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공원 개념 정립 및 공원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 대구 IoT See 시범사업 공원 이용자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Concept and User Perception of Smart Park - Focused on the IoT See Park Users in Daegu City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7 no.5, 2019년, pp.41 - 48  

이형숙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민병욱 (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양태진 ((주) 조경그룹 이작) ,  엄정희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김권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대학원) ,  이주용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신 정보통신기술이 다양한 분야에 접목되면서 우리의 일상은 급격한 속도로 변화하고 있으며, 스마트시티 개념이 확산되고 있는 반면, 조경분야에서는 기술진화에 의한 사회변화에 대비하려는 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공원의 개념을 정립하고, 공원 관련 스마트 기술 도입 현황을 파악하며, 기존에 조성된 스마트공원의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과 활용도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스마트공원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 및 선행연구 고찰, 전문가 토론, 국내외 사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국내 최초로 스마트공원 시범사업이 시행된 대구시 국채보상운동 기념공원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스마트공원에 대한 인식 정도와 서비스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공원이란 다양한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이용자의 공원 체험을 향상하고, 효율적으로 공원을 유지 관리하며, 도시가 직면한 사회 및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지속가능한 공원으로 정의할 수 있다. 현재까지 공원에 도입된 스마트기술은 인공지능 CCTV, 스마트 가로등, 미세먼지 알림장치 등 주로 안전 및 환경 분야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이러한 기술이 도입된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인식조사 결과, 홍보 부족 및 관리인 편의 중심의 기술도입으로 인하여 실제 이용자의 인식 정도는 매우 낮은 편이었다. 특히 역사성 있는 공원의 역사정보 전달을 위한 AR서비스 활용이 가장 저조한 반면, 태양열 벤치나 WiFi 등의 시설의 활용도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향후 스마트공원 조성 시 안전 및 환경 관리, 편의성 증진을 위한 서비스 뿐 아니라, 이용자가 체감할 수 있고, 이용자 요구에 맞는 다양한 콘텐츠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ur daily lives are changing at a rapid pace and the concept of smart city is spreading, as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ies apply to various fields. However, efforts to prepare for changes in society due to technological evolution are insufficient in the field of landscape architectur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공원의 개념을 정립하고,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스마트공원의 현황을 파악하며, 기존 스마트공원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과 활용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최초의 스마트공원 시범사업으로 조성된 대구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이용자를 대상으로 스마트 공원에 대한 인식 및 공원서비스의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그동안의 스마트공원 개발 문제점은 무엇인가? 최근 대구시, 고양시, 세종시가 스마트공원을 조성한 바 있으며, 스마트폰의 NFC나 QR코드를 활용하는 스마트 안내시스템, IoT 기반 환경보안등, 가상현실을 이용한 체험공간 등 다양한 ICT 기술들이 도시공원이나 역사문화공원 등에 도입되고 있다(Kim,2017; Bae, 2007). 그러나 그동안의 스마트공원 개발은 공원 전반의 서비스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도입이라기보다는, 기술 주도의 시설물 디자인이나 시각영상효과에 제한되어 있고, 유지관리 문제로 인한 실효성, 지속가능성의 한계가 지적되었다 (Maeil News, 2017). 스마트 사업의 핵심서비스가 수요자의 관점이 아닌 기술 위주로 계획되면 비효율적인 개발이 진행되고, 그로인해 수요 감소라는 결과가 초래된다(Jeong et al.
스마트공원이란 무엇인가? 현재까지 스마트공원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립은 미흡한 상황이나 기존 연구들은 ICT 기반기술을 통해 공원의 인프라를 연결함으로써 공원의 기능을 효율화하고, 공원문제 해결을 지원하는 공원으로 정의하고 있다(Lee, 2018; Yun, 2015). 최근 대구시, 고양시, 세종시가 스마트공원을 조성한 바 있으며, 스마트폰의 NFC나 QR코드를 활용하는 스마트 안내시스템, IoT 기반 환경보안등, 가상현실을 이용한 체험공간 등 다양한 ICT 기술들이 도시공원이나 역사문화공원 등에 도입되고 있다(Kim,2017; Bae, 2007).
트리 콘서트는 어떤 기능을 갖고 있는가? ‘트리 콘서트’는 밤나무 아래에 조형물을 설치한 후 나무에서 밤이 조형물로 떨어질 때마다 음악이 흘러나오는 서비스이다. 이를 통해 음악을 들은 사람들이 QR코드를 통해 기부를 할 수 있으며, 특별한 사운드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다. ‘Poo WiFi'는 공원을 이용하는 멕시코 시민들의 애완견 배설물 수거를 효율적으로 수거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bdoullaev, A.(2011) A smart world: a development model for intelligent cities. In The 11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pp. 1-28. 

  2. Bae. M. K.(2007) An application of ubiquitous information technology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National Park, Korean Association of Cadastre Information 10(3):134-148. 

  3. Hollands, R. G.(2008) Will the real smart city please stand up? City, 12(3): 303-320. 

  4. Jeong. K. S., T. H. Moon and S. Y. Heo(2009) A study on U-City service classification and the service framework for the standardization of U-City service. Korea Planners' Association 44(3): 231-246. 

  5. Kim. J. T.(2017) Design value. The Korea Economic Daily. 

  6. Lara, A. P., E. M. Da Costa, T. Z. Furlani, and T. Yigitcanla(2016) Smartness that matters: towards a comprehensive and human-centred characterisation of smart cities. Journal of Open Innovation: Technology, Market, and Complexity, 2(2): 8. 

  7. Lee. E. Y.(2018) A Study on the Strategies and Improvements of the Regulations for Smart City Parks. Ph. D. Hanyang University. 

  8. Loukaitou-Sideris, A., K. Jessup, K. Gmoser-Daskalakis, C. Hum, R. Ferdman, and M. E. Burstein(2018) Smart Parks: A Toolkit, UCLA Luskin Center, USA. 

  9. Min, B. and S. J. Park(2018) A smart indoor gardening system using IoT technology. In: Park J., Loia V., Yi G., Sung Y. (eds) Advances in Computer Science and Ubiquitous Computing. CUTE 2017, CSA 2017. Lecture Notes in Electrical Engineering, vol 474. Springer, Singapore. 

  10. Soofa Smart City Research.(2016) Soofa White Paper: Smart Parks, Changing Environments Inc., DBA Soofa. 

  11. Truch. E. and J. Sutanto(2018) Smart Parks: Bringing New Technologies to National Parks and Urban Greenspaces, A Research Report of Connected Community Research Lab at Lancaster University Management School/Lake District National Park. 

  12. Wolfram, M.(2012) Deconstructing smart cities: an intertextual reading of concepts and practices for integrated urban and ICT development. 

  13. Yun. J. W.(2015) Smart Park Service Platform of User-Centered. Ph. D. Hongik University. 

  14. Breezometer. https://www.toxictoby.com/ 

  15. Busan global smart city . http://www.k-smartcity.kr/ 

  16. Corp.sinsung tech. http://www.ssrider.com/ 

  17. Digital daily (2018) 4차혁명위,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추진 기본 구상 발표". http://www.ddaily.co.kr/news/article/?no170677 

  18. Green City Solutions. https://greencitysolutions.de/ 

  19. Hanyiem mentoring. https://www.hanium.or.kr/ 

  20. Kompan let's play. https://www.kompan.com 

  21. Maeil News (2017) "안 터지는IoT.AR, 속 터지는 스마트공원"..http://news.imaeil.com/Society/2017101000303974979 

  22. Pavegen. https://www.pavegen.com 

  23. Queen Elizabeth Olympic Park. https://www.queenelizabetholympicpark.co.uk/ 

  24. Terra networks. http://www.terra.com.br/ 

  25. Yalp Interactive. https://www.yalp.com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