaled risk, PAR)가 22~42% 정도로 가장 높고 개선이 가능한 위험요 인이다. 또한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들의 장기적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도 금연, 스트레스 관리를 높이기 위한 노력은 필수적이다[3].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게 흡연이 위험한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후 1년간 임상결과를 추적 조사 한 결과 사망률이 흡연을 지속하였을 경우 금연을 했을 경우보다 유의하게 높아지므로 급성관상동맥 증후군 흡연자들에게 자발적으로 금연의도를 파악 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5]. 흡연은 혈관 내피 세포에서 분비되는 이완물질을 감소시킴으로써 혈관수축을 초래하고 관상동맥 재혈전을 형성시켜 가슴통증을 유발하고, 혈중 카테콜라민의 분비촉진, 혈압이나 맥박 증가 등의 전신 혈류역학적인 역작용을 유발하며 혈중 일산화탄소를 증가시켜 심장기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에 있어 금연은 급성관상동맥증후군의 일차 예방뿐 아니라 발병 후 재발과 사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약물 치료와 더불어 금연이 필수적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V. Fuster, L. Badimon, J.J. Badimon, J.H. Chesebro(1992), The pathogenesis of coronary artery disease and the acute coronary syndromes (Part I),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326(4);242-250. 

  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ystem. (2017),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 

  3. B. Pavy, R. Barbet, F. Carre, C. Champion, M.C. Iliou, P. Jourdain, Y. Juilliere, C. Monpere , R. Brion(2013), Therapeutic education in coronary heart disease: position paper from the working group of exercise rehabilitation and sport (GERS) and the therapeutic education commission of the French society of cardiology, Archives of Cardiovascular Disease, Vol.106(12);680-689. https://doi.org/10.1016/j.acvd.2013.10.002 

  4. H.Y. Kook, M.H. Jeong, S. Oh, S.H. Yoo, E.J. Kim, Y. Ahn, J.H. Kim, L.S. Chai, Y.J. Kim, C.J. Kim, M. Chan. Cho(2014), Current trend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Korea (from the Korea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egistry from 2006 to 2013),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Vol.114(12);1817-1822. https://doi.org/10.1016/j.amjcard.2014.09.019 

  5. S.Y. Seol, S.J. Lee, M.H. Jeong, J.A. Rhee, J.S. Choi, S.H. Hwang, J.S. Ko, M.G. Lee, D.S. Sim, K.H. Park, N.S. Yoon, H.J. Yoon, K.H. Kim, Y.J. Hong, L.H. Kim, Y. Ahn, J.G. Cho, J.C. Park, J.C. Kang(2011), Clinical outcomes of persistent smoking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Vol.80(5);562-570. 

  6. C.C. DiClemente, J.O. Prochaska, S.K. Fairhurst, W.F. Velicer, M.M. Velasquez, J.S. Rossi (1991), The process of smoking cessation: an analysis of precontemplation, contemplation, and preparation stages of chang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59(2);295-304. 

  7. D.H. Kim, Y.S. Suh(2009), Smoking as a diseas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0(7);494-502. http://dx.doi.org/10.4082/kjfm.2009.30.7.494 

  8. E. Park, M.D. Kim, Y.J. Son, H.J. Song, S.C. Hong(2009),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related factors among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Community Health Nursing, Vol.20(3);277-284. 

  9. A. Bandura(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0. C.E. McGee, J. Trigwell, S.J Fairclough, R.C. Murphy, L. Porcellato, M. Ussher, L. Foweather(2016), Effect of a sport-for-health intervention (smoke free sports) on smoking-related intentions and cognitions among 9-10 year old primary school children: a controlled trial, BioMed Central Public Health, Vol.16;445. https://doi.org/10.1186/s12889-016-3048-3 

  11. K.S. Yun, S.H. Cho(2017), Effects of the smoking cessation self-efficacy improvement program on smoking patients after acute coronary syndrom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ol.24(1);37-46. https://doi.org/10.5953/JMJH.2017.24.1.37 

  12. H.M. Sung, J.B. Kim, Y.N., Park. D.S. Bai, S.H. Lee, H.N. Ahn(2008),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BDI-II).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Vol.14(2);201-212. 

  13. K.B. Koh, J.K. Park(2000),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scale.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ol.8(2);201-211. 

  14. M.C. Willemsen, H.D. Cries, G.V. Breukelen, B. Oldenburg(1996), Determinants of intention to quit smoking among Dutch employees : the influence of the social environment. Preventive Medicine, Vol.25;195-202. 

  15. H.O. Kim(2003), A study on the smoking related social influence, refusal skill and nonsmoking related self-efficacy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Vol.9(3);237-249. 

  16. S. Cohen, E. Lichenstein(1990), Partner behavior that support quitting smoking, Journal of Consul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58(3);304-309. 

  17. E.K. Kim(2002), Smoking-cessation model for male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8(1);61-71. 

  18. C.M., Kim H.M. Son(2005), A study on taxi drivers' smoking behavior, self-efficacy and expectation level of success in smoking cess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16(4);517-526. 

  19. S.R. Shin, P.O. Oh, H.K. Youn, S.H. Shin(2014), Effect of School-based Peer Leader Centered Smoking Preven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4(6);649-659. https://doi.org/10.4040/jkan.2014.44.6.649 

  20. N.J. Kim, H.S. Hong(2016), Influence of stress, self-efficacy for smoking cessation, smoking temptation and nicotine dependency in male college students who smok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18(1);1-8. http://dx.doi.org/10.7586/jkbns.2016.18.1.1 

  21. R.B. Kim, K.S. Park, J.H. Lee, B.J. Kim, J.H. Chun(2011),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symptom and the influence of depression symptom on self-rated health status, outpatient health service utilization and quality of life, Korean Journal of Eduction and Health Promotion, Vol.28(1);81-92. 

  22. J.W. Yeon, H.S. Kim, K.S. Lee, S.H. Chang, H.J. Choi, E.M. Ham, J.P. Myong(2012), Factors affecting preparation stage to quit smoking in 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2(3);377-384. http://dx.doi.org/10.4040/jkan.2012.42.3.377 

  23. S.S. Ahn, C.S. Kim, S.H. Choi(2012), Influence of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coping aspect upon smoking desire of undergraduates, according to their lifestyl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1);205-218. 

  24. K.S. Cho(2013), Prevalence of hardcore smoking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3(1):603-628. https://doi.org/10.15709/hswr.2013.33.1.603 

  25. S. Wang, G.S. Ungvari, B.P. Forester, H.F.K. Y. Chiu, Wu, C. Kou, Y. Fu, Y. Qi, Y. Liu, Y. Tao, Y. Yu, B. Li, Y.T. Xiang(2017), Gender differences in general mental health, smoking, drinking and chronic diseases in older adults in Jilin province, China, Journal of Psychiatry research, Vol.251;58-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