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부모로서 연구자의 초등 자녀 수학지도에 대한 사례 연구: 초등 5학년 도형의 넓이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Teaching Mathematics Carried by a Researcher as a Parent of One Elementary School Child - Focused on the area of figures in the 5th grade -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2 no.4, 2019년, pp.261 - 280  

손병임 (단국대학교) ,  고상숙 (단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부모와 자녀 간 수학학습 지도 사례에 대한 질적 연구로, 초등학교 5학년 자녀에게 교구 활동 중심수업을 적용하면서 자녀의 넓이 개념의 습득과정과 어려움을 느끼는 문제 유형, 그리고 부모와 자녀의 학습 상황에서 부모가 겪는 장점과 어려움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12차시 지도안을 구성하여 2019년 1학기에 수업을 진행하면서 관찰과 면담을 통해 자료 수집을 하였다. 아이는 수업을 통해 넓이 개념을 정확하게 인식하게 되었는데, 보존 중 재구성에 대한 인식이 생겼으며, 분할, 단위 반복, 배열 구성에 대한 개념도 더 명확하게 인식하였다. 넓이 수업 과정 중 넓이 단위 간 변환, 높이가 외부에 표시되는 도형의 높이 표시, 넓이를 제시한 후 같은 넓이를 가진 도형 그리기 유형의 문제에서 어려움을 보였다. 부모와 자녀의 학습 상황에서 연구자인 부모는 자녀에 대한 맞춤 수업이 가능하고 기회와 비용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졌으나 자녀에 대한 감정 제어와 자녀의 수준 파악, 수업 시간 배분, 개입 수준을 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부모와 자녀 간 활동 중심의 수학 학습 지도와 관련하여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on the case of teaching mathematic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12 lesson units were applied to the 5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 for the first semester, 20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nceptual understanding in the area, the types of problem...

Keyword

표/그림 (19)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늘날 수학교과가 중요한 배경적 이유는 무엇인가? 세상에는 수학이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우리는 그러한 세상 속에서 수학과 접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일상용품이 되어버린 휴대폰을 비롯해, 수시로 확인하는 일기 예보와 미세먼지 예보, 길을 알려주는 내비게이션 등에도 수학이 사용되고 있다. 수학은 과학과 기술 분야에서의 연구에도 없어서는 안 될 학문이며, 많은 나라에서 입시의 중요 과목이기도 하다. 윤성민(2017)은 ‘4차 산업혁명은 수학혁명이다’라는 기사를 통해, 4차 산업시대에서 수학의 중요성을 언급하기도하였다.
교구란? 교구는 일반적으로 3차원 형태의 도구를 의미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학습을 위해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자료’로 정의하여 색종이 등을 포함하고자 한다.
요즘 초등학생울 두고 있는 부모가, 학교생활을 시작한 자녀에게 특별한 관심과 애정을 가지게 된 배경은? 요즘 한 자녀를 두는 가정이 증가하면서 초등학생을 두고 있는 부모는 학교생활을 시작한 자녀에게 특별한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초등학교 수학은 부모가 조금의 노력을 기울이면, 본인의 자녀를 충분히 지도할 수 있는 내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hoi-Koh (1999). Exploring Area of Polygons Using Computer Dot Board.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3(2), 103-107. 

  2. Choi-Koh, S. & Ko, H. (2001). The Attitude of the Researchers in Qualitative Method. Communications of Mathematics Education, 12, 423-450. 

  3. Choi-Koh, S, & Lee, Y. (2005). Conceptual Understanding of Functions through a Graphing Calculator. The Journal of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8(2), 203-222. 

  4.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Mathematics Curriculum, The Ministry of Eduction. 

  5. Ministry of Education (2019). Supplementary Book for Teachers of Math 5-1. Seoul: Cheonjae Gyoyuk. 

  6. Kim, S. (2003). The problem of mensuration of parallelogram raised by Wertheimer and alternative strategie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3(4), 485-493. 

  7. Kim, S. (2008). Review of Six Stages Theory of Learning Mathematics Suggested by Zoltan Dienes. School Mathematics, 10(3), 339-355. 

  8. Kim, W., Lee, D., & Whang, W. (2017). A Study on Elementary Students’ Informal Knowledge of the Area Concept and Measurement. Korean Education Enquiry, 35(2), 53-87. 

  9. Kim, H. (2009). A Study on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through play activities based on Dienes' Mathematics Educational theory. Thesis, Dankook University. 

  10. Na, G. (2012). Examining Students' Conceptions about the Area of Geometric Figure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6 (3), 451-469. 

  11. Park, E., & Paik, S. (2010). Epistemological Obstacles in the Learning of Area in Plane Figure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0(3), 305-322. 

  12. Sun, J. (201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lay Learning-based Programming Instruction Model :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ourth to Sixth Grade. Thesis, Yonsei University. 

  13. Oh, Y. (2010). Rethinking about Teaching Area Measurement in the Elementary Grades-Focused o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of Mathematics.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1(1), 233-245. 

  14. Lee, B., Kim, D., & Jeon, Y. (2010). Causes of anger experienced by PE teaching and coping strategies.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17(3), 115-133. 

  15. Lee, Y. & Kim, K. (2013). The Effects of Mother and Father’s Parenting Self-Efficacy on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Supports of Learning.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8(4), 549-565. 

  16. Lee, J. (2016). Development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Anger Control Ability of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Korea Contents Society, 16(5), 668-685. 

  17. Lee, C., Joo, H. & Choi-Koh, S. (2014). Finding the Way of Unifying the Theory and the Practice in Mathematics Education: Focused on Cobb's. School Mathematics, 16(4), 709-726. 

  18. Lim, H. & Choi-Koh, S. (2016). A Study on Instrumentalization in van Hiele's Geometric Teaching Using GeoGebra. Communications of Mathematics Education, 30(4), 435-452. 

  19. Jeon, S. (2007). Anger-Thought and Anger Expression Modes of Parents who have Elementary Children.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 Jeong, M., & Yoon, K. (2015). The Effects of Parents' Anger Control Program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Theory : Focused on the Mothers of Adolescents. Journal of Parent Education, 7(3), 1-18. 

  21. Cha, H., & Kim, Y.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the Effect of Parents' Education Program on Teaching Math for Children. Journal of Parent Education, 10(2), 137-158. 

  22. Hwang, Y., Jang, H., & Kim, K. (2014). The effects of parental educational support on cognitive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 Education Research, 20(1), 93-122. 

  23. Whang, H., Na, G., Choi, S., Park, K., Lim, J. & Sea, D. (2016). The New Theory of Mathematics Education. Seoul: Moonumsa. 

  24. Noworry about Private Lessons (2015). "60% of Supoza (Students who give up doing math) in High School", Retrieved from https://data.noworry.kr/170 

  25. Yoon, S. (2017). "The Fourth Revolution is Mathematics Revolution", Retrieved from https://www.hankyung.com/opinion/article/2017021222681 

  26. Beesang (2016). "5-1.5 The Area of Polygons", Retrieved from http://www.visang.com/upload/contents/161ecoho/html/data/수학/5학년/단원%20평가-라이트/(2016)%20라이트%205-1_5.%20다각형의%20넓이.hwp 

  27. Mathematics Never Be Silly (2016).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for First Semester of the 5th Grade: The Area of Polygons and Problems for Assessment. Retrieved from https://fuman001.tistory.com/20 

  2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9). "The Investigation of 2018 Expense for Private Education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Retrieved from http://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73552 

  29. Baturo, A. & Nason, R (1996). Student teac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within the domain of area measurement.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1(3), 235-268. 

  30. Clements, D. H. & Stephan, M. (2004). Measurement in PreK-2 Mathematics. In D. H. Clements, J. Sarama Y A. M. DiBiase(Eds.), Engaging young children in mathematics: Standards for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1. Dienes, Z. P. (1960). Building Up Mathematics. London: Hunchinson Educational Ltd. 

  32. Hatch, J. A. (2002). Doing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Settings. 진영은 역(2008). 교육 상황에서 질적 연구 수행하기. 서울: 학지사. 

  33. Reynolds, A. & Wheatly, G. H. (1996). Elementary students' construction and coordination of units in an area sett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7(5), 564-581. 

  34. Vinner, S. (1983). Concept definition, concept image and the notion of fun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14(3), 293.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