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천 사곡리 마애여래입상의 훼손도 진단과 보존처리
Deterioration Diagno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Jincheon Sagongnimaaeyeoraeipsang (Stone Relief of Standing Buddha in Sagok-ri), Korea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5 no.3, 2009년, pp.323 - 333  

김사덕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센터) ,  이명성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한병일 ((주)엔가드 문화재연구소) ,  이장존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송치영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진천 사곡리 마애여래입상은 신라말의 마애불 양식을 계승하여 고려시대에 성행한 거군의 마애불로 암석의 종류는 흑운모화강암이다. 이 마애불은 2007년도에 세정을 통하여 생물학적 손상에 대해 보존처리를 실시했으나, 마애불 전면에 걸쳐 크고 작은 불연속면이 발달하고 있어 구조적 불안정을 야기하고 있다. 또한 암반상부에 일조량을 방해하는 수목으로 인하여 습도가 높은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마애불이 조각된 암반의 구조적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마애불의 두상과 수인, 법의부분에서 쐐기파괴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애불에 발달한 불연속면의 보존처리는 먼저 절리면을 세정하고 에폭시수지(L-50)를 주입하여 내부를 완전히 충전하였다. 또한 티타늄봉의 삽입과 와이어로프를 설치하고 동종석분과 활석, 무기안료를 혼합한 에폭시수지(L-30)로 표면처리하여 이질감을 최소화하였다. 이 마애불의 균열 및 절리부위에는 균열측정기가 설치되어 모니터링과 함께 지속적인 보존관리가 수행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Jincheonsagongnimaaeyeoraeipsang is a great stone relief Buddha in Goryeo Dynasty, transmitting sculptural styles of the Silla Kingdom. The Buddha was carved on the biotite granite basement, and was undergone cleaning treatment in 2007. The basement rock was opened in plenty cracks bringing ou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주)엔가드 문화재연구소와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기술개발연구(R&D)사업의 지원을 받아 완성되었음을 명기하며, 각 기관의 행정, 기술 및 재정적 지원에 깊이 감사한다.
  • 또한 문화재의 다양한 정보를 분석 및 해석할 수 있으며, 연차적으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장기간 구조적인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는 자료로도 활용할 수 있다23,24. 이 연구에서는 마애불 암반의 3차원 영상자료에 구조적인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는 선구조 20여개를 표기하여 안정성을 분석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진천 사곡리 마애여래입상을 대상으로 구성암석의 재질특성을 밝히고, 풍화 및 훼손상태를 종합적으로 진단하였다. 또한 마애불이 조각된 암벽에 발달한 불규칙한 불연속면에 대해 구조적 안정성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마애불의 보존처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천 사곡리 마애여래입상은 언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는가? 이 마애여래입상은 충청북도 진천군 사곡리에 있는 마애불로 1982년 12월 17일에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24호로 지정되었다. 이 마애불은 바위 한 면을 다듬어 몸 전체를 감싸는 듯한 커다란 광배를 만들고 그 안에 불신을 양각하였다(Figure 1A).
편마암류는 암상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마애불이 위치한 사곡리 일대의 지질은 대체로 편마암류, 화강암류, 섬록암, 암맥류 및 충적층으로 구성된다. 편마암류는 암상에 따라 흑운모편마암과 안구상반상변정편마암으로 구분되며 이 지역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점유한다. 섬록암은 연구지역의 남부에 소규모로 분포한다.
진천 사곡리 마애여래입상은 무엇인가? 진천 사곡리 마애여래입상은 신라말의 마애불 양식을 계승하여 고려시대에 성행한 거군의 마애불로 암석의 종류는 흑운모화강암이다. 이 마애불은 2007년도에 세정을 통하여 생물학적 손상에 대해 보존처리를 실시했으나, 마애불 전면에 걸쳐 크고 작은 불연속면이 발달하고 있어 구조적 불안정을 야기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이찬희, 이명성, 서만철, "영주 가흥리 마애삼존불상의 풍화특성과 불연속면의 안정성 해석". 지질학회지, 41, p401-413, (2005). 

  2. 이찬희, 최석원, 서만철, 채상정, "구미 황상동 마애여래입상의 구조적 안정성, 풍화 및 보존방안". 보존과학회지, 9, p21-32, (2000). 

  3. 오선환, 서만철, "방어산 마애여래입상의 안전진단을 위한 지구물리탐사". 지구물리, 4, p11-20, (2001). 

  4. 최석원, 이찬희, 서만철, "산청 도전리 마애불상군의 산출 상태와 훼손 및 보존방안". 지질학회지, 37, p393-406, (2001). 

  5. 이찬희, 정연삼, 김지영, 이정은, "옥천 용암사 마애불의 거동특성 해석과 이차적 훼손". 보존과학회지, 17, p83-94, (2005). 

  6. 이선명, 이찬희, 최석원, 윤석봉, "서산 마애삼존불상의 훼손상태 및 불연속면의 거동특성". 보존과학회지, 19, p85-98, (2006). 

  7. 황상구, 남재국,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의 지질환경과 훼손원인". 자원환경, 40, p41-66, (2007) 

  8. 조영훈, 이찬희, 전성원, "남하리사지 마애불상군의 재질특성과 훼손도 평가". 지질학회지, 43, p501-515, (2007). 

  9. 황상구, 이상진, 김재호, "영주 신암리 마애삼존석불에 대한 지질환경과 훼손상태 및 원인". 암석학회지, 17, p95-107, (2008). 

  10. Lee, C.H., Lee, M.S., Kim, Y.T and Kim, J., "Deterioration assessment and conservation of heavily degraded Korean stone Buddha from the ninth century". Studies in Conservation, 51, p305-316, (2006). 

  11. 문화재청, "문화재 상세정보, 시도유형문화재 제124호 진천사곡리마애여래입상". http://www.ocp.go.kr (2009). 

  12. 강필종, 김원영, 이종혁, "진천도폭설명서(1:50,000)". 자원개발연구소, (1980). 

  13. Nesbitt, H.W. and Young, G.M., "Early Proterozoic climates and plate motions inferred from major element chemistry of lutites". Nature, 299, p715-717, (1982). 

  14. Nesbitt, H.W. and Young, G.M., "Prediction of some weathering trends of plutonic and volcanic rocks based on thermodynamic and kinetic consideration". Geochemica et Cosmochemica. Acta, 48, p1523-1534, (1984). 

  15. S. Ishihara, "Granitoid series and mineralization in the circum-pacific phanerozoic granitic belts". Resource Geology, 48, p219-224, (1998). 

  16. 양희제, 이찬희, 최석원, 이명성, "익산 미륵사지 석탑 구성부재의 암석학적 특징과 석재의 원산지 해석". 지질학회지, 42, p293-306, (2006). 

  17. 좌용주, 김건기, 고석배, 김종선, "감은사지삼층석탑(서탑)에 사용된 석재 공급지에 대한 연구". 암석학회지, 15, p128-138, (2006). 

  18. 이명성, 이정은, 표수희, 송치영, 이찬희, "논산 관촉사 석등의 훼손도 진단 및 기원암의 성인적 해석". 보존과학회지, 17, p5-18, (2005). 

  19. 이찬희, 김영택, 이명성,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구성암석의 원산지 추정". 지질학회지, 43, p183-196, (2007). 

  20. Uchida, E., Ogawa, Y., and Nakagawa, T., "The stone materials of the Angkor monuments, Cambodia : the magnetic susceptibility and the orientation of the bedding along of the sandstone". Journal of Mineralogy, Petrology and Economic Geology, 93, p411-426, (1998). 

  21. Uchida, E., Ogawa, Y., Maeda, N. and Nakagawa, T., "Deterioration of stone materials in the Angkor monuments, Cambodia". Engineering Geology, 55, p101-112, (1999). 

  22. Lee, C.H., Lee, M.S., Suh, M. and Choi, S.W., "Weathering and deterioration of rock properties of the Dabotap pagoda (World Cultural Heritage), Republic of Korea". Environmental Geology, 47, p547-557, (2005). 

  23. 전병규, 이찬희, 서만철, "3차원 영상분석을 이용한 대원사다층석탑의 안정성 평가". 보존과학회지, 22, p31-42, (2008). 

  24. 조영훈, 이찬희, "석조문화재 디지털복원 및 구조안정성 평가를 위한 3차원 영상분석: 마곡사오층석탑". 보존과학회지, 25, p115-130, (2009). 

  25. 이 송, 이규환, 채점식, 사면의 설계와 시공. 예문사, p139, (2002). 

  26. 국립문화재연구소, 석조문화재 보존 및 평가기술 연구. p177,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