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유 수유 개별 방문 프로그램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Effect of Breastfeeding Individual Visits Program: A Systematic Review and a Meta-Analysis 원문보기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v.22 no.1, 2019년, pp.30 - 42  

조문주 (계명대학교 간호학과) ,  김혜영 (계명대학교 간호학과) ,  박서아 (계명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breastfeeding individual visit program. Methods: Based on the guidelines of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 a systematic search was conducted using fou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모유 수유 개별 교육이 실천율과 모유 수유 태도에 효과를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모유 수유 개별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체계적 문헌고찰에 포함된 연구는 1996년 이후 보고된 유사실험연구 13편으로 대상자 총수는 1,289명이었다.
  • 본 연구는 모유 수유 개별 방문 프로그램이 모유 수유실천율과 태도, 기술, 지식, 자신감에 대한 유사 실험연구의 결과를 통합하고 분석하여 효과 크기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산부를 대상으로 실시한 모유 수유 증진을 위한 개별 방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실험연구를 메타 분석하여 모유 수유 개별 방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 실무 적용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 또한, 모유 수유 교육내용을 정확히 제시하지 않은 연구가 많아 어떤 주제가 가장 효과적이었는지 규명해내는 것에 제한이 있다. 하지만 본 연구를 통해 임산부를 대상으로 모유 수유 개별 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한 실험연구를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시행하여 연구결과를 통합하고 과학적으로 그 효과를 검증한 측면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HO가 제시한 영아 영양 분류체계에서 혼합 수유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WHO가 제시한 영아 영양 분류체계를 이용하는데, 이는 고형식(보충식) 유무와는 관계없이 첫째, 100% 완전 모유 수유만 하는 경우, 둘째, 모유 수유를 인공수유보다 더 많이 하는 경우, 셋째, 모유 수유와 인공수유를 반반하는 경우, 넷째, 모유 수유를 인공수유보다 적게 하는 경우, 다섯째, 100% 완전인공수유를 하는 것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의 경우를 모유 수유, 둘째부터 넷째까지를 혼합 수유, 다섯째를 분유 수유라고 하고[12], 첫째의 완전 모유 수유를 한 경우의 실천율을 모유 수유의 실천율이라 말한다.
모유 수유 개별 방문 프로그램이란 무엇인가? 집단교육의 강의식 교육이 아닌 1:1의 개별적인 접근으로 방문교육과 가정방문을 통한 모유 수유 교육을 의미한다.
모유 수유를 계획하였으나 모유수유를 중단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임신 중 모유 수유를 계획하였으나 분만 후 여러 가지 이유로 모유 수유를 중단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 이유로 모유량 부족, 직장문제, 함몰 유두, 젓 몸살을 들고 있고, 퇴원 후 집으로 돌아가서 서툰 모유 수유 방법, 회음부 절개의 상처에 의한 수유 자세 불편감, 유방 울혈에 대한 동통, 직장여성은 모유를 먹일수 없다는 신념 등으로 인해 모유 수유를 포기하게 되는 것으로 상당한 부분 모유 수유 교육으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Gulick EE. Informational correlates of successful breast-feeding. MCN Am J Matern Child Nurs. 1982;7(6):370-375. 

  2. World Health Organization. Infant and young children: Modelchapter for textbooks for medical students and allied healthprofessionals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cited 2009 Nov 13]. Available from: http://apps.who.int/iris/bitstream/10665/44117/1/9789241597494_eng.pdf?ua1. 

  3. Kim BY, Kim JH. Influence of an early latching-on program on the breastfeeding rate. The Horizon of Nursing. 2013;10(2):97-110. 

  4. Choi JH, Yu M. A study on the employment status, educational level, and breastfeeding among Korean mothers. Indian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5;8(26):1-6. 

  5. Jung SH, Kim HR, Choi YS, Bae JW. Trends of Breastfeeding Rate in Korea (1994-2012): Comparison with OECD and Other Countries.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13;28(11): 1573-1580. 

  6. Choi EJ, Park EJ, Kim HR, Oh MA, Lee NH, Choi JH. Domestic Breastfeeding Surve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6. 97 p. 

  7. Ahn SY, Koh HJ. The effect of breast-feeding education on method, attitude, and duration of breast-feeding by primipara.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99:5(1):18-29. 

  8. Lee HJ. Effect of individual health education on the medical clinic of public health centers, self-efficacy, and self-care behavior in clients with hypertension.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Nursing. 2004;18(1):80-89. 

  9. Kistin N, Benton D, Rao S, Sullivan M. Breast-feeding rates among black urban low-income women: Effect of prenatal education. Pediatrics. 1990;86(5);741-746. 

  10. Rosen IM, Krueger MV, Carney LM, Graham JA. Prenatal breastfeeding education and breastfeeding outcomes.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child Nursing. 2008;33(5): 315-319. https://doi.org/10.14257/10.1097/01.NMC.0000334900.22215.ec 

  11. Kim JK, Choi HM, Ryu EJ. Postnatal breastfeeding knowledge, techniques and rates of first - time mothers depending on a prenatal breastfeeding education method.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1;17(1):90-99. 

  12. Jeong GH. Effects of breastfeeding promotion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maternal breastfeeding practices. [dissertation].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97. 133 p. 

  13. Yu YR, Park SY. Effect of breast-feeding attitude and breastfeeding practice by individual breast-feeding promotion program.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7):3310-3318. 

  14. Lee EJ. The effects of prenatal breastfeeding education on breastfeeding practice and knowledge. [master's thesis]. Daegu: Keimyung University; 1997. 60 p. 

  15. Song SM. Effects of the breastfeeding empowerment program on breastfeeding self-efficacy, adaptation and persistence of primiparous women. [master's thesis]. Gwangju: Nambu University; 2015. 104 p. 

  16.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NJ: L. Lawrence Earlbaum Associates; 1988. 

  17. Choi YJ, Kim, MO. Effect of a breastfeeding management program on breastfeeding dura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7:13(4):245-253. 

  18. Yun SE, Lee HK. The effects of breast-feeding adaptation, attitude and practice of primipara depending on method of postpartum breast-feeding educa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2;18(2):75-84. 

  19. Kim SH. Development of breastfeeding adaptation measurement tool.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 39(2):259-269. 

  20. Lee ES, Suh YS. Effects of breastfeeding education program on the promotion of mothers's feeding complianc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96;2(1):59-75. 

  21. Sung MH, Kim DH. Effects of breast-feeding education and continuous phone counseling on the promotion of breast-feeding compli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03;7(2):167-178. 

  22. Um JW, Lee IS, Hwang MS, Kim EJ, Kim MS. The effect of a breast-feeding educational program by postpartum home health care on the promotion of mother's feeding complianc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0;6(1):49-71. 

  23. Park MK, Moon SH. Effects of an individual breast-feeding promotion program for married immigran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6;46(1):128-139 

  24. Park SO, Jee YJ. The effects of breastfeeding support program on the attitude and knowledge of breastfeeding, level of Na+ within milk, and continued breastfeeding.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5;5(1):11-20. https://doi.org/10.14257/AJMAHS.2015.02.09 

  25. Kim YM. Effects of a breast-feeding empowerment program on exclusive breast-feed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2):279-287. 

  26. Song SM, Park MK. Effects of breastfeeding empowerment program on breastfeeding self-efficacy, adaptation and continuation in primiparous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6;46(3):409-419. 

  27. Suh YS, Lee ES. The effect of breast feeding promotion program on the changes in confidence towards the breast feeding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998;2(1):13-27. 

  28. Park IH, Hwang NM.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of breastfeeding and challenges of support polic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994. 117 p. 

  29. Son IA. Factors affecting breastfeeding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rate.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07. 65 p. 

  30. Jang GJ, Kim SH. Effects of continuous breastfeeding support on breastfeeding practice by phone counseling after discharg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2):117-1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