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국의 포용적 도시재생을 위한 공원녹지 정책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UK Park and Green Space Policies for Inclusive Urban Regeneration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7 no.5, 2019년, pp.78 - 90  

김정화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김용국 (건축도시공간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포용적 도시계획과 재생을 위한 공원녹지 정책의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국내 도시공원의 조성 현황 예산 법률 제도를 검토하고, 도시공원의 포용성 수준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과 한계를 드러냈다. 첫째, 1인당 공원 면적과 녹지율과 같은 공급자 중심의 지표를 지니는 도시공원 제도는 양적 확충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둘째, 도시공원의 분포는 불균등하고, 공원녹지의 질적 수준은 취약계층 거주지일수록 낮다. 다음으로 영국 중앙정부와 런던, 에든버러, 카디프, 벨파스트, 리버풀 등 다섯 개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사회경제적 불평등 완화와 포용성 확대를 위한 공원녹지 정책의 수립 배경과 내용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밝혔다.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와 포용적 사회 건설의 필요성에 대한 정부의 인식, 물리적 재개발에서 사회경제적 재생으로 도시재생정책 방향의 변화, 공원녹지와 불평등 건강 웰빙의 상호관계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정책 수립의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그 결과, 영국 국토계획의 목표에 포용적 사회 만들기가 반영되었으며, 여러 지방정부의 공원녹지 정책에 박탈 지역과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한 공원녹지 공급과 질적 개선 전략이 포함되었다. 또한 공원 결핍 분석 도구와 공원의 질적 평가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와 함께 각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별도의 기금 마련과 매칭 펀드 활용과 같은 다양한 재원 프로그램, 그리고 정부 조직 간 협업 기구 설립과 민간 조직의 적극적인 참여와 활성화와 같은 파트너십 구축 방안이 마련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공원녹지의 불평등과 포용성에 대한 조사와 연구 수행, 공원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전략 개발, 정책 필요 지역 분석도구 개발, 도시재생을 위한 공원사업 유형 개발, 다양한 파트너십 구축과 지원제도 마련 등, 다섯 가지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veloping policies for parks and green spaces for inclusive urban planning and regeneration. By reviewing the status, budget, and laws pertaining to urban parks in Korea, as well as assessing the inclusivity of urban parks, this study revea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최근 한국 사회의 포용성 제고와 도시재생에 대한 관심에 대응하여 공원 정책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연구 목적은 공원을 기반으로 포용적 도시재생 정책을 개발하고 시행한 영국의 관련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정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최근 한국 정부의 포용성 제고 노력과 사회경제적 도시재생 정책 추진에 대응하여 포용적 도시재생을 위한 공원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관련 정책의 기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포용성 측면에서 국내 공원 제도를 검토하여 문제점을 드러냈으며, 한국과 유사한 사회경제적 불평등 수준을 보이는 영국을 중심으로 포용적 도시재생을 위한 공원 정책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정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한국 사회의 포용성 제고와 도시재생에 대한 관심에 대응하여 공원 정책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연구 목적은 공원을 기반으로 포용적 도시재생 정책을 개발하고 시행한 영국의 관련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정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영국은 국토 면적, 인구수, 국내총생산(GDP)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한국과 다른 국가이나, 사회경제적 불평등 면에서 한국과 유사한 수준을 보인다(Figure 1 참조).
  • 현황에 대한 문제의식과 영국의 관련 제도 고찰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관련 제도 개선을 위한 다섯 가지 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정책 개발과 추진 이전 단계에서 공원녹지와 불평등과 삶의 질의 상관성에 대한 기초 연구, 공원녹지의 불평등 및 포용성 현황 조사, 포용적인 공원녹지 환경 가이드라인 연구와 같은 기초 연구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가설 설정

  • 눈에 띄는 몇 가지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 조직 간 협업 기구 설립이다. 건강 불평등 문제에 대응하여 정원 조성과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스코틀랜드 정부 내 산림․건강․자연유산 등의 부서의 협업체인 Green Exercise Partnership과 중앙정부의 관련 조직부터 지역자치단체의 협력과 조율을 담당하는 Glasgow and Clyde Valley Green Network가 대표적인 사례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용적 복지국가는 무엇인가? 포용성 확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 회원국 중 약 30위권의 높은 불평등 수준을 보이는 한국3)에서도 중요한 사안이다. 정부의 20대 국정전략 중 하나는 “어느 계층도 소외됨이 없이 경제성장의 과실과 복지서비스를 모두가 골고루 누리고 개개인이 인간으로서 가치를 존중받는 국가”를 뜻하는 ‘포용적 복지국가’이다(State Affairs Planning Advisory Committee, 2017).
포용적 성장이 떠오르게 된 이유가 무엇인가? 오늘날 사회경제적 불평등은 세계적인 문제이다. 한때 경제 성장의 불가피한 부작용 정도로 이해되던 소득 불평등이 사회 구조적인 문제이자 정책 집행의 결과로 인식되면서(Lee, 2019: 425), 관련 정책 개발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세계보건기구(WHO)가 소득, 고용, 교육 측면의 사회적 불평등이 환경 위험 요인에 대한 불평등한 노출과 관련되어 있다고 판단하면서 빈곤 감소와 불평등 해소를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1)
영국은 공원서비스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실행하는가? 둘째, 공원녹지의 양적 확충뿐만 아니라, 질적 수준 향상을 정책 목표로 설정하고, 관련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영국은 공원서비스의 질적 수준이 곧 삶의 질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공원녹지의 질적 등급 분포도를 작성하거나, 높은 수준의 공원녹지에 대한 도보 접근권 인구 비율을 검토하며, 질적 수준 향상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국내의 관련 제도와 정책은 1인당 공원 면적과 같은 각종 양적 지표, 신규 공원 조성에 대한 예산 집중 등, 공급자 중심의 양적 확충을 중심으로 구축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4)

  1. Belfast City Council(2005) Your City, Your Space. 

  2. Belfast City Council(2014) The Belfast Agenda. 

  3. CABE(2006) Green Space Strategy: A Good Practice Guide. 

  4. CABE(2008) Inclusion by Design: Equality, Diversity and the Built Environment. 

  5. CABE(2009) Open Space Strategies: Best Practice Guidance. 

  6. CABE(2010a) Community Green: Using Local Spaces to Tackle Inequality and Improve Health. 

  7. CABE(2010b) Urban Green Nation: Building the Evidence Base. 

  8. Cardiff Council(2018) Funding of Parks. An Inquiry Report of the: Economy & Culture Scrutiny Committee. 

  9. Cardiff Public Services Board(2018) Cardiff Well-Being Plan 2018-2023. 

  10. Cochrane, A.(2007) Understanding Urban Policy: A Critical Approach. Oxford, UK: Blackwell. 

  11. Cohen, D. A., T. L. McKenzie, A. Sehgal, S. Williamson, D. Golinelli, and N. Lurie(2007) Contribution of public parks to physical activit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7(3): 509-514. 

  12. Dados, N. and R. Connell(2012) The global South. Contexts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11(1): 12-13. 

  13. Higgins, M., C. Hague, A. Prior, S. McIntosh, M. Satsangi, F. Warren, H. Smith, and G. Netto(2005) Diversity and Equality in Planning: A Good Practice Guide. Report to Office of the Deputy Prime Minister. 

  14. Hills, J.(2010) An Anatomy of Economic Inequality in the UK: Report of the National Equality Panel. Government Equalities Office. 

  15. Jeon, K. S.(2009) Abandoned rail track greenway park from the viewpoint of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in Gwangju.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12(3): 1-13. 

  16. Jung, E. J., J. M. Na, and B. H. Jeong(2016) Study on the utilization of public space for the community revitalization: A case of Ssangam Neighborhood Park in GMC.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9(2): 51-73. 

  17. Kazmierczak, A.(2013) The contribution of local parks to neighbourhood social ti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09(1): 31-44. 

  18. Kim, MJ.(2014) Impact on settlement consciousness from regeneration of park and green space at deteriorated residential area i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5(6): 85-92. 

  19. Kim, Y. G. and J. M. Choi(2012) The implic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licies for park and green spaces in Englan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2): 86-96. 

  20. Kim, Y. G. and M. Roe(2007) A study on partnerships in the development of parks in U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5(2): 1-12. 

  21. Kim, Y. G.(2015) Parks Equity in Metropolitan Seoul for the Implementation of Green Welfare.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2. Ko, Y. J., K. H. Cho, and W. C. Kim(2019) Analysis of environmental equity of green space services in Seoul: The case of Jung-gu, Seongdong-gu and Dongdaemun- gu. Journal of the Korean Insi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7(2): 100-116. 

  23. Konijnendijk, C. C., M. Annerstedt, A. B. Nielsen, and S. Maruthaveeran(2013) Benefits of urban parks: A systematic review. Report to IFPRA. 

  24. Kweon, B. S., W. C. Sullivan, and A. R. Wiley(1998) Green common spaces and the social integration of inner city older adults. Environmental Behaviour 30(6): 832-858. 

  25. Landscape Institute(2013a) Green Infrastructure: An Integrated Approach to Land Use. 

  26. Landscape Institute(2013b) Public Health and Landscape: Creating Healthy Places. 

  27. Lee, N.(2019) Inclusive growth in cities: A sympathetic critique. Regional Studies 53(3): 424-434. 

  28. Lee, Y. A.(2009) Exploring socio-economic neighbourhood renewal policy in England.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Photo-Geographers 19(3): 99-114. 

  29. Lim, Y. R., J. M. Chu, J. Y. Shin, H. J. Bae, and C. S. Park(2009) Analysis on the accessibility to natural greenspace and urban parks by income class factor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42(4): 133-146. 

  30. Liverpool City Council(2010) Liverpool Green Infrastructure Strategy. 

  31. Liverpool City Council(2018) Liverpool Local Plan 2013-2033(Presubmission draft). 

  32. Maas, J., R. A. Verheij, S. de Vries, P. Spreeuwenberg, F. G. Schellevis, and P. P. Groenewegen(2009) Morbidity is related to a green living environment.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63(12): 967-973. 

  33. Mayor of London(2004) The London Plan: Spatial Development Strategy for Greater London. Greater London Authority. 

  34. Mayor of London(2011) The London Plan: Spatial Development Strategy for Greater London. Greater London Authority. 

  35. Mayor of London(2012) The All London Green Grid. Greater London Authority. 

  36. Mayor of London(2018) London Environment Strategy. Greater London Authority. 

  37. Mitchell, R. and F. Popham(2008) Effect of exposure to natural environment on health inequalities: an observational population study. The Lancet 372(9650): 1655-1660. 

  38. Moon, J., S. Lee, J. Kim, S. Min, S. Kim, and K. Park(2016) Conception, Normative Directives and Policy Tasks towards Inclusive National Territory. Research Report to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39. OECD(2016) The New York Proposal for Inclusive Growth in Cities. Paris: OECD. 

  40. Park, I. S., C. H. Youm, and C. Y. Tchah(2009) Actors and collaboration system in English urban regeneration program: cases of single program and neighbourhood renewal program.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5(12): 349-360. 

  41. Plane, J. and F. Klodawsky(2013) Neighbourhood amenities and health: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a local park. Social Sciences & Medicine 99: 1-8. 

  42. Rii, H. U. and J. H. Choi(2009) Creation and utilization of green spaces in the city from the viewpoint of urban renewal.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12(1): 1-10. 

  43. RTPI(2001) A New Vision for Planning. 

  44. Seo, H. J. and B. W. Jun(2011) Environmental equity analysis of the accessibility of urban neighborhood parks in Daegu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4): 221-237. 

  45. State Affairs Planning Advisory Committee(2017) Moon Jae-in Administration's Five-year Road-map for State Affairs. State Affairs Planning Advisory Committee. 

  46. The City of Edinburgh Council(2010) Open Space Strategy. 

  47. The City of Edinburgh Council(2016) Open Space 2021: Edinburgh's Open Space Strategy. 

  48. Walton, E.(2014) Vital places: facilitators of behavioral and social health mechanisms in low-income neighborhoods. Social Science & Medicine 122: 1-12. 

  49. WHO(2012) Health Indicators of Sustainable Cities in the Context of the Rio+20 UN Conference on Sustainable Development. Report to WHO. 

  50. Wood, C., R. Bragg, and J. Barton(2013) Natural choices for health and wellbeing. Report to Liverpool Primary Care Trust and The Mersey Forest. 

  51. World Bank(2017) Promoting Inclusive Growth by Creating Opportunities for the Urban Poor(Philippines urbanization review policy note). Washington, D.C.: World Bank Group. 

  52. Yoon, S. J.(2016) The consolidation and implementation of green infrastructure policy in urban spatial planning: Focused on the London Plan & the All London Green Gri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2): 83-95. 

  53. http://jumin.daegu.go.kr/budget/information/informationBudgetBill.do (Expenditure Budget Report, Daegu Metropolitan City) 

  54.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HDLF05&conn_pathI2 (KOSIS) 

  55. http://lofin.mois.go.kr/portal (Local finance integrated open system) 

  56. http://m.molit.go.kr/viewer/skin/doc.html?fne5376477e7e51aaa38f41333b50559bd&rs/viewer/result/20181128 (Guidelines for Park and Green Space Plan[공원녹지 기본계획 수립지침]) 

  57. http://news.seoul.go.kr/gov/archives/category/govdata_c1/budget_c1/data_budget_c1/data_document_budget-n2 (Expenditure Budget Report, Seoul) 

  58. http://www.busan.go.kr/ghstat (Expenditure Budget Report, Busan Metropolitan City) 

  59. http://www.euro.who.int/en/health-topics/environment-and-health/social-inequalities-in-environment-and-health (WHO) 

  60. http://www.greenflagaward.org.uk (Green Flag Awards) 

  61. http://www.gwangju.go.kr/BD_0000120200/boardList.do?menuIdgwangju0809020000 (Expenditure Budget Report, Gwangju Metropolitan City) 

  62. http://www.incheon.go.kr/posts/49 (Expenditure Budget Report, Incheon Metropolitan City) 

  63.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205 (e-country index) 

  64. http://www.law.go.kr/법령/도시공원및녹지등에관한법률시행규칙 (Enforcement Decree of The Urban Parks, Green Areas, Etc. Act) 

  65. http://www.ulsan.go.kr/tax/fhbudget (Expenditure Budget Report, Ulsan Metropolitan City) 

  66. https://data.oecd.org/inequality (OECD Social and Welfare Statistics: Income distribution) 

  67. https://minutes3.belfastcity.gov.uk/mgAi.aspx?ID35576 (Belfast City Council Update on Open Spaces Strategy) 

  68. https://www.daejeon.go.kr/bud/BudFinanceboardList.do?boardIdbudboard005&menuSeq349 (Expenditure Budget Report, Daejeon Metropolitan City) 

  69. https://www.gov.scot/publications/scottish-planning-policy (Scottish Planning Policy) 

  70. https://www.gov.uk/government/publications/national-planning-policy-framework--2 (National Planning Policy Framework) 

  71. https://www.greenspacescotland.org.uk (Greenspace Scotland) 

  72. https://www.groundwork.org.uk (Groundwork) 

  73. https://www.london.gov.uk/what-we-do/environment/parks-green-spaces-and-biodiversity/greener-city-fund (Greener City Fund) 

  74. https://www.merseyforest.org.uk/our-work/natural-choices-for-health-and-wellbeing (Natural Choices for Health and Wellbein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