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몽골 숨 톨고이 출토 지류 유물의 과학적 분석 및 보존처리
Scientific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n the Buddhist Scriptures of Paper Relics Excavated from Sum Tolgoi, Mongolia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7 no.6, 2021년, pp.723 - 737  

배수빈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양민정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권윤미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유지현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정희원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17세기 '숨 톨고이(Sum tolgoi)' 건축 유적지에서 출토된 지류 경전을 대상으로 재질의 성분 및 구조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존처리를 진행하였다. 경전은 흙먼지와 이물질이 많고 형태를 알 수 없을 정도로 뭉쳐 있는 상태로 훼손, 결실, 변색 등이 확인되었다. 티베트어로 쓰인 경전은 UV-Vis 분석 결과 쪽과 먹을 종이 바탕에 사용한 것으로, 고대 몽골어 경전은 흑색의 필사 재료가 먹으로 추정되었다. SEM-EDS와 Micro-XRF 분석 결과를 통해 연단(Pb3O4)과 진사(HgS) 혼합 또는 진사(HgS)로 적색 외곽선을 긋고 은니로 경전의 내용을 적었음이 확인되었다. 글씨의 은니는 칼슘과 함께 염화은(AgCl)이 확인되었으며, 황색선에서는 칼슘(Ca)과 석황(As2S3)이 확인되었다. 고대 몽골어 경전의 종이는 초본류 섬유와 인피섬유가 혼합된 특징을, 티베트어 경전은 인피섬유의 특징을 나타냈다. 방사성 탄소동위원소 연대측정 결과, 경전의 바탕으로 사용된 종이가 15-17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전의 보존처리는 출토된 종이의 형태 변형과 취약함으로 인한 2차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보강지(Pre-coated paper) 제작 및 보강 방법에 대한 실험을 바탕으로 진행하였으며, 처리 후 경전의 보관 및 앞·뒤로 기록된 경전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마운팅하고 중성지로 상자를 제작하였다. 이번 보존처리는 보존처리 가역성의 원칙에 따른 새로운 보존처리 재료와 방법을 적용한 연구 결과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materials with Buddhist paper scriptures excavated from architectural sites in 'Sum Tolgoi' of the 17th century and carried out conservation treatment base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scriptures were covered in dust and foreign sub stances,...

주제어

참고문헌 (15)

  1. Ahn, J.Y., Shin, H.Y., Son, M.K. and Song, J.W., 2015,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Conservation of Jocheonillgi (The Dairy of Jocheon) (Treasure No.1007),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1(3), 215-225. 

  2. Browning, B.L., 1977, Analysis of Paper. Marcel Dekker, New York, 51-53. (in English) 

  3. Cheon, J.H. and Kim, S,H., 2001, Conservation of paper cultural assets,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3, 21-27. 

  4. Cheon, J.H., 2014, The paper properties of documentation issued by king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Ph.D.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won, Y.M. and Lee, E.W., 2019, Spectrum characteristics of Indigo used in large buddhist paintings using UV - VIS spectrometry. Conservation Science Studies, 41(7), 83-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Lim, J.H. and Park, J.S., 2003, Analysis and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paper relics of the Seonwon temple a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12(1), 71-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Lee, E.W., Gyeong, Y,J., Yoon, J.H., Kwon, Y.M., Song, J.W., Seo, M.S. and Lee, J.J., 2019, Scientific study of characteristics and material properties of hanging painting of Eunhaesa templ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3(6), 431-4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Lee, J.J., Ahn, J.Y., Yoo, Y.M., Lee, K.M. and Han, M.S., 2017, Diagnosis of coloration status and scientific analysis for pigments to used large buddhist painting (Gwaebultaeng) in Tongdosa templ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3(6), 431-4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Lee, S.H., 2006, Identification of plant fibers designated on archives as the materials of Korean traditional paper (Hanji).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2017, Cultural heritage handing manual, 36. 

  11.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2018, Cultural heritage handing manual, 97. 

  12.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21, The completion of conservation treatment i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Korea for buddhist scriptures made of bark around the 17th century by request of Mongolia. https://www.nrich.go.kr/kor/boardView.do?menuIdx283&bbscd33&bbs_idx42424 (September 9, 2021) 

  13. Park, Y.S., 2007, A dictionary of color, Yelimbook, Seoul, 138. (in Korean) 

  14. Sokolowski, C., 2018, Mending paper with the lightest available Japanese tissue. Book & Paper Group Annual, 37, 165-167. 

  15. The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ccelerator (KIST), 2018, Measurement of radioactive carbon content using an acceleration mass spectrometer (AMS). https://blog.naver.com/PostList.naver?blogIdwclim1 (September 5, 202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