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공원의 필수 설계요소 추출 - 2017년 서울시 공원이용 만족도 조사의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
Extraction of Essential Design Elements for Urban Parks - Based on the Analysis of 2017 Satisfaction Survey of Park Use in Seoul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6 no.6, 2018년, pp.41 - 48  

이재호 (텍사스 A&M 대학교 여가공원관광학과) ,  김순기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도시 내 공원을 새로이 조성하거나 기존의 도시공원을 재정비할 때 공원의 이용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필수적인 설계요소를 추출함으로써 계획 및 설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서울시가 2017년 시행한 공원이용만족도 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여 도시공원의 중요설계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시설관리상태, 조경 및 경관, 공원 안전성, 친절도 등의 항목을 중요 설계요소로서 추출한 후 회귀분석을 통하여 각 항목과 공원이용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공원 안전성(${\beta}=0.276$, p<.000), 조경 및 경관(${\beta}=0.230$, p<.000), 시설관리상태(${\beta}=0.215$, p<.000), 친절도(${\beta}=0.208$, p<.000) 순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공원 안전성의 확보를 위하여 추후 도시공원의 설계에서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등의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되며, 적절하며 균형 있는 수경시설과 수목의 배치 및 관리를 통한 짜임새 있는 조경 및 경관의 구성 또한 도시공원의 이용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추후 공원설계에서 매우 주의 깊게 다루어야 할 요소로 판단되었다. 이에 반해, 현 도시공원에서 가장 시급하게 개선되어야 할 요소로서 나타난 친절도의 경우, 추후 도시공원의 설계과정에서는 필수설계요소로서의 공원 안전성 및 조경 및 경관 요소에 비해 그 중요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후 도시공원의 설계과정에서 이용자 만족도를 최대화하고, 실제 이용자에게 보다 가치 있는 공간의 제공을 위해서는 공원 안전성 및 조경 및 경관 요소의 적절한 활용이 요구된다. 더 나아가, 향후 연구에서는 이 논문에서 밝혀진 요소들을 통한 보다 구체적이며, 세분화된 도시공원 디자인 전략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oundational knowledge of how to enhance the user satisfaction of urban parks. The study seeks to identify essential factors that influence user satisfaction and to provide better design strategies for future park design as well as the reorganization of existing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도시공원 내에 보다 가치 있는 시설의 제공을 위해 도시공원의 설계에서 차용하여야 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서울시내 23개 공원 이용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공원이용만족도 설문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추후 공원을 신설하거나 재정비할 때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서울시의 공원이용만족도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도시공원의 중요 설계요소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시설관리상태, 조경 및 경관, 공원 안전성, 친절도 등의 공원요소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회귀분석하여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의 23개 공원(서울숲, 응봉공원, 보라매공원, 양재 시민의 숲, 천호공원, 길동생태공원, 율현공원, 남산, 낙산, 간데메, 중랑캠핑숲, 북서울 꿈의 숲, 창포원, 용산가족공원, 경춘선숲길, 월드컵공원, 여의도공원, 선유도공원, 푸른수목원, 경의선숲길, 서서울호수공원, 독립공원, 어린이대공원)을 대상으로 실시된 공원만족도 설문조사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추후 서울시내 공원을 신설하거나, 기존공원의 재정비 시 설계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 설계요인을 추출하여 도시공원, 특히 서울의 도시공원의 설계과정에 이용자의 요구와 만족도에 근거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반영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새로이 만들어지거나 재정비되는 도시공원의 이용만족도를 보다 확대하고 실제 도시민들에게 필요한 공간으로서 도시공원의 설계 방향성이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원의 필수 설계요소를 서울시 도시공원의 이용 만족도 조사를 바탕으로 추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조사기간이 짧고, 다양한 공원유형에 대한 세분화된 데이터 분석에는 미치지 못한 한계점을 지니고 있으며, 추후 보다 다양한 설계요소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를 계절별, 유형별 대단위조사를 바탕으로 파악하여 보다 깊이 있는 설계요소의 추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공원의 필요성이 높아진 이유는?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도시공원의 제공은 도시의 역할 중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오늘날 도시의 당연한 의무로 자리 잡았다. 산업화와 도시화에 의한 대기의 매연문제와 도시 근로자의 주거환경 개선요구를 바탕으로 그 필요성이 크게 대두된 도시공원은 오늘날보다 다양하고 복잡해진 환경문 제와 결부되며, 그 중요성을 더하고 있다. 더하여 오늘날 도시 공원은 단순히 도시의 환경문제의 해결만을 위한 수단이 아닌 도시공원을 둘러싼 다양한 담론들, 생태, 지역사회, 랜드스케이 프어바니즘, 민간참여, 도시재생 등 다양한 패러다임의 변화와 수용을 통해 보다 다양한 차원에서 도시민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공간으로서 그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그 결과, 다양한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비롯하여 지역주민의 여가활 용공간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도시공원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2조 4항을 통해 도시공원이 갖추어야할 공원시설은? 특히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에서는 공원을 도시의 기반시설의 하나로 취급함으로써 공원을 도로나 하수도와 마찬가지로 도시 내 반드시 갖추어져야 하는 가장 기본적인 시설로 간주한다(2조 6항). 또한, 도시공원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2조 4항을 통해 도시공원이 갖추어야할 공원시설로서 1) 도로 또는 광장, 2) 화단․분수․조각 등조경시설, 3) 휴게소, 긴 의자 등 휴양시설, 4) 그네․미끄럼틀등 유희시설, 5) 테니스장․수영장․궁도장 등 운동시설, 6) 식물원․동물원․수족관․박물관․야외음악당 등 교양시설, 7) 주차장․매점․화장실 등 이용자를 위한 편익시설, 8) 관리사 무소․출입문․울타리․담장 등 공원관리시설, 9) 그밖에 도시 공원의 효용을 다하기 위한 시설로서 국토교통부령이 정하는 시설 등을 지정하고 있다. 즉, 도시공원은 도시의 중요 기반시 설로서 도시민에게 편안한 휴식과 다양한 레크리에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조경, 휴양, 유희, 운동, 교양, 편익 시설 등을 갖춘 공간이며, 이러한 현대 도시공원의 성격을 만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공간과 설계요소가 오늘날 도시공 원에 등장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e, M. K. and Y. R. Kim(2013) Development of urban park supply alternatives considering the equity evaluation of urban park service: Focused on Cheongju city.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77: 49-66. 

  2. Bowerman, B. L. and R. T. O'Connell(1990) Linear Statistical Models: An AppliedApproach, 2nd ed. Duxbury, Belmont, CA. 

  3. Cho, S. C. and M. H. Yeon(2014) A development of a safety checklist for children's park. Journal Korea Society of Visual Design Forum 43: 255-266. 

  4. Im, S. B.(1991)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user's satisfaction of urban park: Cases study of Daeshin Natural Park in Pus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9(3): 87-97. 

  5. Joo, S. H.(2008) Assessment of contemporary urban parks in Korea: satisfaction and landscape imag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4): 36-47. 

  6. Kaiser, H.(1974) An index of factorial simplicity. Psychometrika 39(1): 31-36. 

  7. Kang, Y. G.(2011) A study on the safety evaluation of urban parks. Journal of Community Safety and Security by Environmental Design 2(1): 1-17. 

  8. Kim, H. J., S. G. Jung and W. S. Lee(2011) Evaluation of supply adequacy of the urban park by spatial imbalanc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4): 18-27. 

  9. Kim, Y. G.(2014) A study on the distributive equity of neighborhood urban park in Seoul viewed from green welfa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3): 76-89. 

  10. Kim, Y. I., J. K. Kim, J. S. Ahn and A. H. Choi(2010) Citizen satisfaction model for urban parks and greens: A transactional approach in the case of Anyang City,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3): 62-74. 

  11. Lee, D. H. and K. J. Lee(2010) A study on park service provision assessment in Busa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 164-172. 

  12. Lee, H. Y.(2009) A study on the distributional property and utilizing behaviour of city parks in Gwangju.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12(3): 27-40. 

  13. Lee, J. J., S. C. Park and H. Kim(2009) A study on the effective plans to increase urban parks through activating private participation: Focusing on the plans to improve park facilities at the balance point of public and private interest. The Geographical Journal of Korea 43(4): 675-684. 

  14. Lee, J. S. and D. J. Lee(2009) Public safety comparative analysis for night park users(1994/2008).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18(5): 551-559. 

  15. Matzler, K., F. Bailom, H. Hinterhuber, B. Renzl and J. Pichler(2004) The asymmetric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e-level performance and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A reconsideration of the importance - performance analysis.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33(4), 271-277. 

  16. Moon, C. H.(2001)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s in Seoul through the analysis of decisive factors about degree of users' satisfaction.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9(1): 97-118. 

  17. Park. Y. J. and H. O. Kim(2010) A study on status of use of community park and level of satisfaction based on types of its facilitie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4: 427-436. 

  18. Rho, J. H.(1995) Perception of public safety of night users in neighborhood park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3(2): 213-222. 

  19. Seo, J. H. and D. G. Kim(2000) An satisfaction degree analysis of programs in the city park: Tokyo metropolitan city parks, in Japa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8(5): 58-67. 

  20. Won, Y. and Y. D. Jeong(2001) Analysis of the public safety by user’s behavior of urban park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Technology 2(1): 17-26. 

  21. Zeisel, J.(1981) Inquiry by Design: Tools for Environmental Research. Cambridge Univertsity Press. 68-13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