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트마케팅의 명화차용 유형이 광고태도와 진단성(Diagnosticity)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rt Infusion Types on Advertising Attitude and Diagnosticity in Art Marketing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1, 2019년, pp.411 - 417  

김민관 (중앙대학교 사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소비자의 예술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듯 아트마케팅이 대중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예술작품을 활용한 광고 형식을 유형화 한 후 명화의 시장 노출 빈도에 따른 소비자들의 광고 효과(광고태도/회상/진단성)를 실험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 첫째, 명화 활용 방식에 따른 회상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재해석된 명화에 대한 진단성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장노출빈도가 적은 명화광고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회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시장 노출빈도가 높은 명화를 재해석한 광고가 가장 회상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관여 제품에 한정하였으나 향후 저관여 제품에 대한 연구도 진행해 볼 필요가 있다. 본 결과는 효과적인 명화차용 광고를 제작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ategorize Art Infusion,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nsumers' advertising on attitude and memory information. As a result, first,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recall according to the...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아트버타이징이라는 신조어가 나타날 만큼 명화를 활용한 광고가 대중화되고 있다. 따라서 명화차용 광고에 대해 소비자가 어떻게 판단하는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시장에 자주 노출된 명화는 명화의 ‘희소성’과 ‘고급’스러운 특성이 희석되어 고급스러운 명화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심리적인 혜택이 사라질 수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명화활용 방식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유형화 한 후 명화의 시장 노출 빈도에 따라 소비자들의 광고 효과가 태도적 차원과 소비자들의 기억 정보 차원에서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또한 명화차용 광고를 접한 소비자는 차용된 명화의 원작과 관련된 일련의 정보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명화 차용 방식에 따라 광고 정보와 관련된 회상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그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규명한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 본 연구는 명화차용방식(단차용 vs. 변형 vs. 재해석)과 명화노출빈도(高노출 vs. 低노출)에 따라 기억과 관련된 회상과 기억정보의 진단성(제품 진단성, 광고 진단성), 광고태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연구를 통해 검증하였으며 이원배치 다변량 분산분석(Two-Way MANOVA)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명화활용 유형(단순차용 vs. 변형 vs. 재해석)과 명화의 시장노출빈도(高노출 vs. 低노출)에 따라 회상과 제품/광고의 진단성, 광고태도 간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결과, 첫째, 명화 활용 방식에 따른 회상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 연구문제 1은 명화차용방식에 따라 회상과 제품 진단성, 광고 진단성, 광고태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결과, 명화차용방식(단순차용 vs.
  • 연구문제 2: 명화노출빈도에 따라 회상과 제품 및 광고 진단성, 광고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 연구문제 2은 명화노출빈도에 따라 회상과 제품 진단성, 광고 진단성, 광고태도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결과, 명화노출빈도(高노출 vs.
  • 연구문제 3: 명화차용방식과 명화노출빈도에 따라 회상과 제품 및 광고 진단성, 광고태도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어떠한가?
  • 연구문제 3은 명화차용방식과 명화노출빈도에 따라 회상과 제품 진단성, 광고 진단성, 광고태도 간의 상호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결과, 명화차용방식과 명화 노출빈도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모든 종속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가설 설정

  • 인지도가 높은 명화를 활용한 광고의 경우, 그 광고에 대한 친밀감 또한 높아질 수 있다. 둘째, 명화이미지의 단순 변형이다. 명화 이미지의 일부(20%미만)를 광고에 맞게 변형하거나, 명화에 광고대상을 삽입하는 경우이다.
  • 연구문제 1: 명화차용유형에 따라 회상, 제품/광고진단성, 광고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과 국내외 명화 차용 광고들(2000년-2017년)을 분석한 결과 명화 이미지의 변형 정도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유형을 구분하였다. 첫째, 명화 이미지의 단순 활용이다. 이 경우 명화를 변형 없이 그대로 광고에 차용하여 명화라는 사실 확인이 용이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트 마케팅의 대중화로 소비자들은 어떤 이점이 생기는가? 이는 기업들이 제품 디자인이나 제품 광고 등에 명화를 활용하거나 미술관을 운영하기도 하면서 궁극적으로 시장 경쟁력과 기업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노력에서 발현된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아트 마케팅의 대중화로 핸드폰 케이 스, 우유팩, 우산 등 다양한 제품들에서 쉽게 예술 작품을 접하면서 전시관에서 볼 수 있었던 예술 작품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명화 차용이란? 명화 차용은 그림이나 사진 등 본래 예술 작품의 이미 지나 변형한 유사 이미지를 제품이나 광고에 활용하여 적용하는 것이다. 예술 작품을 활용하여 제품의 가치와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유지하거나 전환하고자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3].
아트 마케팅이 생기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소비자의 소득 수준 향상은 행복과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소비자의 문화 예술에 대한 관심과 소비를 증진시키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한 것이 아트 마케팅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H. Hatvedt & V. M. Patrick. (2008). Art infusion: The influence of visual art on the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consumer produc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45(3), 379-389. 

  2. R. F. Kelly. (1987). Culture as commodity: the marketing of cultural objects and cultural experiences. Consumer Research, 4, 347-351. 

  3. J. H. Park. (2006). Study of Package Status for Specialization of Domestic Rice Brand.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22, 37-46. 

  4. D. E. Berlyne. J. Piaget & M.. Piercy. (1981). The Psychology of intelligence, Totowa, NJ.: Littlefield, Adams & Co., 

  5. R. W. Belk. (1988). Possessions and the Extended Self,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5(2), 160-171. 

  6. H. Hatvedt & V. M. Patrick. (2008). Art infusion: The influence of visual art on the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consumer produc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45(3), 379-389. 

  7. K. L. Keller. (1987). Memory Factors in Advertising Effect of Advertising Retrieval Cues on Brand Evaluat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30), 316-319. 

  8. J. S. Park, C. M. Lee, C. M & K. S. Han. (2010). A Study of Accessibility and Diagnosticity of Memory-Based Information : Information Congruity and Involvement.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54(6), 28-54. 

  9. K. S. Han. (2018). The Impact of Interactivity in Smart Signage and Flow on the Engagement and Memory Accessibil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2), 171-176. 

  10. G. Menon, P. Raghubir & N. Schwarz. (1995). Behavioral Frequency Judgements: An Accessibility-Diagnosticity Framework, Th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2(2), 212-247. 

  11. D. Alan, C. Dipankar & B. Gabriel. (1990). Memory-Based Inferences during Consumer Choi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7(June), 82-93. 

  12. I. E. Berger & A. A. Mitchell. (1989). The Effects of Advertisingon Attitude Accessibility, Attitude Confidence, and the Attitude-Behavior Relationship.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16), 269-279. 

  13. K. S. Han. (2017). The Effect of Digital Signage and Smart Media Convergence on Memory and Attitude According to the Level of Engagement and Interactiv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6), 1-7. 

  14. M. K. Kim. (2018). The Influence of Art Infusion in Advertising on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15. J. W. Park & M. Hastak (1994). Memory-Based Product Judgements: Effects of Involvement at Encoding and Retrieval.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1(3), 534-54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