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의미연결망분석과 토픽모델링 중심
A Study on Research Trend for Nurses' Workplace Bullying in Korea: Focusing on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8 no.4, 2019년, pp.221 - 229  

최정실 (가천대학교 간호대학 간호학과) ,  김영지 (공주대학교 간호보건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re keywords and topic groups of workplace bullying researches in the past 10 years for better understanding research trend.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in four steps: 1) collecting abstracts, 2) extracting and cleaning semantic morphemes, 3) buil...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WB는 개인이 해결하기에 어려운 문제로 조직적 차원에서 관리되어야 하며, 간호사의 이직과 직접 관련이 많은 간호문제이기에, 간호 실무의 발전을 위해 그동안 시행되어진 관련연구들을 분석하여 이론적 근거를 수립하고 앞으로 진행될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텍스트네트워크분석을 통해 WB 관련 연구들의 핵심 개념을 찾아보고, 연구주제를 규명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국내의 직장 내 괴롭힘 관련 연구들의 초록을 대상으로 텍스트네트워크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핵심 개념을 파악하고 연구 주제를 찾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의 직장 내 괴롭힘 관련 연구들의 초록을 대상으로 텍스트네트워크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핵심 개념을 파악하고 연구주제를 찾기 위한 연구이다. 직장 내 괴롭힘 관련 연구 분야에서 중요한 핵심키워드는 이직, 의도, 요인, 프로그램, 간호, 관련, 효과, 회귀로 나타났다.
  • 저자키워드의 경우, 분석이 용이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비교적 쉽게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저자가 선정한 키워드를 분석 단위로 삼기 때문에 저자의 의도가 잘 반영됨 과 동시에 색인자효과가 나타나는 것이 제한점이다. 본 연구는 비록 단어정제의 어려움이 크지만 초록을 분석대상으로 추출하여 색인자 효과를 줄이고자 하였다(Park, 2019). 이번 연구에서는 키워드를 이용하여 의미론적 관계를 포괄적으로 분석하고자 초록을 분석 단위로 사용하였다.
  • 이번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해 간호사의 WB에 대한 관련연구를 분석하며, 출현빈도와 중심성 지표에 근거하여 핵심 개념을 파악하고, 주제 그룹(topic group)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B가 가져오는 악영향은 무엇인가? 한편, WB는 스트레스, 피곤, 고혈압과 같은 신체 증상을 초래하고, 우울, 불안,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 자살사고 및 자살시도 등의 정신적인 문제를 가져오며, 이외에 결근, 직무 만족 저하 및 이직의도 증가 등 조직 관리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WB의 부정적 영향으로 간호 생산성이 감소하고 간호의 질이 저하되므로, 병원조직에서 WB를 근절하기 위한 관심과 대책이 필요하다(Laschinger, Grau, Finegan, & Wilk, 2010; MacIntosh, Wuest, Gray, & Cronkhite, 2010; Rocker, 2008; Cho, 2018).
직장 내 괴롭힘이란 무엇인가? 최근 매스컴에서 ‘태움’으로 명명되고 있는 ‘직장 내 괴롭힘(Workplace Bullying, WB)’은 ‘한 개인이 한 명 이상의 개인들에 의해 거의 매일 또는 수개월의 기간 동안 잠재적 또는 드러나는 위험성을 겪으며 거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상황에서 공격받는 사회적 상호작용’으로 정의되고 있다(Leymann, 1996). WB는 개인의 인간적 가치를 무시하거나 훼손하며, 보건의료계 직종에서 특히 간호사를 통제하는 행동으로 몇 달에 걸쳐 반복적이고 정기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Park, Shin, Cho, & Kim, 2018).
병원이라는 특스한 환경에서 간호사의 직장내 괴롭힘이 타 직종에 비해 심각한 이유는 무엇인가? 다양한 직장 중 병원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은 다른 직종에 비하여 문제가 특히 심각하다. 병원은 환자의 생명을 다루는 곳이므로 긴장과 스트레스가 높으며, 간호직종은 근무경력에 따라 위계질서가 강하여 간호 직에서 직장 내 괴롭힘이 많이 발생 한다고 보고되고 있다(Roberts, DeMarco, & Griffin,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ggarwal, C. C. (2011). An introduction to social network data analytics. In Social network data analytics. Boston, MA: Springer. 

  2. Blei, D. M., & Lafferty, J. D. (2007). A correlated topic model of science. The Annals of Applied Statistics, 1(1), 17-35. https://doi.org/10.1214/07-aoas114 

  3. Chang, E. Y. (2011). Foundations of large-scale multimedia information management and retrieval: mathematics of perception. New York: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4. Cho, H. K., Lee, T. Y., & Kim, C. W. (2015). Hospital nurse turnover rate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 453-461. https://doi.org/10.5762/kais.2015.16.1.453 

  5. Cho, K. J., & Kang, K. H. (2017). Influence of workplace bullying and resilien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general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6(2), 105-113. 

  6. Cho, K. S. (2018). Effects of workplace face to face bullying, cyber bullying and self-esteem on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5(3), 218-229. https://doi.org/10.5953/JMJH.2018.25.3.218 

  7. Greene, D., O'Callaghan, D., & Cunningham, P. (2014). How many topics? stability analysis for topic models. In Joint European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 and Knowledge Discovery in Databases. Berlin, Heidelberg: Springer. 

  8. Jo, E. A., & Kang, J. (2015). Influence of workplace bullying and resilience o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2(2), 78-86. https://doi.org/10.5953/jmjh.2015.22.2.78 

  9. Kang, J. Y., & Lee, M. J. (2016a). Pooled prevalence of workplace bullying in nursing: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9(1), 51-65. 

  10. Kang, J. Y., & Lee, M. J. (2016b). The related factors to workplace bullying in nurs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8(4), 399-414. https://doi.org/10.7475/kjan.2016.28.4.399 

  11. Kim, Y. L., & Park, E. (2017). Comparison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experience of workplace bullying in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6(3), 197-206. https://doi.org/10.5807/kjohn.2015.24.1.19 

  12. Laschinger, H. K., Grau, A. L., Finegan, J., & Wilk, P. (2010). New graduate nurses' experiences of bullying and burnout in hospital setting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 2732-2742. https://doi.org/10.1111/j.1365-2648.2010.05420.x 

  13. Lee S. Network analysis methods. Seoul: Nonhyoung; 2012. p. 13-15. 

  14. Lee, E. M., & Kim, D. H. (2018). Moderating effect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in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and nursing service quality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4(5), 375-386.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5.375 

  15. Lee, Y., & Lee, M. (2014). Development and validity of workplace bullying in nursing-type inventory (WPBN-TI).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2). https://doi.org/10.4040/jkan.2014.44.2.209 

  16. Lee, Y., Lee, M., & Bernstein, K. (2013). Effect of workplace bullying and job stress on turnover intention in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2(2), 77-87. https://doi.org/10.12934/jkpmhn.2013.22.2.77 

  17. Leymann, H. (1996). The content and development of mobbing at work. European Journal of Work & Organizational Psychology, 5(2),165-184. https://doi.org/10.1080/13594329608414853 

  18. MacIntosh, J., Wuest, J., Gray, M. M., & Cronkhite, M. (2010). Workplace bullying in health care affects the meaning of work. Qualitative Health Research, 20, 1128-1141. https://doi.org/10.1177/1049732310369804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improvement plan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cited 2018 Oct 20].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44262&page1 (accessed May. 31, 2019) 

  20. Nam, W., Kim, J. W., Kim, Y. K., Koo, J. W., & Park, C. Y. (2010).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negative acts questionnairerevised (NAQ-R) for nurses for the assessment of workplace bullying.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2(2), 129-139. https://doi.org/10.35371/kjoem.2010.22.2.129 

  21. Park, C. S. (2019). Using text network analysis for analyzing academic papers in nursing.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6(1), 12-24. https://doi.org/10.16952/pns.2019.16.1.12 

  22. Park, M. S., Oh C. U., & Han, H. S. (2014). Influences of the workplace bullying and social support on turnover intension of nurs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9), 166-173. https://doi.org/10.5762/KAIS.2018.19.9.166 

  23. Park, S. Y., Shin, H., Cho, Y., & Kim, S. (2018).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for workplace bullying among nurse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4(4), 339-351.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4.339 

  24. Roberts, S., DeMarco, R. F., & Griffin, M. (2009). The effect of oppressed group behavior on the culture of the nursing workplace: A review of evidence and interventions for change.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7(3), 288-293. https://doi.org/10.1111/j.1365-2834.2008.00959.x 

  25. Robertson, S. E. (1977). The probability ranking principle in IR. Journal of Documentation, 33(4), 294-304. https://doi.org/10.1108/eb026647 

  26. Rocker, C. F. (2008). Addressing nurse-to-nurse bullying to promote nurse retention. Online Journal of Issues in Nursing, 13(3), 11. 

  27. Samnani, A., & Singh, P. (2012). 20 Years of workplace bullying research: A review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bullying in the workplace.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17(6), 581-589. https://doi.org/10.1016/j.avb.2012.08.004 

  28. Seo, Y. M., & Park, K. B. (2011). Uncertainty analysis for parameters of probability distribution in rainfall frequency analysis by bayesian MCMC and metropolis hastings algorithm.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0(3), 329-340. 

  29. Sim, H. S., Ahn, S. Y., & Lee, Y. J. (2018). The convergence effects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workplace bullying, and hospital violence attitude on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0), 589-597. 

  30. Skehan, J. (2015). Nursing leaders: strategies for eradicating bullying in the workforce. Nurse Leader, 13(2), 60-62. https://doi.org/10.1016/j.mnl.2014.07.015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