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용자 중심의 스마트공원 조성을 위한 공원서비스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An Analysis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Park Services for User-Oriented Smart Park Development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9 no.4, 2021년, pp.55 - 63  

이주용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이형숙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스마트도시의 급부상에 따라 스마트공원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나, 획일적인 시설물 도입과 기술 위주의 스마트공원 개발에 대한 우려 또한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향후 이용자 중심의 스마트공원을 개발하기 위해 지향해야 할 가치 및 우선적으로 고려될 공원서비스가 무엇일지 전문가와의 심층인터뷰와 계층분석기법을 통해 그 상대적 중요도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공원 기능 및 서비스에 대한 선행연구 및 문헌을 고찰하였고, IT전문가 및 조경분야 전문가를 대상으로 전문가 인터뷰를 2차례 실시하여 내용분석을 통해 서비스 항목을 도출하였다. 4개의 가치와 15개의 공원서비스로 구성된 AHP 모델을 구축하고 38명의 조경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공원서비스의 중요도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자연접촉, 휴식, 운동·산책 등 공원의 본질적인 기능 향상을 위한 서비스의 중요도가 높았으며, 미세먼지나 폭염 등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재난재해 방지 및 안전성 관련 서비스도 높게 나타났다. 사회통합 관련 서비스의 중요도 값은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지역주민들의 참여와 체감도 제고에 있어서는 중요한 서비스로 논의되었다. 향후 스마트공원 개발에 있어 과다한 인공시설물과 기술의 도입으로 인해 자연접촉과 휴식이라는 기존의 공원 기능이 퇴색되지 않도록 하며, 이용자의 요구에 근거하고 지역특성을 반영하는 스마트기술의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스마트공원의 홍보교육 강화를 통해 이용자의 친밀감을 높이고, 스마트공원에 대한 이해도를 제고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erest in smart parks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recent rapid rise of smart cities, but concerns are growing ove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oriented smart pa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park service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the Analyti...

주제어

참고문헌 (36)

  1. Bae, M. K. and Y. R. Kim(2013) Development of urban park supply alternatives considering the equity evaluation of urban park service. The Korean Spatial Planning Review 77: 49-66. 

  2. Byun, B. S. and B. J. Lee(2012) Strategies for conserving green spaces for a pleasant urban environment. Research Report to Korea Environment Institute. 

  3. CABE Space(2008) Making the invisible visible - the real value of park assets. Report to Design Council. 

  4. Choi, B. M., E. T. Go., S. I. Lee, T. H. Kim, J. K. Lee, J. S. Lee, S. N. Kim, K. H. Cho, and H. J. Lee(2019) Smart urban planning in terms of urban space policy. Korea Planning Association 453: 4-17. 

  5. Choi, J. M. and U. Kim(2013) A study on the smart service of ecological education u ing technique of augmented reality for community board and smart phon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8(1): 97-106. 

  6. Choi, J. H. and J. H. Suh(2019) Explo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from the landscape industry perspective. Landscape Journal 47(2): 59-75. 

  7. David, W. S and N. S. Prem(2018) Focu Group Study Methodology 강종구 (역). 경영학, 학지사. 

  8. Jeong K. S., T. H. Moon and S. Y. Heo(2009) A study on u-city service classification and the service framework for the standardization of u-city service. Korea Planning Association. 44(3): 231-246. 

  9. Kim, Y. G., Y. M. Song, and S. K. Cho(2020) Design and management direction of smart park for smart green city. Landscape Journal 48(6): 1-15. 

  10. Kim, B. J. and H. S. Ha(2019) Exploring the determinants of citizens' perceptions of smart city: Focu ing on comparison of new and established cities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32(3): 63-79. 

  11. Kim, J. K. and S. T. Nam(2010) Preference analysis for u-city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19(4): 51-63. 

  12. Kim, Y. W.(2011) Impacts of Urban Residents' Park Use Behavior on the Satisfaction with Park and Leisure Satisfaction.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jong. 

  13. Kim, M. J and S. H. Jung(2019) Current trend of smart city service applica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2): 194-203. 

  14. Kim, Y. K.(2017) "안 터지는 IoT.AR…속 터지는 스마트 공원", Daily Newspaper, October 10. 

  15. Kim, Y. M. and J. H. Koo(2019) Study on the developing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smart city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social innov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9(10): 511-521. 

  16. Lee, B. C.(2008) Beyond u-city chasm. SW Insight Policy Report, 29-49. 

  17. Lee, E. Y.(2018) A Study on the Strategies and Improvements of the Regulations for Smart City Parks.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of Hanyang. 

  18. Lee, H. S., B. W. Min, T. J. Yang, J. H. Eum, K. Kim, and J. Y. Lee (2019) A study on the concept and u er perception of smart park-focused on the IoT see park users in Daegu City. Landscape Journal 47(5): 41-48. 

  19. Lee, J. H.(2017) A Basic Study on Smart Tree Platform. Master Thesis. University of Hongik. 

  20. Lee, J. H., H. B. Cho and T. H. Kim(2012) A study on the profitable urban park model u ing smart street light system. Landscape Journal 40(4): 28-35. 

  21. Loukaitou-Sideris, Jessup, K(2018) Smart Parks: A Toolkit. UCLA Luskin Center, USA. 

  22. MOLIT(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9) The 3rd Smart City Comprehensive Plan(2019~2023), MOLIT. 

  23. Moon, J. K., B. H. Jo, and B. M. Choi(2017). A basic study on service provision considering demand and satisfaction of smart city urban servic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69-270. 

  24. Ok, J. A.(2018) Developing New Smart City Services and Specialized District. Research Report to Kyonggi Development Institute. 

  25. Park, H. J. and H. S. Kim(2020). A basic study on the indicators development of regional safety of seismic disaster u ing AHP.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31(6): 99-108. 

  26. Park, K. H.(2020) "ICT로 쾌적한 쉼터 조성… 스마트공원 전국 확산"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wspaper, November 2. 

  27. Park, M. H.(1996) Application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 to decide the priority of undeveloped neighborhood park. Landscape Journal 24(1): 42-54. 

  28. Park, N. R., J. M. Park, E. J. Bae, and K. S. Kong(2018) Development of lot-based smart toilet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2217-2219. 

  29. Park, Y. J. and M. J. Kim(201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sidents' experience-oriented smart city service and local specialization plan. Urban Design 20(4): 101-114. 

  30. Rho, S. M.(2018) A Study on Construction of Virtual Reality Space and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Anxiety for the Application of the CPTED Simulation. Master Thesis. University of Seoul. 

  31. Rho, S. S.(2015) A Study on Efficient Management of Facilities in Parks Based on Smart Device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ungkyunkwan. 

  32. Saaty, T. L.(2008) Decision making wit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Services Sciences 1(1): 83-98. 

  33. Shim, J. Y., Y. I. Kim, and S. Y. Lee(2010) An evaluation of parks as public services. Landscape Journal 37(6): 19-27. 

  34. Sung, H. C., and J. Y. Seo(2009) User-Driven Urban Park Development Plan. Research Report to Kyonggi Development Institute. 

  35. Yim, C. S., N. S. Baek, and B. G. Kim(2008) A service-oriented city framework.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National Asset Management of Civil Infrastructure. pp.137-143. 

  36. Yoon, J. W.(2015) User-Centered Platform of Smart Park Service. Master Thesis. University of Hongi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