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공감만족, 회복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Job Stress, Compassion Satisfaction and Resilience on Depression of Nurse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8 no.4, 2019년, pp.253 - 261  

정주리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  신소영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job stress, compassion satisfaction, and resilience on depression of nurses. Methods: One hundred seventy six nurses working at one tertiary hospital in one metropolitan city were included.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st to...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 공감만족, 회복탄력성과 우울의 정도 및 이들 간의 관계를 조사하고,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추후 우울을 감소시키고 관리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그 결과, 결혼여부, 직무 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이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들에게 직무 스트레스가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직무 스트레스란 간호사를 비롯한 전문직업인들에게서 직업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개인적인 스트레스로, 직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직무를 둘러싼 환경과 관련되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Han, Kim, & Won, 2007). 의료 환경의 일선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는 높은 직업적 윤리의식이 요구되고, 위험에 노출되기 쉬운 근무환경에서 환자 간호, 보호자 관리 및 다양한 업무를 부족한 시간 내에 동시다발적이고 신속하게 수행해야 하는 압박감을 받고 있다(Kim, 2011). 또한, 간호사는 업무의 특성상 타 분야와의 협조가 필요한 경우가 많아 그들과의 이해관계가 중요시 되는 만큼 여러 가지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되고 있다(Kim, 2011). 직무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간호사의 우울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은 간호사에게 복합적인 신체적, 정신적 증상을 수반하게 하고 결국 질병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며, 환자 간호에 있어 질과효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Kim & Park, 2012).
직무 스트레스란? 직무 스트레스란 간호사를 비롯한 전문직업인들에게서 직업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개인적인 스트레스로, 직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직무를 둘러싼 환경과 관련되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Han, Kim, & Won, 2007). 의료 환경의 일선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는 높은 직업적 윤리의식이 요구되고, 위험에 노출되기 쉬운 근무환경에서 환자 간호, 보호자 관리 및 다양한 업무를 부족한 시간 내에 동시다발적이고 신속하게 수행해야 하는 압박감을 받고 있다(Kim, 2011).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증가하면 어떻게 되는가? 또한, 간호사는 업무의 특성상 타 분야와의 협조가 필요한 경우가 많아 그들과의 이해관계가 중요시 되는 만큼 여러 가지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되고 있다(Kim, 2011). 직무 스트레스가 증가할수록 간호사의 우울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은 간호사에게 복합적인 신체적, 정신적 증상을 수반하게 하고 결국 질병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며, 환자 간호에 있어 질과효율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Kim & Park, 2012). 따라서 간호사의 우울을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이들의 직무 스트레스 조절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n, M. K. (2003). Effect of nurse's job stress on health practice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 Beck, A. T. (1976).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s. New York: New American Library. 

  3. Choi, E. S., & Jun, K. S. (2017). The impacts of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s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registered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2(1), 30-39. 

  4. Connor, K. M. (2006). Assessment of resilience in the aftermath of trauma.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67(2), 46-49. 

  5. Connor, K. M., & Davidson, J. R. T. (2003). Development of a new resilience scale: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Depress Anxiety, 18(2), 76-82. 

  6. Figley, C. R. (1995). Compassion fatigue: coping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ose who treat the traumatized. New York: Brunner-Routledge. 

  7. Foureur, M., Besley, K., Burton, G., Yu, N., & Crisp, J. (2013). Enhancing the resilience of nurses and midwives: pilot of a mindfulness-based program for increased health, sense of coherence and decreased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Comtemporary Nurse, 45(1), 114-125. 

  8. Han, A. K., Kim, O. S., & Won, J. S. (2007). A study on job stress and coping method by the personality types of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2(2), 125-136. 

  9. Han, S. M. (2019). The effects of depression for job stress, self-esteem and anger control ability for nurses: the modera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anger control 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eo University, Chungnam. 

  10. Hong, I. S. (2019). Effects of nurses' job stress, resilience, professional self-concept on turnover intention in hemodialysis uni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ungnam. 

  11. Jang, Y. M. (2014). Coping strategies,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among nurses in emergency room.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un. 

  12. Jo, H. S. (2012).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 of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3. Kim, H. E. (2011). ICU nurses' health promoting behavior, depression & job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4. Kim, H. E. (2013).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arent attachment, dysfunctional attitude, ego-identity,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f early adolescence. Unpublished docto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15. Kim, J. H., & Park, E. O. (2012). The effect of job-stress and selfefficacy on depression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1(2), 134-144. 

  16. Kim, S. J. (2016). Relationships between compassion fatigue, compassion satisfaction, depression, anxiety, and sleep disturbance among oncology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an. 

  17. Ku, M. O., & Kim, M. J. (1985). An analytical study of work stress among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5(3), 39-49. 

  18. Kwan, W. A., & Kim, H. S. (2008).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ypes of leisure activity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in Bukgu district, Daegu C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4), 51-59. 

  19. Lee, A. S., Yoon, C. G., & Lee, J. M. (2012).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depression of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2(1), 46-54. 

  20. Lee, H. S. (2015). Effects of spiritual well-being, compassion fatigue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among nurses working in oncology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Busan. 

  21. Lee, M. G., Lee, Y. H., Park, S. H., Son, C. H., Jeong, Y. J., Hong, S. K., et al. (1995).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a standardiz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Inventory 1-Korean Version (K-BDI). Korean Journal of Psychopathology, 4(1), 77-95. 

  22. Lee, M. O. (2006). Study of coping strategie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between general ward nurses and special ward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acheon University, Incheon. 

  23. Lee, S. N., & Kim, J. A. (2016). Analysis of research on compassion satisfaction among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9), 599-609. 

  24. Oh, H. R. (2007). The burden, depression and coping types of nurses taking care of the end stage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5. Oh, J. H. (2019). The influence of job stress, depression, emotional intelligence, self esteem, and self leadership on resilience of shift work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26. Park, M. E. (2015). Effect of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job stress, and resilience in a clinical nurse on compassion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7. Shin, J. H. (2015). Resilienc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compassion fatigue among nurses in emergen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28. Song, H. O. (2014).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employe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29. Sood, A., Prasad, K., Schroeder, D., & Varkey, P. (2011). Stress management and resilience training among department of medicine faculty: a pilot randomized clinical trial.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6(8), 858-861. 

  30. Stamm, B. H. (2002). Measuring compassion satisfaction as well as fatigue: developmental history of th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fatigue test. In C. R. Figley (Ed.), Treating compassion fatigue (pp. 107-119). New York: Brunner-Routledge. 

  31. Stamm, B. H. (2009). The concise proQOL manual (2nd ed.). Pocatello: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ProQOL).org. 

  32. Yoo, H. J. (2014). Effects of job stress on depression and sleep disorder of hospital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