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관지수를 활용한 설악산국립공원 아고산대 분비나무개체군의 서식지 특성
A Habitat Characteristic of Population of Khingan Fir(Abies Nephrolepis) in Seoraksan National Park Using Landscape Indices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4 no.2, 2020년, pp.170 - 178  

이호영 (한길숲연구소) ,  박홍철 (국립공원연구원) ,  이나연 (국립공원연구원) ,  이호 (국립공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분비나무 등 국내 아고산대 서식지에 대한 경관생태학적 분석 사례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국립공원 아고산대에 자생하고 있는 분비나무개체군을 대상으로 식피율 차이에 따른 15가지 경관지수 분석을 통해 서식지 특성을 정량적으로 해석·평가하고자 하였다. 설악산국립공원 내 자생하고 있는 모든 분비나무 서식지를 대상지로 설정하였다. 설악산 국립공원 내 분비나무군락의 식피율 증·감에 따른 경관생태학적 경향성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다만, 식피율 50% 미만의 분비나무 서식지가 전체의 85% 이상을 차지하고 있을 만큼 설악산국립공원의 분비나무 서식지는 전반적으로 낮은 피도와 개체밀도로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피율 10~50% 구간의 분비나무 서식지는 총 286개의 패치로 파편화되어 있어 서식지 연결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형태에 따른 주연부 효과를 판단할 수 있는 총 가장자리 길이와 가장자리 밀도는 식피율 26~50% 서식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다른 식피율의 서식지에 비해 외부로부터 받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일한 크기의 패치일지라도 식피율 10~50%의 분비나무 서식지가 더욱 복잡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이 서식지 파편화 및 외적 교란에 더욱 취약하게 만들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설악산국립공원 분비나무 서식지의 확대 혹은 축소에 대한 시계열 분석이 가능하며, 각 서식지를 구성하는 패치의 형태변화와 연결성, 파편화 등에 관한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are few landscape ecological analyses of Khingan fir (Abies nephrolepis) and other habitats of the sub-alpine zone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we tried to quantitatively interpret and assess the habitat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15 landscape indic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tree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특히 설악산국립공원 내 분비나무 서식지에 대한 경관생태학적 접근(경관지수활용 등)을 통한 서식지 특성을 분석한 사례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국립공원 아고산대에 자생하고 있는 분비나무 서식지를 대상으로 식피율 차이에 따른 경관지수 분석을 통해 각 서식지 유형별 경관생태학적 특성을 정량적으로 해석·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서식지 중심의 보전·관리 전략 및 계획수립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가설 설정

  • 2007)하여 지리적 자생범위에 대한 분류학적 이견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Yim and Baik(1985), Yim and Kim(1992), Kong(2002), Kim(2012), NIE(2014)에 근거하여, 설악산국립공원은 분비나무 자생지라는 전제하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비나무는 한반도 어디에 분포되어 있는가? , 2019). 특히 분비나무는 우리나라 백두대간 최북단에 위치한 아 고산 식생대를 구성하는 수종으로 깊은 산 중 공중습도가 높고 흙 깊이가 깊으며 한랭한 곳에서 잘 자라는 교목성 상록침엽수로 한반도 백두대간의 주산 계를 따라 지리산부터 북한의 차 유산까지 분포한다(Chungand Lee, 1965; Kong, 2004; NIE, 2014).
우리나라의 분비나무군락의 최대 자생지는 어디인가? 우리나라 분비나무군락의 최대 자생지는 설악산국립공원으로 서북 능선과 백두대간 능선을 중심으로 가장 넓게 분포하며, 약 19.8㎢의 면적(식피율 10% 이상 자생지 면적)에 자생하고 있다(Park et al.
경관지수에서 패치 단위는 무엇인가? 경관지수는 공간자료의 기하학적, 공간적 특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패치(patch), 클래스(class), 경관(landscape) 3단계 위계로 구분하여 분석이 이뤄진다. 여기서 패치 단위는 하나의 단일폐곡선으로 이뤄진 개별 폴리곤으로 서식지 내 단절되어있는 각각의 서식지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식피율은 같을 수 있어도 폴리곤의 형태나 크기는 모두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Beckage, B., B. Osborne, D.G. Gavin, C. Pucko, T. Siccama, T. Perkins (2008) A rapid upward shift of a forest ecotone during 40 years of warming in the green mountains of Vermont.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5: 4197-4202. 

  2. Chang, J.S., J.I. Jeon and J.O. Hyun (1997) An analysis of morphological variation in abies koreana Wilson and A. nephrolepis (Traut.) Maxim. of Korea (Pinaceae) and their phylogenetic problems.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86(3): 378-3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i, W.Y., S.G. Jung, J.H. Oh and J.H. You (2005) The structural and functional analysis of landscape changes in Daegu metropolitan sphere using landscape indices & ecosystem service valu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8(4): 102-1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ung, T.H. and W.C. Lee (1965) A study of the Korean woody plant zone and favorable region for the growth and proper species. Journal of Sungkyunkwan University Press 10: 329-4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rawford, R.M. (1989) Studies in plant survival: Ecological case stories of plant adaptation adversity.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6. Daniel, T.C. (2001) Whither scenic beauty? Visual landscape quality assesment in the 21st century. Landscape and Urban Planing 54(4): 267-281. 

  7. Davis, L.S., K.N. Johnson, P.S. Betinger, T.E. Howard (2001) Forest management: To sustain ecological, economic, and social values (4th ed.). McGraw-Hil, New York, 804pp. 

  8. Dramstad, W.E., M.S. Tveit, W.J. Ejelstad and G.L.A. Fry (2006) Relationshipes between visual landscape preferences and map-based indicators of landscape structure. Landscape and Urban Planing 78(4): 465-474. 

  9. Fahrig, L. (1997) Relative effects of habitat loss and fragmentation on population extinction.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61: 603-610. 

  10. Griffith, J.A. ( 2002) Geographic techniques and recent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to landscape-water quality studies.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38: 181-197. 

  11. Hargis, C.D., J.A. Bissonette, J.L. David (1998) The behavior of landscape metrics commonly used in the study habitate fragmentation. Landscape Ecology 13(3): 167-186. 

  12. Han, H., J.E. Song, A.R. Seol, J.H. Park and J.S. Chung (2011) A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landscape structures between famous and general Korean forests using landscape indic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1): 1-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Heo, S.G., K.S. Kim, J.H. Ahn, J.S. Yoon, K.J. Lim, J.D. Choi, Y.C. Shin, C.W. Lyou (2007) Landscape analysis of the forest fragmentations at Doam-Dam watershed using the FRAGSTATS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1): 10-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Herzog, F., A. Lausch, E. M?ller, H. Thulke, U. Steinhardt and S. Lehmann (2001) Landscape metrics for assessment of landscape destruction and rehabilitation. Environment Management 27(1): 91-107. 

  15. Hong, S.G., S.G. Kang, J.E. Kim, B.H. Noh, T.H. Noh, S.W. Lee (2007) Learning landscape ecology: A practical guide to concepts and techniques (Translation from the English language edition by Gergel, S.E. and M.G. Turner). Lifescience, Seoul, 328pp. (in Korean) 

  16. Hong, S.K. and J.E. Kim (2008) Apply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and landscape indices to landscape ecological analysis of maritime villages in Korea-case studies on fishery villages in Tae-An peninsula, Chungnam-. Journal of the Island Culture 31: 281-2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Horikawa, M., I. Tsuyama, T. Mstsui, Y. Kominami, N. Tanaka (2009) Assessing the potential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the alpine habitat suitability of Japanese stone pine (Pinus pumila). Landscape Ecology 24: 115-128. 

  18. Jung. S.G., J.H. Oh, K.H. Park (2005) A temporal structure analysis of forest landscape patterns using landscape indices in the Nakdong river Basi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8(2): 145-1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Kelly, A.E. and M.L. Goulden (2008) Rapid shifts in plant distribution with recent climate chang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5(33): 11823-11826. 

  20. Kim, S.W. and C.H. Park (2001) Spatio-temporal change detection of forest patches due to the recent land development in North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0(1): 39-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Kim, S.Y. (2012) Syntaxonomy of subalpine vegetation in Korea. Ph. D. Dissertation, Univ. of Keimyung, Daegu, 145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Kong, W.S. (1998) Perspectives in landscape ecology: The alpine and subalpine geoecology of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1(4): 383-3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Kong, W.S. (2002)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Korean alpine plants.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7(4): 357-3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Kong, W.S. (2004)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native Korean conifers.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9(4): 528-5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Kong, W.S. (2005) Selection of vulnerable indicator plants by global warming.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41(2-1): 263-2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Kong, W.S. (2006) Biogeography of native Korean pinacea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1(1): 73-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Korea Forest Service (KFS) (2009a) Development of a forest management evaluation model at stand and landscape levels.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141pp. (in Korean) 

  28. Korea Forest Service (KFS) (2009b) Climate change and forest.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242pp. (in Korean) 

  29.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NPRI) (2017) Monitoring of ecosystems related to climate change in national park, Korea. 213pp. (in Korean) 

  30. Lee, H.Y. (2013) The phytosoc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ies nephrolepis community and population dynamics as climate condition changes in Mt. Seorak, Korea. Ph. D. Dissertation, Univ. of Dongguk, Seoul, 184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Lenoir, J., J.C. Getout, P.A. Marquet, P. Ruffray, H. Brisse (2008) A signigicant upward shift in plant species optimum elevation during the 20th century. Science 320: 1768-1771. 

  32. McGarigal, K. and B.J. Marks (1994) Fragstats: Spatial pattern analysis program for quantifying landscape structure, Version 2. Univ. of Oregon State, Corvallis, 134pp. 

  33.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NIE) (2014) Subalpine conifer forest communities.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134pp. (in Korean) 

  34. O’Neill, R.V., R.H. Gardner, G.M. Turner (1992) A hierarchical neutral model for landscape analysis. Landscape Ecology 7: 55-61. 

  35. Park, K.H., S.G. Jung, J.O. Kwon, J.H. Oh (2005) Patterns of forest landscape structure due to landcover change in the Nakdong river basi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1(4): 47-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6. Park, H.C., H.Y. Lee, N.Y. Lee, H. Lee, J.Y. Song (2019) Survey on the distribution of evergreen conifers in the major national park a case study on Seoraksan, Odaesan, Taebaeksan, Sobaeksan, Deogyusan, Jirisan national park.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10(2): 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7. Root, T.L., J.T. Price, K.R. Hall, S.H. Schneider, C. Rosenzweig, J.A. Pounds (2003) Fingerprints of global warming on wild animals and plants. Nature 421: 57-60 

  38. Sohn, H.G., W.J. Kim, C.H. Park (2000) Landscape scale ecosystem assessment modelling using spatial pattern analysis of GIS: A case study of Yongin, Korea.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8(2): 233-2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9. Song, J.H., J.J. Lee, K.Y. Lee, J.C. Lee, Y.Y. Kim (2007) Variation in needle morphology of natural populations of abies nephrolepis Maxim. and A. Koreana Wils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6(4): 387-3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0. Stokes, M.A. and T.L. Smiley (1968) An introduction to tree ring dat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41. Tinker, D.B., C.A.C. Resor, G.P. Beauvais, K.F. Kimfmueller, C.I. Fernandes, W.L. Baker (1998) Watershed analysis of forest fragmentation by clearcuts and roads in a Wyoming forest. Landscape Ecology 13(3): 149-165. 

  42. Tischendorf, L. (2001) Can landscape indices predict ecological processes consistently. Landscape Ecology 16(3): 235-254. 

  43. Tres, B., G. Tres, H. D?camps, A.M. D'Hautesere (2001) Bridging human and natural science in landscape research. Landscape and Urban Planing 57(3): 137-141. 

  44. Wolkovich, E.M., B.I. Cook, J.M. Allen, T.M. Crimmins, J.L. Betancourt, S.E. Travers, S. Pau, J. Regetz, T.J. Davies, N.J.B. Kraft, T.R. Ault, K. Bolmgren, S.J. Mazer, G.J. McCabe, B.J. McGill, C. Parmesan, N. Salamin, M.D. Schwartz, E.E. Cleland (2012) Warming experiments underpredict plant phenological responses to climate change. Nature 485: 494-497. 

  45. Yim, Y.J. and S.D. Baik (1985) The vegetation of Mt. Seolag. The Chungang University Press, Seoul, 200pp. (in Korean) 

  46. Yim, Y.J. and J.U. Kim (1992) The vegetation of Mt. Chiri National Park. The Chungang University Press, Seoul, 466pp. (in Korean) 

  47. Yoon, E.J. (2006) Analysis of scale sensitivity and spatial discrimination of the landscape indices for the assessment of urban green in Seoul. Ph. D. Dissertation, Univ. of Seoul, Seoul, 178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8. Yun, J.H., J.H. Kim, K.H. Oh, B.Y. Lee (2010) Vertical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Jungsanri, Mt. Jiri by temperature gradient. Korean J. Environ. Ecol. 24(6): 680-7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