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곤충식품의 미생물 안전성에 대한 고찰
Food Safety Concerns for Edible Insect Foods 원문보기

축산식품과학과 산업, v.8 no.2, 2019년, pp.69 - 74  

이예원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요한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성능/효과

  • 식용 곤충에 대한 미생물 분석은 다년간 진행되어 왔고, 이를 통해 다양한 미생물들이 곤충에 오염되어 있음을 입증하였다(표 2). 식용 곤충의 대표적인 4종[슈퍼밀웜(Zophobas morio), 애벌레(Chilecomadiamoorei), 꿀벌부채명나방(Galleria melonella), 갈색거저리, 집귀뚜라미(Acheta domesticus)]에 대해 오염 미생물을 분석한 결과, 높은 수준(105-106CFU/g)의 일반세균 오염을 보였으며, Micrococcus 종과 Lactobacillus 종 등의 그람 양성 세균도 105CFU/g 이상이 검출되었고, Staphylococcus 종(species)은 약 103CFU/g으로 나타났다(Giaccone, 2005). Braide 등(2011)이 캐비지 트리 황제 나방 (Bunaea alcinoe)을 분석한 결과, 일반세균이 4.
  •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살펴볼 때, 곤충이 삼킨 병원성 세균들이 곤충의 장내와 표면에 존재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식용 곤충 가공 및 섭취시 미생물 감염 위험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며, 식용곤충을 이용한 식품 개발 시 가공 공정 단계의 미생물 안전성 확보가 필수적임을 의미한다.
  • 이러한 곤충 식품의 미생물 안전성이 대두가 되면서 Klunder 등 (2012)은 곤충식품 중 거저리류와 귀뚜라미류 (Acheta domesticus, Brachytrupes)를 이용하여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는 것, 끓인 것, 튀긴 것, 처리하지 않고 냉장 보관, 끓인 후 냉장보관 등의 미생물 저감화 방안을 분석하였다. 미생물 분석 결과,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곤충에서는 Enterobacteriaceae와 포자형 성균이 검출된 반면, 끓인 곤충은 Enterobacteriaceae 가 사멸하였으나, 포자형성균은 여전히 존재하였으며, 끓인 후 5℃-7℃에서 냉장 보관하는 방법이 모든 균을 사멸하는데 적합하였다.
  • bimaculatus)와 슈퍼 밀웜을 가공 과정을 거친 후의 미생물학적 변화를 관찰 한 결과, 처리 전 곤충에서는 약 7 log CFU/g의 일반 세균이 검출되었으며, Enterobacteriaceae, Staphylococci, Bacilli, 효모와 곰팡이가 모두 검출되었다. 다양한 온도 조건(T1=10분 가열, 24시간 60℃ 건조; T2= 10분 가열, 24시간 80℃ 건조; T3=30분 가열, 12 시간 80℃ 건조 후 12 시간 100℃ 건조; T4=T3의 처리를 거친 것을 5일 후 재가열)의 노출 결과, 30분간 끓인 후 80℃에서 12시간 1차 건조, 100℃에서 12시간 2차 건조한 공정에서 가장 낮은 세균 검출률을 나타냈으나, Bacilli는 여전히 검출되었으며, Bacilli는 80℃에 서 24시간 건조과정을 거치는 경우가 더욱 효과적으로 사멸하였다. 따라서 식용 곤충에 대한 미생물학적 안전 성을 위해서는 미생물 종에 따른 서로 다른 가공 공정 처리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Grabowski와 Klein, 2016).

후속연구

  • 현재까지 보고된 연구에 의하면, 식용 곤충과 가공된 식용 곤충에서 다양한 식중독 세균이 검출된 바 있다. 따라서 식용 곤충을 위해 양식된 곤충에 대한 식품 안전 연구가 필요하며, 기존 식품 연구와는 다른 양상이 제시될 가능성이 높다. 식용 곤충을 이용한 식품은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하지 않으므로, 곤충식품 개발을 위해서는 식용 곤충의 미생물 안전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 식용 곤충을 이용한 식품은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하지 않으므로, 곤충식품 개발을 위해서는 식용 곤충의 미생물 안전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식용 곤충에서 자주 발견되는 잠재적인 병원체 미생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식용 곤충의 양식 및 가공 공정 단계까지 미생물학적인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곤충 식품에서 식중독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현재 국내에 식용 가능하도록 허가된 곤충은 총 7종이며, 식품공전에 제시된 벼메뚜기(Oxya chinensissinuosa), 누에번데기(Bombyx mori), 백강잠(Batryticatus bombyx),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유충,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 5종과 농촌진흥청에서 새로운 일반 식품원료로 등록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Protaetia orientalis)과 장수풍뎅이 유충(Allomyrina dichotoma) 2종이 있다 (농촌진흥청,2016). 곤충은 식품의 원료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지만,식용 곤충은 다양한 영양소와 수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미생물이 생장하기에 적합한 환경이다(Van Huis등, 2013). 이럼에도 불구하고 곤충식품 개발에 대한 노력은 많이 해왔지만, 미생물 안전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미하다.
국내 식용이 가능하도록 허가된 곤충은? 현재 국내에 식용 가능하도록 허가된 곤충은 총 7종이며, 식품공전에 제시된 벼메뚜기(Oxya chinensissinuosa), 누에번데기(Bombyx mori), 백강잠(Batryticatus bombyx),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유충,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 5종과 농촌진흥청에서 새로운 일반 식품원료로 등록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Protaetia orientalis)과 장수풍뎅이 유충(Allomyrina dichotoma) 2종이 있다 (농촌진흥청,2016). 곤충은 식품의 원료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지만,식용 곤충은 다양한 영양소와 수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미생물이 생장하기에 적합한 환경이다(Van Huis등, 2013).
곤충은 영양학적으로 어떤 가치가 있는가? 최근 국제식량농업기구(FAO)에서는 2050년경 세계 인구가 약 90억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였으며, 이로 인한 식량 부족이 예상됨에 따라 미래 대체 식량으로 곤충식품을 제시한 바 있다 (농촌진흥청, 2016). 곤충은 영양학적으로 주요 단백질원을 포함하고 있으며, 불포화지방산이 총 지방산 중 70% 이상 차지하고, 칼슘, 철 등의 무기질 함량이 높아 영양적 가치가 매우 높다 (농촌진흥청, 2016). 2015년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에서 보고한 바에 의하면, 국내 식용 곤충시장의 규모는 2015년 60억 원 대비 2020년 1,014억 원으로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표 1)(김연중과 박영구,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gabou A, Alloui N. 2010. Importance of Alphitobius diaperinus (Panzer) as a reservoir for pathogenic bacteria in Algerian broiler houses. Vet World 3:71-73. 

  2. Akbari S, Oshaghi MA, Hashemi-Aghdam SS, Hajikhani S, Oshaghi G, Shirazi MH. 2015. Aerobic bacterial community of American cockroach Periplaneta americana, a step toward finding suitable paratransgenesis candidates. J Arthropod Borne Dis 9:35-48. 

  3. Amadi EN, Ogbalu OK, Barimalaa IS, Pius M. 2005. Microbiology and nutritional composition of an edible larva (Bunaea alcinoe Stoll) of the Niger Delta. J Food Saf 25:193-197. 

  4. Anand AAP, Vennison SJ, Sankar SG, Prabhu DI, Wasan PT, Raghuraman T, Geoffrey CJ, Vendan SE. 2010.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teria from the gut of Bombyx mori that degrade cellulose, xylan, pectin and starch and their impact on digestion. J Insect Sci 10:107-127. 

  5. Braide W, Oranusi SU, Udegbunam LI, Oguoma OI, Akobondu C, Nwaoguikpe RN. 2011. Microbiological quality of an edible caterpillar of an emperor moth, Bunaea alcinoe. J Econ Nat Environ 3:176-180. 

  6. Braide W, Sokari TG, Hart AD, Nwaoguikpe RN. 2009. Microbiology of the gut content of an edible caterpillar of an emperor moth, Bunaea alcinoe. Curr Trends in Microbiol 5:31-36. 

  7. Dillon R, Charnley K. 2002. Mutualism between the desert locust Schistocerca gregaria and its gut microbiota. Res Microbiol 153:503-509. 

  8. EFSA. 2012. The European Union summary report on trends and sources of zoonoses, zoonotic agents and food-borne outbreaks in 2010. EFSA J 10:2597. 

  9. Gashe BA, Mpuchane SF, Siame BA, Allotey J, Teferra G. 1997. The microbiology of phane, and edible caterpillar of the emperor moth, Imbrasia bellina. J Food Protect 60:1376-1380. 

  10. Giaccone V. 2005. Hygiene and health features of mini livestock. Ecological implications of minilivestock: Role of rodents, frogs, snails and insect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cience Publisher 579-598. 

  11. Grabowski NT, Klein G. 2016. Microbiology of cooked and dried edible Mediterranean field crickets (Gryllus bimaculatus) and superworms (Zophobas atratus) submitted to four different heating treatments. Food Sci Technol Int 23:17-23. 

  12. Hazeleger WC, BolderNM, Beumer RR, Jacobs-Reitsma WF. 2008. Darkling beetles (Alphitobius diaperinus) and their larvae as potential vectors for the transfer of Campylobacter jejuni and Salmonella enterica Serovar Paratyphi B Variant Java between successive broiler flocks. Appl Environ Microbiol 74:6887-6891. 

  13. Jeon H, Park S, Choi J, Jeong G, Lee SB, Choi Y, Lee SJ. 2011. The intestinal bacterial community in the food waste-reducing larvae of Hermetia illucens. Curr Microbiol 62:1390-1399. 

  14. Kim K, Choi J, Kim W, Kim S, Yoon H. 2005. Survey of the occurrence of major diseases in resource insects. Korean J Appl Entomol 160-160. 

  15. Klunder HC, Wolkers-Rooijackers J, Korpela JM, Nout MJR. 2012. Microbiological aspects of processing and storage of edible insects. Food Control 26:628-631. 

  16. Kobayashi M, Sasaki T, Saito N, Tamura K, Suzuki K, Watanabe H, Agui N. 1999. Houseflies: Not simple mechanical vectors of 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O157:H7. Am J Trop Med Hyg 61:625-629. 

  17. Liang X, Fu Y, Tong L, Liu H. 2014. Microbial shifts of the silkworm larval gut in response to lettuce leaf feeding. Appl Microbiol Biotechnol 98:3769-3776. 

  18. Menasria T, Moussa F, El-Hamza S, Tine S, Megri R, Chenchouni H. 2014. Bacterial load of German cockroach (Blattella germanica) found in hospital environment. Pathog Glob Health 108:141-147. 

  19. Nunamaker RA, Lockwood JA, Stith CE, Campbell CL, Schell SP, Drolet BS, Wilson WC, White DM, Letchworth GJ. 2003. Grasshoppers (Orthoptera:Acrididae) could serve as reservoirs and vectors of vesicular stomatitis virus. J Med Entomol 40:957-963. 

  20. Pai HH, Chen WC, Peng CF. 2004. Cockroaches as potential vectors of nosocomial infections.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5:979-984. 

  21. Rumpold BA, Frohling A, Reineke K, Knorr D, Boguslawski S, Ehlbeck J, Schluter O. 2014. Comparison of volumetric and surface decontamination techniques for innovative processing of mealworm larvae (Tenebrio molitor). Innov Food Sci Emerg Technol 26:232-241. 

  22. Shi W, Guo Y, Xu C, Tan S, Miao J, Feng U, Zhao H, St leger RJ, Fang W. 2014. Unveiling the mechanism by which microsporidian parasites prevent locust swarm behavior. Proc Natl Acad Sci 111:1343-1348. 

  23. Stoops J, Crauwels S, Waud M, Claes J, Lievens B, Van Camperhout L. 2016. Microbial community assessment of mealworm larvae (Tenebrio molitor) and grasshoppers (Locusta migratoria migratorioides) sold for human consumption. Food Microbiol 53:122-127. 

  24. Su LJ, Liu H, Li Y, Zhang HF, Chen M, Gao XH, Wang FQ, Song AD. 2014. Cellulolytic activity and structure of symbiotic bacteria in locust guts. Genet Mol Res 13:7926-7936. 

  25. Templeton JM, De Jong AJ, Blackall PJ, Miflin JK. 2006. Survival of Campylobacter species in darkling beetles (Alphitobius diaperinus) and their larvae in Australia. Appl Environ Microbiol 72:7909-11. 

  26. Ulrich RG, Buthala DA, Klug MJ. 1981. Microbiota associated with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the common house cricket, Acheta domestica. Appl Environ Microbiol 41:246-254. 

  27. Van Huis A, van Itterbeeck J, Klunder HC, Mertens E, Halloran A, Muir G, Vantomme P. 2013. Edible insects: Future prospects for food and feed security edible insects: Future prospects for food and feed security (No. 171). FAO. 

  28. Vojvodic S, Rehan SM, Anderson KE, 2013. Microbial gut diversity of Africanized and European honey bee larval instars. PLOS ONE 8:72-106. 

  29. 김연중, 박영구. 2016. 곤충산업 실태와 육성정책 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정포커스 122:1-24. 

  30. 농림축산식품부. 2005. 신 소득원으로서의 장수풍뎅이의 대량증식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31. 농촌진흥청. 2016. 창업을 위한 식용곤충 요리.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