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 이용자의 도서관 정보자원 접근성 향상을 위한 도서관 웹사이트의 검색시스템 현황조사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Retrieval Systems on the Library Website for the Improving Accessibility to Library Information Resources of Disabled User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53 no.4, 2019년, pp.231 - 254  

백재은 (덕성여자대학교)

초록

도서관 웹사이트는 도서관 정보자원과 이용자를 연결해주는 수단이자 매개체이다. 그러나, 기존의 도서관 웹사이트와 검색시스템은 정보자원에의 검색방식 및 접근방법이 대부분 비장애인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계되어, 장애인 이용자는 도서관 웹사이트를 통한 도서관 정보자원에의 접근과 이용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은 도서관서비스는 장애인 이용자에게 도서관 웹사이트 및 정보자원에의 접근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되기 때문에, 장애인 이용자의 도서관 정보자원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도서관 웹사이트에의 접근 편의성과 검색 용이성, 정보자원의 제공 충분성 등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도서관 웹사이트의 접근성과 검색 용이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자 차후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웹사이트의 검색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토대연구로, 우리나라의 국 공립 도서관 웹사이트의 검색시스템에 대해 현황조사 및 분석을 실시한다. 그리고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간단하게 나열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brary website is medium for connecting library information resources and users. However, searching and accessing methods to information resources in library websites and retrieval systems are mostly designed for users. So, the disabled users have difficulty accessing and using library information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장애인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도서관 웹사이트, 검색시스템의 서비스 및 기능 등을 조사하고 장애인 이용자의 요구를 파악하여 현실적인 개선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국외의 도서관 웹사이트 및 검색시스템을 비교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장애인 이용자를 위한 도서관 웹사이트 검색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장애인 이용자를 위한 도서관 웹사이트 발전과 장애인 이용자의 도서관 정보자원 접근성 향상을 위해 기초적인 현황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장애인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도서관 웹사이트, 검색시스템의 서비스 및 기능 등을 조사하고 장애인 이용자의 요구를 파악하여 현실적인 개선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이용자의 도서관 정보자원(대체자료 중심)에의 접근향상을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도서관 정보자원에의 접근을 위한 통로이자 검색과 이용을 위해 활용되는 도서관 웹사이트의 검색시스템에 대해 우리나라의 국․공립 도서관을 대상으로 현황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 조사결과에 의하면, 장애인의 정보 접근성은 장애유형뿐 아니라 장애정도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에 장애정도가 중요한 변수라는 것이 확인되었고, 신체 장애인보다 정신 장애인의 정보 접근성 수준이 낮게 분석되어 정신 장애인을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 논문은 장애인의 정보 접근성을 향상시키기위한 토대연구라는 점에서 본 연구와 관련성을 가지고 있고, 이 논문의 분석결과는 본 연구에 도서관 웹사이트의 검색시스템에서 정보자원,대체자료에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검색메뉴로 장애유형․정도가 필요하다는 기초 관점을 제공하였다.
  • 이에 검색완료에 관한 조사는 장애인 이용자의 관점에서 정보자원의 획득에 활용되는 정보자원의 대출예약 및 이용을 위한 웹사이트 로그인 기능과 정보자원의 배송서비스에 대해 살펴보았다( 참조).
  • 장애인 이용자의 도서관 정보자원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도서관 웹사이트에의 접근 편의성과 검색 용이성, 정보자원의 정확성, 대체자료의 충분성 등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든 유형의 장애인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도서관 정보자원에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우리나라 국․공립 도서관 웹사이트 검색시스템에 대한 현황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 다시 말해서, 장애인 이용자의 시각에서 도서관 정보자원의 접근성과 활용성에 중점을 두어도서관 웹사이트와 검색시스템의 구성 및 설계를 진행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든 유형의 장애인 이용자의 정보요구에 대한만족도를 높이고, 도서관 정보자원에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자 차후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웹사이트의 검색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필요한 토대 연구로, 우리나라의 국․공립 도서관 웹사이트의 검색시스템에 대해 현황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간단하게 나열하였다.
  • 이 15개의 장애유형을 토대로 강숙희(2011)는 도서관 이용 및 정보 접근상의 장애 라는 관점에서 장애유형을 5개군 - ① 지체․뇌병변 장애, ② 청각․언어 장애, ③ 시각장애, ④ 정신적 장애, ⑤ 기타 신체적 장애 - 으로 재분류하였다. 이에 본 장에서는 강숙희(2011)에 의해 재분류된 5개 군의 장애유형을 바탕으로 각 장애유형별 정의 및 범주, 특성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장애인 이용자를 위한 도서관 웹사이트 발전과 장애인 이용자의 도서관 정보자원 접근성 향상을 위해 기초적인 현황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장애인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도서관 웹사이트, 검색시스템의 서비스 및 기능 등을 조사하고 장애인 이용자의 요구를 파악하여 현실적인 개선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국외의 도서관 웹사이트 및 검색시스템을 비교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장애인 이용자를 위한 도서관 웹사이트 검색시스템을 설계하고자 한다.
  • 장애인 이용자의 도서관 정보자원(대체자료 중심)에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우리나라 국․공립 도서관 웹사이트의 검색시스템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본 장에서는 3장의 조사 결과를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여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 웹사이트의 검색시스템에 대한 개선방안을 간단하게 나열하였다.
  • 장애인은 의학부터 컴퓨터공학, 예술학, 문헌정보학까지 여러 학문분야와 관점에서 연구주제로 활용되고 있다. 폭넓은 범주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 이용자의 장애유형별 서비스, 장애인의 정보 접근성 및 정보이용, 웹 정보원에의 접근성 등에 관련된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체자료의 구성 요소는 무엇이 있는가? 대체자료는 “일반적인 인쇄물을 읽을 수 없는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도록 번안하여 제작된 자료(국립 장애인 도서관 2016)”로, 자료유형이 다양하고 기준에 따라 사용법이나 이용대상자의 범주가 상이하다. 대체자료는 음성자료(오디오북, 보이스 브레일도서, 녹음도서, 데이지자료 등), 점자․묵자자료(점자라벨도서, 점자도서, 전자점자파일 등), 영상자료(화면해설 영상자료,수어 영상자료, 자막 영상자료), 기타자료(촉각 도서, 보이스 아이북, 큰 글자도서, 읽기쉬운도서 등)등으로 구성되며, 대체자료를 수집하고 제공하는 국내의 주체 기관은 국립 장애인 도서관, 장애인 도서관, 공공도서관(장애인 코너, 장애인 자료실), 민간기관(장애인 복지관 등) 등이 있다(임명환, 길연회, 정광일 2015).
시각장애의 정의는 무엇인가? 시각장애는 시(視)에 관한 여러 기능의 현저한 저하 또는 소실에 의해 일상생활 또는 사회생활에 제약이 발생하는 장애로(교육부 2016),장애등급 판정기준에 따라 차이가 있다. 장애는 크게 확대경․돋보기를 이용하여 묵자자료의 이용이 가능한 경우와 일상적인 생활이 전혀 불가능한 경우로 구분된다.
장애인은 신체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로 구분되는데 각각의 의미는 무엇인가? 장애인은 장애로 인해 오랜기간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은 사람(보건복지부 2016)으로, 크게 신체적 장애와 정신적 장애로 구분된다. “신체적 장애는 주요 외부 신체기능의 장애, 내부기관의 장애를 칭하고, 정신적 장애는 발달장애 또는 정신질환으로 발생하는 장애(보건복지부 2016)(보건복지부 2017)”를 의미한다. 다만, 장애는 장애의 유형과 정도에 따라 ‘중복장애’6)가 발생하기에 장애를 하나의 용어로 한정하여 표현하는 것은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ang, Sook-Hee. 2011. "A Study on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Ser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by Types of Disability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1): 97-123. 

  2. Kang, Soon-Hee. 2005. "Study on the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9(2): 237-258. 

  3. Gwak, Chi-Young. 2000. Policy Proposals for Reducing the Digital Divide. Seoul: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4. Ministry of Education. 2016. Special Education Law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Others.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online] [cited 2019. 4. 17.] 

  5. National Library for the Disabled. Official Website of National Library for the Disabled. [online] [cited 2019. 4. 17.] 

  6. National Library for the Disabled. A book clip Website (Chek Nare). Seoul: National Library for the Disabled. [online] [cited 2019. 4. 17.] 

  7.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7. Status of Service for the Disabled in the Library, 2017.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8. Kim, Meen-Chul and Lee, Jee-Yeon. 2013. "A Study on Analyzing the Disabled-related Information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2): 169-188. 

  9. Kim, Yong-Gun. 2006. "Information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Based on Web Sit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7(3): 265-287. 

  10. Noh, Jin-Goo. 2000. "An Analsis of User Needs for User-Centere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Design of University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4(4): 69-95. 

  11.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02. "A Study on the Library Development Plan for the Future of Knowledge, 2003-2011." Library Culture, 43(4): 89-97. 

  12.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2018. Library Act. Sejong: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online] [cited 2019. 4. 17.] 

  13.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Website of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Sejong: Ministry of Culture & Tourism. [online] [cited 2019. 4. 17.] 

  1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6. Welfare Law for the Disabled. Se-j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online] [cited 2019. 4. 17.] 

  1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7. Status Survey on Disabled, 2017.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1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8. Eordinance of the Welfare Law for the Disabled.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online] [cited 2019. 4. 17.] 

  17. ASAN Foundation. 1981. Handbook of ther Welfare of the Disabled. Seoul: ASAN Foundation. 

  18. Yoon, Cheong-Ok. 2011. "A Research on the Information Portal for the Disable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3): 27-47. 

  19. Yoon, Hee-Yoon. 2007. "A Study on the National Library Service Policy for the Disabled Persons in Developed Countries: Focusing on the U.S.A., the U.K., and Japa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4): 215-240. 

  20. Lee, Won-Kyung and Seo, Eun-Gyoung. 2013. "Website Design for Improving Web Accessibility of Disabled Peop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0(1): 192-219. 

  21. Lee, Eung-Bong. 2003. "A Study on the Usability Evaluation for Improving Quality of Information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of Daejeon City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7(3): 177-196. 

  22. Rim, Myung-Hwan, Gill, Youn-Hee and Jeon, Gwan-Gil. 2015. "The Implementation Directions and an Analysis of Assistive Devices and Alternative Formats to Improve Accessibility for Disabled People." Internationa Jounal of Contents, 15(7): 664-673. 

  23. Jang, Kyoung-Lae et al. 2017. "Associ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Assistive Technology Devices and Psychosocial Impact among Some Mentally or Physically Disabled Children."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Community Health, 42(3): 132-144. 

  24. Cho, Ju-Eun. 2003. "Information Accessibil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Types and Degress of Disabilit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y Society, 26(2): 147-173. 

  25. Korea Employment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KEAD). 2016. Disabled Statistics 2016. Sung-Nam: KEAD.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