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방암 환자 대상의 운동 중재 프로그램이 기능회복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s on Recovery of Functional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원문보기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v.22 no.1, 2019년, pp.10 - 21  

박서아 (계명대학교 간호학과) ,  조문주 (계명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icacy of exercise program on recovery of functional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Methods: The following databases were used to search the literature: RISS, KISS, KMbase,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유방암 환자 대상의 운동 중재 프로그램 효과를 규명하고자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대상 논문은 총 7편으로, 4편은 무작위 대조군 연구(RCT), 3편은 비무작위 대조군 연구(NRCT) 3편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에게 적용한 운동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통합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수행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 발표된 유방암 환자를 위한 운동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 7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목적은 국내의 유방암 환자의 대상의 상지기능 및 삶의 질 회복을 위해 사용된 중재방법으로 운동 중재 프로그램에 선행연구들에 대하여 주요 연구방법 및 주요 결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서, 이를 바탕으로 향후 유방암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그러나 국내 유방암 환자 대상의 운동 중재 프로그램 효과를 보고한 한 메타분석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의 기능회복을 위한 운동 중재 프로그램이 어깨관절 가동범위, 악력, 통증, 상지기능 불편감 및 삶의 질의 신체적 측면과 삶의 질에 실제적으 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다룬 국내의 연구현황들을 찾아보고, 이들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해 보고자 시도되었으며, 아울러 운동 중재 프로그램을 통한 유방암 환자에게 미치는 임상적 가능성 및 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사용되는 유방암 치료는 무엇인가? 유방암 치료는 수술치료,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가 시행되고 있으며, 그 중 1차적 방법으로 수술적 치료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1]. 유방암의 1차적 치료인 수술방법으로는 부분 절제술이나 전체 절제술을 시행되고 있다[3].
유방암 환자들의 수술 후 운동중재가 미치는 효과는 무엇인가? 최근 선행연구에 따르면 유방암 환자들의 수술 후 운동중재는 통증, 신체조성, 신체활동 기능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며[6-9], 부종을 감소시키며, 상지기능 및 어깨관절 가동범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10,11]. 또한 유방암 환자의 신체 회복을 촉진하고 증상이 악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유방암 환자의 수술 후 스트레칭이나 관절가동성 운동을 권장하고 있으며[12], 현재 감소된 상지기능 및 어깨관절 가동범위의 회복을 위하여 유방 절제술 환자들에게 다양한 운동 중재 프로그램들이 시도되고 있다.
유방암 환자들에게 감각운동훈 련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유방암 환자는 수술로 인한 변화된 외모로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며, 일상생활동작 수행 장애와 정신적인 문제를 동반하기 때문에 그들의 삶의 질에도 매우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31]. Seo 와 Choi [8]의 연구에서 유방암 환자에게 감각운동훈 련을 적용함으로써 신체적 부정적인 결과를 전보다 감소시켰고, 삶의 질에도 긍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Breast cancer facts & figures 2016 [Internet]. Seoul: Korean Breast Cancer Society, 2016 [cited 2018 March 30]. Available from: http://www.kbcs.or.kr/journal/file/2016_Breast_Cancer_Facts_and_Figures_updated.pdf 

  2. Halverstadt A, Leonard A. Essential Exercises for Breast Cancer Survivors:How to Live Stronger and Feel Better. Harvard Common Press; 2000. p. 8-28. 

  3. Fobair P, Stewart SL, Chang S, D'onofrio C, Banks PJ, Bloom JR. Body image and sexual problems in young women with breast cancer. Psycho Oncology: Journal of the Psychological, Social and Behavioral Dimensions of Cancer. 2006;15(7):579-594. 

  4. Park YJ. Effect of tai chi exercise program on self-efficacy, pain, and physical function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dissertation].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4; 73 p. 

  5. Yoo YS, Jung SS, Cho OH. Effects of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program on physical function and fatigue in mastectomy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5;17(2):298-309. 

  6. Kim YW, Kim MS. The effects of 12 week's yoga, elastic band exercise and Swiss ball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unction improvement for breast cancer survivor. Korean Society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09;35(2):1051-1060. 

  7. Lee JA. Effects of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s on breas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2017;31(2):169-185. 

  8. Seo JY, Choi JD. The effects of sensory motor training using ball exercise on shoulder functions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women after mastectomy.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16;11(4):147-156. 

  9. Kim CW, Kwak YS, Kim YS, Kim KC, Kim HE. The effect of tai-chi exercise on the function of shoulder joint, heart rate in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Life Science. 2010;(3):345-349. 

  10. Hayes SC, Speck RM, Reimet E, Stark A, Schmitz KH. Does the effect of weight lifting on lymphedema following breast cancer differ by diagnostic method: results fro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2011; 130(1):227-234. 

  11. Zhou WB, Zhang PL, Liu XA, Yang T, He W. Innegligible musculo skeletal disorders caused by zoledronic acid in adjuvant breast cancer treatment: a meta-analysis. Journal of Experimental & Clinical Cancer Research. 2011;30(1):1-7. 

  12. Amy H, Andrea L. Essential Exercise for Breast Cancer Survivors. Harvard Common Press. 2000. 

  13. Lee BK, Lee JS, Kim TS. The influence of 4wks complex therapeutic exercises on visual analog scale of pain and range of motion for middle-aged women with breast cancer-related lymphedem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13;8(2):153-161. 

  14. Lee CM, Kim SM, Na SY, Lee NH.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training for breast cancer survivors in health related fitness, leptin and insulin. Exercise Science. 2008;18:225-238. 

  15. Kim JJ, Lee SJ, Choi JY, Lim JM. The effects of home-based exercise education on shoulder range of motion, lymphedema, and pain for breast cancer resection patients.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2012;21(4):895-903. 

  16. Bae YH, Lee SM. The effects of motor control and strengthening exercise on secondary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at postmastectomy.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2;13(5):2240-2250. 

  17. Woo JH, Kim TW. Effectiveness affecting to the shoulder functionality by the health care exercise program for the upper limbs after breast cancer surgery. Korea Sport Research. 2007;18(6):567-576. 

  18. Park SY, Kim JI. Effects of BeHaS exercise program on flexibility, grip strength, stress and self-esteem in breast cancer survivors.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3;20(3):171-179. 

  19. Liberati A, Altman DG, Tetzlaff J, Mulrow C, Gotzsche PC, Ioannidis JP, et al. The PRISMA statement for report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of studies that evaluate health care interventions: explanation and elaboration. PLoS medicine. 2009;6(7):e1000100. 

  20. Kim SY, Park JE, Seo HJ, Lee YJ, Jang BH, Son HJ, et al.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1;141-142. 

  21. Becker BJ. Synthesizing standardized mean change measures. British Journal of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Psychology. 1988;41(2):257-278. 

  22. Morris SB, DeShon RP. Combining effect size estimates in metaanalysis with repeated measures and independent-groups designs. Psychological Methods. 2002;7(1):105. 

  23. Netz Y, Wu MJ, Becker BJ, Tenenbaum G. Physical a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vanced age: a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Psychology and Aging. 2005;20(2):272. 

  24. Deeks JJ, Higgins JPT, Altman DG, Green 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updated March 2011).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11. http://www.cochranehandbook.org. 

  25. Lee TS, Kilbreath SL, Refshauge KM, Pendlebury SC, Beith JM, Lee M. Pectoral stretching program for women undergoing radiotherapy for breast cancer.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2007;102(3):313-321. 

  26. Park YM. Effects of an early upper-limb exercise program on the shoulder joint function after breast cancer surgery [dissertation]. Seoul: Sahmyook University; 2008. 46 p. 

  27.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28. Lim KH. Effectiveness of individualized upper extremity exercise program for patients after mastectom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8;19(10):313-323. 

  29. Won HJ, Kim JI. The effect of cancer-overcome BeHaS exercise program on pain, flexibility, grip strength and stress in breast cancer patients following surger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9;16(2):181-189. 

  30. Hwang JH, Chang HJ, Shim YH, Park WH, Park W, Huh SJ, et al. Effects of supervised exercise therapy in patients receiving radiotherapy for breast cancer. Yonsei Medical Journal. 2008;49(3):443-450. 

  31. Ryu YM, Yi M. Th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sian Oncology Nursing. 2013;13(3):121-127.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