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장애유형별 실증적 요구도 조사 연구
A Study on Empirical Needs of Users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in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0 no.1, 2019년, pp.145 - 180  

차성종 (숭의여자대학교 문헌정보과) ,  배경재 (동덕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장애인 이용자의 실증적인 도서관서비스 이용 실태 및 요구도를 장애유형별로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도서관 장애인서비스를 제공할 때 장애인 이용자들이 우선적으로 요구하는 구성요소들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로, 첫째, 장애인 이용자의 실질적인 도서관 이용실태 현황을 장애유형별로 분석하였다. 둘째,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주요 구성항목에 대한 장애유형별 중요도 및 만족도를 조사하여 제시하였다. 셋째,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주요 구성항목별 Borich 요구도를 분석하고 장애유형별 도서관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장애인 이용자의 이용 목적별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주요 항목에 대한 Borich 요구도 차이를 분석하고 장애유형별로 도서관 이용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다섯째, 장애인 이용자의 이용 도서관 유형별 Borich 요구도 차이를 분석하고 장애유형별 도서관서비스 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derive components that users with disabilities demand first when using library services by analyzing the actual usages and demands of handicapped users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tual situat...

주제어

표/그림 (36)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장애인서비스는 무엇인가? 도서관장애인서비스는 지체장애인이나 지적 장애인과 같이 특정 장애를 지닌 사람들을 위한 서비스라기보다는 도서관 이용 그 자체에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위한 서비스를 말한다. 도서관이용에 장애가 있는 이용자층을 일컫는 유사한 용어로 독서장애인이라는 개념이 사용되기도 한다.
어떤 지식정보 취약계층에 정보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나? 사회적 양극화 현상을 문화적으로 완화시키고, 사회적 약자 계층인 지식정보 취약계층에게 평등한 정보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기관으로써 도서관의 기능은 현대사회에서 더욱 중요해 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도서관법 에서는 도서관의 주요 책무로서 지식정보 취약계층의 지식정보 격차 해소를 명시하고 있으며, 동법 시행령 제21조에서 지식정보 취약계층에 대해  장애인복지법 에 따른 장애인,  국민기초 생활보장법 에 따른 수급권자, 65세 이상의 노인, 농어촌의 주민으로 정의하고 도서관이 이들을 위한 정보서비스를 제공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장애인 이용자의 실증적인 도서관서비스로는 무엇이 필요한가? 첫째,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의 주요 구성항목별 Borich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시각 및 청각 장애인 이용자의 경우 ‘도서관 직원’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도서관서비스 활성화를 위해서는 사서, 수화통역사, 사회복지사 등각 장애유형별 이용자를 대상으로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직원의 배치 및 활용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지체장애인 이용자의 경우 ‘도서관 장서’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도서관서비스 제고를 위해서는 읽기쉬운도서, 큰클자도서, 디지털 녹음도서 등 지체장애인 이용자가 선호하는 질 높은 도서관 장서의 구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ang, Sook-Hee. 2011. "A Study on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Ser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by Types of Disability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42(1): 97-123. 

  2. Kang, Ji-Hei, Sung-Jong Cha, and Kyung-Jae Bae. 2018. "A Study on Disabled Users' Core Needs According to the Types of Disorders for Library Servi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49(1): 173-191. 

  3. Kwak, Chul-Wan and Ho Yeon Kim. 2012.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Culture and Art Complex."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1): 241-261. 

  4.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2019. Public Library Main Statistics. [online]. [cited 2019.1.19]. . 

  5. National Center for the Disabled Library. 2009.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the Service of the Disabled in the Library.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6.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2. National Survey on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7. National Library of the Disabled. 2014. Development of Textbooks for Understanding the Library Disability Services.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8.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6. Survey on Reading Activity of the Disabled.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9.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7. National Survey on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10. Kim, Su-Kyoung. 2009. An Investigation of In-service Status and Educational Needs of Engineering Faculties. M.A. Thesis.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1. Noh, Young-hee, In-Ja Ahn, and Mi-Young Park. 2011. "A Study of Differently-Abled Users' Perception of Public Relations Services in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4): 179-207. 

  12. Bae, Kyung-Jae. 2016. "A Study on the Empirical Evaluation of Quality Factor on Library Service for the Disable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0(2): 271-287. 

  13. Oh, Seon-Kyung and Jee-Yeon Lee. 2011. "A Study on the Non-use Factors of the Visually Disabled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3): 141-162. 

  14. Jang, Bo-Seong, Eun-Jung Kim, and Young-Jun Nam. 2010. "Measurement and Analysis of Library Anxiety among Library Handicapped User."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3): 309-327. 

  15. Jang, Bo-Seong. 2015. "An Analysis on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nd Needs of Hearing Impaired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2(1): 297-316. 

  16. Chung, Jae-Young and Hye-Mi Jeong. 2010. "Improvement Plan for Library Services Through the Disabled Users' Needs Analysis in University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2): 189-207. 

  17. Jung, Jin-Hyun. 2013. "The Educational Needs Analysis on Engineering Technology Culture Education i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Teacher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6(4): 163-186. 

  18. Choi, Jung-Im. 2009. A Practical Guide to Needs Assessment for HRD. Seoul: Hakjisa. 

  19. Borich, G.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1): 39-42. 

  20. ICDRI. 2010. Reading Rights Coalition. [online]. [cited 2019.1.10]. . 

  21. Mckillip, J. 1987. Needs Analysis: Tools for the Human Services and Education. CA: Sage Publication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