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술개발 프로젝트에서 팀효능감이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통해 개인창의성과 제품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m Efficacy on Individual Creativity and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through Communication Competence in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1, 2019년, pp.375 - 386  

이명기 (대전대학교 융합컨설팅학과) ,  서영욱 (대전대학교 융합컨설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술개발 프로젝트에서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창의성이 필요하며, 창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업무지시에 대한 명확한 이해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팀효능감과 지식공유가 커뮤니케이션 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개인창의성 및 제품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개발 프로젝트에서 커뮤니케이션 역량과 개인창의성의 중요성을 검증하고, 커뮤니케이션 역량에 대한 향상 방안을 제언하기 위함이다. 기술 개발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요인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확인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팀효능감과 지식공유가 커뮤니케이션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팀리더의 확실한 업무지시 전달과 실무자의 명확한 업무지시 이해가 개인창의성에 주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첨단기술이 융복합되는 기술개발 프로젝트에서, 개인창의성 향상에 필요한 참여자의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에는 조직 수준의 창의성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역량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mproving performance needs Creativity and Improving Creativity needs clear communication of work orders in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effects of team efficacy and knowledge sharing o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on i...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프로젝트 업무에 대해 명확하게 전달하고 확실하게 이해하는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업무수행에 필요한 개인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는 기술개발 프로젝트에서 팀효능감과 지식공유가 어떻게 커뮤니케이션 역량에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고,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개인창의성과 제품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한 것으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특히, 커뮤니케이션에 상대적으로 소홀한 것으로 여겨지는 전문가들이 모여 성과를 내야 하는 기술개발 프로젝트[36] 에서 커뮤니케이션 역량과 팀효능감에 대한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개발 프로젝트에서 팀 특성이 커뮤니케이션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커뮤니케이션역량이 개인창의성과 프로젝트 성과 향상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으로, Fig. 1과 같이 연구모델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인 기술개발 프로젝트에서 커뮤니케이션 역량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과제 수행중 발생하는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데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여 기술개발 프로젝트에서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은 기술개발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인자인 개인창의성 향상을 커뮤니케이션 역량 측면에서 분석했다는 것이다.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조직의 네트워크 밀도가 개인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39].
  • 셋째, 프로젝트 업무 수행시 새로운 아이디어를 추구하는 개인창의성이 프로젝트 완료성과인 제품개발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술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엔지니어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첫째, 성과에 중요한 요인인 팀효능감과 지식공유가[7,8], 커뮤니케이션 역량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2 : 팀원들의 팀효능감은 업무지시전달력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 팀원들의 팀효능감은 업무지시이해력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 팀원들의 지식공유는 업무지시전달력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 팀원들의 지식공유는 업무지시이해력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6 : 업무지시전달력은 업무지시이해력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7 : 업무지시전달력은 개인창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8 : 업무지식이해력은 개인창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9 : 개인창의성은 프로젝트 완료성과인 제품개발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그룹효능감이란 무엇인가? 그룹효능감이란 특정 과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 그룹의 능력으로 “그룹에게 주어진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 할 수 있다는 집단 차원의 믿음”이다[5]. 그룹의 역량에 대한 신뢰의 정도로서 “성공적인 과업수행을 위한 그룹의 능력에 대해 그룹구성원 개인이 가지고 있는 믿음”인 것이다[6].
커뮤니케이션 역량은 어떤 역량인가? 커뮤니케이션 역량(Communication Competence)은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적절한 의사소통 행동을 실행하는 능력이다[15]. 연구에 따르면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향상되면 업무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서로간의 관계와 이해를 높인다고 하였다[16].
제품개발 프로젝트에 내재되있는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기업들은 무엇을 하고 있는가? 그러나, 대부분의 제품개발 프로젝트는 본질적으로 많은 리스크가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최근 기업들은 제품개발 초기부터 외부 부품공급업체 등을 포함한 제품개발 담당자들과 긴밀한 협력을 유지해 나가는 등 다양한 지식공유 활동과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하고 있다[3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Y. B. Lee & S. H. Kim. (2016). Mediating Effect of the Knowledge Sharing in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Organization Culture, and Team Performan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4), 219-239. DOI : 10.16981/kliss.47.201612.219 

  2. R. W. Woodman, J. E. Sawyer & R. W. Griffin. (1993). Toward a theory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2), 293-321. DOI : 10.5465/amr.1993.3997517 

  3. G. M. Spreitzer. (1995).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he workplace: Dimensions,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5), 1442-1465. DOI : 10.5465/256865 

  4. D. G. Ko, L. J. Kirsch & W. R. King. (2005). Antecedents of knowledge transfer from consultants to clients in enterprise system implementations. MIS quarterly, 29(1), 59-85. 

  5. A. Bandura. (1997). Theoretical perspectives.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1-35. 

  6. M. L. Riggs & P. A. Knight. (1994). The impact of perceived group success-failure on motivational beliefs and attitudes: A causal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9(5), 755. DOI : 10.1037/0021-9010.79.5.755 

  7. A. S. DeNisi, M. A. Hitt & S. E. Jackson. (2003). The knowledge-based approach to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Managing knowledge for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Designing strategies for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21. San Francisco : John Wiley & Sons, Inc. 

  8. J. Lee, H. Lee & J. G. Park. (2014). Exploring the impa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knowledge sharing, absorptive capacity and team performance in IT service. Information Technology & People, 27(3), 366-386. DOI : 10.1108/ITP-10-2012-0115 

  9. A. D. Stajkovic, D. Lee & A. J. Nyberg. (2009). Collective efficacy, group potency, and group performance: Meta-analyses of their relationships, and test of a mediation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4(3), 814. DOI : 10.1037/a0015659 

  10. J. A. Arnold, S. Arad, J. A. Rhoades & F. Drasgow. (2000). The empowering leadership questionnaire: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new scale for measuring leader behavior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1(3), 249-269. DOI : 10.1002/(SICI)1099-1379(200005)21 

  11. M. Makhija. (2003). Comparing the resource­based and market­based views of the firm: empirical evidence from Czech privatization.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4(5), 433-451. DOI : 10.1002/smj.304 

  12. H. M. Lee, S. Y. Son & K. K. Kim. (2015).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Knowledge Sharing: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and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Korean Academy of Leadership, 6, 5-28. 

  13. H. L. Tung. (2014). When empowering leadership links to team work outcomes: Encouraging the expression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knowledge sharing. Journal of Psychology, 1(2), 33-40. DOI : 10.5176/2345-7872_1.2.17 

  14. J. Liebowitz. (2001). Knowledge management and its link to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20(1), 1-6. DOI : 10.1016/S0957-4174(00)00044-0 

  15. P. R. Monge, S. G. Bachman, J. P. Dillard & E. M. Eisenberg. (1981). Communicator competence in the workplace: Model testing and scale development. Annal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5(1), 505-527. DOI : 10.1080/23808985.1981.11923860 

  16. S. J. Berman & S. A. Hellweg. (1989). Perceived supervisor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upervisor satisfaction as a function of quality circle participation. The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1973), 26(2), 103-122. DOI : 10.1177/002194368902600202 

  17. R. I. Swaab, T. Postmes, P. Neijens, M. H. Kiers & A. C. Dumay. (2002). Multiparty negotiation support: The role of visualization's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shared mental models.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9(1), 129-150. DOI : 10.1080/07421222.2002.11045708 

  18. D. Robey, J. W. Ross & M. C. Boudreau. (2002). Learning to implement enterprise systems: An exploratory study of the dialectics of chang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9(1), 17-46. DOI : 10.1080/07421222.2002.11045713 

  19. J. L. Bennett. (1996). Building relationships for technology transfer. Communications of the ACM, 39(9), 35-37. 

  20. P. Attewell. (1992). Technology diffusion and organizational learning: The case of business computing. Organization science, 3(1), 1-19. DOI : 10.1287/orsc.3.1.1 

  21. J. P. Guilford. (1950). Fundamental statistics in psychology and education. 

  22. T. M. Amabile. (1988). A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0(1), 123-167. 

  23. P. J. Silvia, R. E. Beaty, E. C. Nusbaum, K. M. Eddington, H. Levin-Aspenson & T. R. Kwapil. (2014). Everyday creativity in daily life: An experience-sampling study of "little c" creativity.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8(2), 183. 

  24. A. Robinson & S. Stern. (1998). Corporate creativity: How innovation and improvement actually happen. Berrett-Koehler Publishers, Inc. 

  25. P. Paulus. (2000). Groups, teams, and creativity: The creative potential of idea­generating groups. Applied psychology, 49(2), 237-262. 

  26. R. J. Sternberg, J. C. Kaufman & J. E. Pretz. (2013). The creativity conundrum: A propulsion model of kinds of creative contributions. New York : Psychology Press. DOI : 10.4324/9780203759615 

  27. M. J. C. Forgeard. (2015). When, how, and for whom does creativity predict well-being?.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ennsylvania, Philadelphia. 

  28. J. E. Coombs & P. E. Bierly III. (2006). Measuring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performance. R&D Management, 36(4), 421-438. DOI : 10.1111/j.1467-9310.2006.00444.x 

  29. W. M. Cohen & D. A. Levinthal. (1990). Absorptive capacity: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and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5(1), 128-152. 

  30. R. G. Cooper & E. J. Kleinschmidt. (1987). New products: what separates winners from losers?.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4(3), 169-184. DOI : 10.1016/0737-6782(87)90002-6 

  31. G. Todorova & B. Durisin. (2007). Absorptive capacity: Valuing a reconceptual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2(3), 774-786. 

  32. H. H. Cho. (2013). Study on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Financial Professionals on Knowledge Sharing, Job Satisfaction, and Firm Innovation.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 11(10), 225-240. 

  33. T. A. Beehr, L. B. Johnson & R. Nieva. (1995). Occupational stress: Coping of police and their spouse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6(1), 3-25. 

  34. Y. H. Song. (2017). Comparing Levels of College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Convergence Competency according to Their Field Experienc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3), 147-152. DOI : 10.22156/CS4SMB.2017.7.3.147 

  35. H. K Cho & I. S. Jung. (2018).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general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freshme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3), 25-32. DOI : 10.22156/CS4SMB.2018.8.3.025 

  36. M. K. Cho. (2015) Effect of R & D Human Competency on Project Management and Performance.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37. B. Lawson, K. J. Petersen, P. D. Cousins & R. B. Handfield. (2009). Knowledge sharing in interorganizational product development teams: The effect of formal and informal socialization mechanisms. Journal of Product Innovation Management, 26(2), 156-172. 

  38. Y. C. Yuan, J. Fulk, P. R. Monge & N. Contractor. (2010). Expertise directory development, shared task interdependence, and strength of communication network ties as multilevel predictors of expertise exchange in transactive memory work groups. Communication Research, 37(1), 20-47. 

  39. E. S. Kim. (2018). The Relationship of Team Network and Individual Creativity : Moderating Effects of Individual Psychological Capital. Korean Journal of Resources Development, 21(1), 131-151. 

  40. T. Suh, J. C. Jung & B. L. Smith. (2012). Learning creativity in the client-agency relationship. The learning organization, 19(5), 428-439. DOI : 10.1108/09696471211239721 

  41. Y. M. Hwang & K. C. Lee. (2016). Investigating the Effect of Social Learning about Entrepreneurship on Creativity. Korean Society of Business Venturing, 11(5), 165-174. 

  42. G. S. Lee, B. J. Hwang & Y. H. Lee. (2016). The effect of individual creativity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value innovation culture on innovation behavior and innovation performance. Korea Association of Business Education, 31, 283-311. 

  43. X. M. Song & M. E. Parry. (1997). The determinants of Japanese new product success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4(1), 64-76. DOI : 10.1177/002224379703400106 

  44. M. Salanova, S. Llorens, E. Cifre, I. M. Martinez & W. B. Schaufeli. (2003). Perceived collective efficacy, subjective well-being and task performance among electronic work groups: An experimental study. Small Group Research, 34(1), 43-73. DOI : 10.1177/1046496402239577 

  45. D. S. Staples & J. Webster. (2008). Exploring the effects of trust, task interdependence and virtualness on knowledge sharing in teams. Information Systems Journal, 18(6), 617-640. DOI : 10.1111/j.1365-2575.2007.00244.x 

  46. A. Rego, F. Sousa, M. Pina e Cunha, A. Correia & I. Saur­Amaral. (2007). Leader self­reported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rceived employee creativity: An exploratory study.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6(3), 250-264. DOI : 10.1111/j.1467-8691.2007.00435.x 

  47. S. H. Yun & G. W. Choo. (2014). An Empirical Study of the Impact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apabilities and Patent-related Activities from the Knowledge Management and New Product Development on the Business Performance.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27(4), 1653-1683. 

  48. I. H. Yoon, J. H. Kim & H. S. Lee. (2015). The Effects of Project Manager's Competencies on the Performance of NPD Project in Project Matrix Organization: Focused on the Institute of Technology of Compan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0), 295-303. DOI : 10.14400/JDC.2015.13.10.2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